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매시트 포테이토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매시트 포테이토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Mashed potatoes.<ref>영어로 쓸 때는 복수가 된다. 아무래도 [[감자]]가 하나만 들어가지는 않을 테니까... <del>큰 [[감자]]면 하나면 충분한데?</del></ref> 쉽게 말해서 으깬 감자. 그냥 으깨는 정도가 아니라 덩어리 진 게 없을 정도로 으깨야 한다. 감자만 으깨면 너무 뻑뻑해지기 때문에 여기에 간을 하고 [[올리브유]], [[버터]], [[크림]] 혹은 [[우유]]를 넣어서 부드러운 식감을 주기도 하고 [[후추]]를 치기도 한다. 보통은 매쉬드 포테이토, 매시드 포테이토와 같은 식으로 많이 쓰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정확한 표기는 매시트 포테이토다. 참고로 무성음 뒤에 -ed가 붙으면 /t/로 발음한다. ==만드는 방법== 재료는 간단하다. * [[감자]] * [[올리브유]] 또는 [[버터]] * [[소금]] * 취향에 따라 [[후추]], [[우유]], 사워크림 같은 것들을 쓸 수도 있다. # [[감자]]를 물에 삶는다. 껍질을 벗기고 나서 삶아도 되고 삶은 다음 벗겨도 되는데, 어느 게 더 나은지는 [[부먹찍먹]]만큼이나 오랜 논쟁이기도 하다. 대신 자르지 말고 통으로 삶는 게 시간은 걸리지만 포슬포슬하고 좋다. 다 삶았으면 물에서 건져낸 다음 체에 잠시 놓아두어 수분이 증발하고 물기가 빠지게 하면 더 좋다. # 껍질을 벗긴 [[감자]]를 믹싱보울에 넣고 으깬다.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포크로 비비듯이 으깨면 곱게 으깰 수 있다. 매시트 포테이토를 많이 해먹는 서양은 아예 전용으로 포테이토 매셔라는 도구도 있다. # 어느 정도 으깬 다음 [[버터]]나 [[올리브유]], [[소금]]을 넣고 크림처럼 부드러워질 때까지 계속 으깬다. 껍질을 벗기고 삶았다면 물을 조금 남겨 놓았다가 [[감자]]를 으깨면서 조금 부어 넣어 농도를 조절하면 덜 뻑뻑해진다. ==응용== 그대로 먹어도 맛있고, [[감자 샐러드]]를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. 서양은 매시트 포테이토와 잘게 깍뚝썰기 한 삶은 [[감자]]를 같이 쓰는 편이지만 [[일본]]은 그냥 매시트 포테이토만 가지고 만든다. [[영국]] 쪽에서 가장 알려진 음식이라면 [[뱅거 앤 매시]]. [[소시지]]와 매시트 포테이토에 [[그레이비 소스]]를 뿌린 단촐한 구성인데, [[소시지]]와 매시트 포테이토가 무척 잘 어울린다. 영국음식인 코티지 파이나 셰퍼드 파이에도 쓰인다. 각각 갈은 [[양고기]]와 [[소고기]]에 [[양파]], [[당근]] 같은 [[채소]]를 다져 넣고 [[토마토 소스]]와 [[레드 와인]]에 버무린 다음 그릇의 밑에 펴서 깔고, 그 위를 매시트 포테이토로 덮어서 오픈에 구워서 만드는 음식이다. [[파일:Schweinshaxe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슈바인스학세]], 매시트 포테이토, [[자우어크라우트]].]] [[소시지]]와 [[감자]]를 많이 먹는 나라답게 독일에서도 [[소시지]]를 비롯한 여러 요리에 낀다. 독일식 돼지[[족발]] [[구이]]인 [[슈바인스학세]]도 매시트 포테이토를 듬뿍 얹어 준다. 다른 것 없이 매시드 포테이토만으로도 간단한 [[맥주]]나 [[와인]] 안주로도 잘 맞는다. 다만 [[전분]] 듬뿍 [[감자]]에 기름까지 들어가니 열량은 높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매시트 포테이토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