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메를로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메를로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Merlot. [[포도]] 품종의 일종. [[와인]]을 만드는 데 쓰이며 [[카베르네 소비뇽]]과 함께 가장 널리 쓰이는 [[레드 와인]]의 재료다. 메를로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티티새를 뜻하는 merle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는데, 검은색에 가까울 정도로 짙푸른 메를로의 색깔이 티티새의 색깔을 연상하게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생각된다. 그런데 티티새는 조생종인 이 품종을 쪼아먹는, 즉 농사를 망치는 놈이다. 심지어는 티티새가 이 포도를 쪼아먹는 모습을 보고 붙인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.<ref>[http://www.wine21.com/11_news/news_view.html?Idx=1927 "티티새를 아시나요?"], 와인21닷컴, 2006년 2월 28일.</ref> 빨리 자라고 재배도 쉬운 편이라서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품종이다. [[프랑스]] [[보르도 와인]]은 [[카베르네 소비뇽]]과 메를로의 블렌딩을 기본으로 하고 [[카베르네 프랑]]과 같은 여러 다른 품종들이 들어간다. [[카베르네 소비뇽]]에 비해서는 조연 배우 같은 이미지이지만, 보르도 동부의 [[생테밀리옹]]과 [[포므롤]]은 메를로가 주연이고 아예 메를로 100%로 만드는 [[와인]]도 수두룩하다. 보르도에서 이른바 5대 [[그랑 크뤼]] 와인도 모두 물리치고 가장 비싼 [[와인]]으로 손꼽히는 [[포므롤]]의 샤토 페트뤼스도 메를로 100%다. [[프랑스]] 말고도 [[유럽]] 다른 나라에서도 [[와인]]용으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 가운데 하나이며, [[이탈리아]]에서 가장 비싼 [[와인]]으로 꼽히는 [[수페르 토스카나]]인 마세토 역시 100% 메를로다.<ref>세컨드 와인인 마세티노는 메를로를 주종으로 [[카베르네 프랑]]을 5~6% 정도 블렌딩해서 만든다.</ref> 신대륙에서도 마찬가지로 [[미국]], [[호주]], [[칠레]]를 비롯해서 웬만한 주요 [[와인]] 생산국에서는 다 기른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[[카베르네 소비뇽]]와 함께 쌍두마차 대접을 받는 [[적포도]] 품종이다. 알이 굵지만 껍질은 얇은 편이라서 [[타닌]] 함량이 적은 편으로 빨리 숙성되는 경향이 있다. 메를로 [[와인]]은 자두향을 특징으로 하며, 타닌 함량이 높으며 무겁고 짙은 [[카베르네 소비뇽]]과 비교하면 조금 덜 묵직하고, 더 부드러우면서 화사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둘을 블렌딩하면 좋은 조화를 이룬다. 맛에서는 과일향은 덜한 편이고, [[초콜릿]]을 연상하게 하는 쌉싸름한 느낌과 선명한 산미를 혀로 느낄 수 있다. 블랙커런트의 압도적인 향미가 특징인 [[카베르네 소비뇽]]과 비교한다면, 뭔가 한 가지 캐릭터가 그 정도로 압도하지는 않고 여러 캐릭터가 약간 수줍은 듯하게 모습을 드러내는 매력이 메를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포도]] [[Category: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메를로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