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명란 파스타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명란 파스타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일본]]에서 발달한 [[파스타]]의 일종으로, 말 그대로 [[명란]]([[멘타이코]])을 사용한 [[파스타]]다. 날명란이 아닌 [[명란젓]]을 사용한다. [[명란젓]]이 한국에서 건너간 음식이긴 하지만 이걸 [[파스타]]에 응용한 건 어쨌거나 [[일본]]이니 [[일본]]식 퓨전 [[파스타]]라고 치자.<ref>[[명란젓]] 자체도 [[후쿠오카]]를 중심으로 [[일본]]에서 고급화와 댜양화를 이루었고 이를 응용한 각종 요리들도 발달했기 때문에 요즈음은 한국인들 중에도 [[명란젓]]이 일본 건 줄 아는 사람들도 있다.</ref> 보통 [[스파게티]]를 쓰지만 대신에 [[우동]]을 넣어도 맛있다. 물론 [[우동]]을 넣었으면 [[파스타]]라고는 안 하고 [[명란]][[우동]]이라고 부른다. [[명란]]이 들어간다는 특징이 있지만 그밖의 재료는 다양해서, [[간장]]을 사용한 [[와후스파게티]]에 [[명란]]을 넣기도 하고, 크림[[파스타]]에 [[명란]]을 넣어서 [[명란]]크림[[파스타]]를 만드는가 하면 [[버터]]를 사용해서 [[명란]][[버터]][[파스타]]를 만들기도 한다. 재료 가짓수만 놓고 보면 굉장히 심플한 음식이다. 하지만 [[명란]]이 은근히 많이 들어가는데, 제대로 맛을 내려면 1인분에 알집 반 개는 써야 하므로 재료비는 은근히 들어간다. 소스를 만들 때 [[명란]]을 넣어서 익히는 방식도 있고, 다 만든 다음에 [[명란]]을 올려서 먹을 때 섞어 먹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. 익혀서 만드는 방법은 [[명란]]의 비린맛이 줄고 입자감이 좀 더 난다는 장점이 있고, 나중에 섞어서 먹는 방식은 [[명란]] 본연의 맛이 좀 더 충실하게 난다는 장점이 있다. 비린맛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보니 익혀서 만드는 경우가 더 많다. [[토마토 소스]]와는 별로 안 맞는데, 소스의 맛 때문에 [[명란]]의 맛이 너무 가려져버리는 문제가 있다. [[크림 소스]]나 [[올리브유]], 혹은 [[버터]]로 단순하게 만드는 쪽이 잘 맞는다. [[명란]] 특유의 짭조름한 감칠맛과 자글자글한 입자감 때문에 인기가 많은 [[파스타]]다. [[일본]]식 [[파스타]]라고 하면 [[나폴리탄 스파게티]], [[와후스파게티]]와 함께 가장 먼저 생각나는 음식. 우리나라에서도 인기 있는 스타일이다. [[파일:Mentaiko butter udo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명란]][[버터]][[우동]].]] [[파스타]] 대신 [[우동]]으로 만들 때에는 [[버터]] 소스가 가장 어울린다. [[우동]]의 물기를 빼고 알집을 제거한 [[명란]]과 자른 [[버터]]를 그 위에 얹어서 먹는 사람이 섞어 먹게 하면 된다. [[우동]]의 열로 [[버터]]가 서서히 녹게 만들면 온도도 딱 적당하고 명란도 과하게 익지 않고 좋다. 따라서 [[우동]]이 식지 않도록 빨리 물기를 빼는 게 포인트. {{각주}} [[Category:파스타]] [[Category:일본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명란 파스타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