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모엣샹동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모엣샹동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Moët & Chandon. [[샴페인]] 브랜드의 하나. 일단 [[샴페인]]이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브랜드이며 그만큼 판매량도 최강이다.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팔리는 퀴베 앙페리얼 브뤼부터 프리미엄급 [[샴페인]] 중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[[돔페리뇽]]도 여기서 나온다. 다만 어디까지나 인지도가 최강이라는 거지 품질이 최강이라는 것은 아니다. 모엣 샹동 위로도 [[샴페인]] 리스트는 어마머마하다. 사실 모엣 샹동은 그냥 대중용 [[샴페인]] 정도로 보면 된다. 1743년에 클로드 모엣(Claude Moët)이라는 [[와인]] 제조 및 판매상인이 설립했다. 루이 15세 때 [[스파클링 와인]]의 수요가 [[파리]] 쪽에서 귀족들을 중심으로 쑥쑥 늘었는데 이 시기를 놓치지 않고 [[파리]]를 공략해서 대박을 쳤다. 하지만 지금까지도 [[샴페인]]의 베스트셀러로 잘 나가고 있는 앙페리얼 브뤼(Imperial Brut)가 나온 건 1860년대로 100년 이상 지나서였다. 이름을 두고 상당히 논란이 있다. [[프랑스어]] 식으로 읽으면 Moët의 마지막 t는 묵음이므로 '모에'<del>그 [[모에]]?</del>이고, &는 [[프랑스어]]로는 역시 마지막 t가 묵음이므로 '에'로 발음하니까 결국은 '모에 에 샹동' 또는 쭉 붙여서 '모에~에~ 샹동' 정도라고 할 수 있다. 그런데 창업자인 클로드 모엣은 원래 네덜란드인이고, [[네덜란드]]에서는 마지막 자음을 묵음으로 하지 않으므로 '모엣'이 맞다. 즉 '모엣 에 샹동'이 한글로 표기하기에는 가장 비슷하다.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모엣 & 샹동이라고 표시하고 있다. 서양에서도 읽는 방법을 두고 꽤나 말이 많은 모양으로, 다음과 같은 유튜브 비디오도 있는데, 읽는 방법에 관한 논란이나 배경을 상당히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. {{#ev:youtube|IxBncfGXcnE}} [[LVMH]](Louis Vuitton, Moet et Hennessey) 그룹 소속이다. 이름에서도 알 수 있지만 패션과 [[샴페인]], [[코냑]]의 쟁쟁한 강자들이 소속되어 있는 <del>돈지랄 종합선물세트</del> 그룹이다. 게다가 모엣 에 샹돈 말고도 유명한 [[샴페인]] 회사를 여럿 거느리고 있다. 일단 [[크뤽]], [[뵈브클리코]]. ㅎㄷㄷ... 주력 상품인 넌 빈티지인 퀴베 앙페리얼 브뤼 라인에는 [[화이트 와인|화이트]]와 [[로제 와인|로제]] 두 가지가 있고, 가끔 한정판으로 빈티지 [[샴페인]]이 나온다. 하지만 빈티지 [[샴페인]]의 중심은 같은 회사에서 만드는 [[돔페리뇽]] 브랜드 쪽으로 가 있다. [[샴페인]]이 다 그렇듯이 [[로제 와인|로제]]가 더 비싸다. [[프랑스]] 바깥으로 나가서 [[호주]] [[빅토리아 주]], [[미국]] [[캘리포니아]], [[아르헨티나]] 멘도사, [[브라질]], 그리고 [[중국]] 닝샤와 같은 여러 나라에서도 [[스파클링 와인]]<ref>[[프랑스]] [[샹파뉴]] 지역에서 만들지 않으면 '[[샴페인]]'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.</ref>을 만들고 있으며, 이들은 [[도멩 샹동]](Domaine Chandon)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. ==[[모터스포츠]]== [[모터스포츠]] 경기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시상식에서 가장 인상적인 순간은 뭐니뭐니해도 [[샴페인]]을 터뜨리고 서로 뿌려대는 [[샴페인]] 세레머니. 모엣 에 샹돈은 오랜 기간 [[포뮬러 1]]의 포디엄에서 터뜨려 왔던 [[샴페인]]으로도 유명하다. 여기서 쓰는 [[샴페인]]은 우리가 흔히 보는 700ml가 아닌 무려 5 리터짜리 병을 사용했다.<ref>이 크기의 병을 제로보암(jeroboam)이라고 부른다.</ref> 오랜 기간 [[F1]] 공식 스폰서십을 유지했지만 '자사의 고급스러운 이미지'를 위해서 철수했다. <del>[[크뤽]]과 [[살롱]]이 비웃고 계십니다</del> 하지만 상당 기간은 주최측에서 구매해서 쓰는 식으로 그대로 쓰이다가 2000년부터 [[멈]](G.H. Mumm)이 공식 스폰서로 들어오면서 완전히 빠졌다. 2016년부터는 [[도멩 샹동]]이 [[F1]]의 공식 스폰서로 들어가서 [[멈]] 대신에 포디엄에서 사용했다. 같은 모엣샹동의 계열사지만 [[샴페인]]이 아닌 [[스파클링 와인]]이 쓰이고 있는 것.<ref>미국 캘리포니아, [[호주]] 빅토리아, [[아르헨티나]]를 비롯해서 [[프랑스]] 바깥에 [[와이너리]]가 있다.</ref> 그러나 2018년부터는 [[프랑스]] [[샴페인]]인 카르봉(Carbon)으로 바뀌었다. 이후에는 [[이탈리아]]의 [[스파클링 와인]] 메이커인 페라리<ref>자동차 회사 [[페라리]]와는 이름만 같을 뿐 (이탈리아어 철자도 같다) 관계는 없다.</ref>로 바뀌는 식으로 스폰서가 자주 바뀌고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샴페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모엣샹동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