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목넘김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목넘김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음식을 먹거나 음료를 마실 때, 입에서 목을 거쳐서 식도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목으로 느끼는 질감을 뜻한다. ==[[맥주]]== 한국[[맥주]]에서 특히 목넘김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. [[맥주]]를 입에서 넘길 때 목에서 느껴지는 짜릿하고 시원한 느낌을 뜻한다. 차가운 온도와 탄산가스의 기포가 주로 이러한 느낌을 만들어낸다. 목에는 맛봉오리가 없으므로 미각을 느낄 수는 없고, 촉각으로 느끼는 것. 특히 더운 여름에, 차가운 [[맥주]]를 벌컥벌컥 마실 때 갈증을 날려주는 시원한 목넘김은 정말 끝내 준다. 이 맛으로 여름에 [[맥주]]를 마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오죽하면 '[[맥주]]는 입으로 마시는 게 아니라 목으로 마신다'는 말까지 있을까? 그래서 [[말오줌|한국맥주]]의 광고에서는 유난히 목넘김을 강조한다. ... 하지만 다 개소리다. 그냥 맛없는 [[말오줌|한국맥주]]가 왜 맛이 없는지를 정당화 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하다. 한국의 [[맥주]]회사들이 주장하는 목넘김이라는 건 알고 보면 그냥 차갑고 [[탄산가스]] 잔뜩 넣은 액체를 마셔보면 다 나와 주신다. 미국의 [[버드와이저]] 같은 제품에서 볼 수 있는, [[쌀]]이나 [[옥수수]]를 넣은 잡곡 [[맥주]]가 일본으로 건너와서 [[드라이 맥주]]가 되고, 그 [[드라이 맥주]]가 [[한국]]에 와서 더더욱 [[다운그레이드]] 된 게 [[말오줌|한국맥주]]인데, 밍밍하고 맛도 없다 보니 [[탄산가스]]는 겁나게 쏜다. 맛도 없고 밍밍하니 [[소주]]를 타서 [[소맥]]을 만들면 도수가 높아지고 [[소주]]에 들어 있는 감미료 때문에 조금이라도 덜 밍밍해진다. 아무튼 [[소주]]에 타먹는 [[탄산수]] 신세가 된 한국[[맥주]]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생겨난 개념이 목넘김. 요즘은 [[탄산수]] 제품도 목넘김이라는 말을 쓰는 것을 볼 수 있다. [[한국맥주]]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유럽에 가서 [[맥주]]를 먹으면 탄산 농도가 낮아서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. 아예 탄산이 없는 [[캐스크 에일]]은 그야말로 문화 충격일 수도 있다.<ref>다만 [[캐스크 에일]]은 [[영국]] 바깥으로 나가면 거의 보기 힘들다.</ref> [[하이트맥주]]가 등장하면서 '목넘김이 부드러운 맥주'라는 말도 생겼는데, 별로 어려운 일도 아니다. (하이트가 정말 이렇게 했는지는 모르지만) [[탄산가스]]의 양을 좀 줄이고 날카로운 향미를 가진 [[맥아]]도 더 줄여서 맛을 더 밍밍하게 만들면 목넘김이 부드러워진다. 초음파나 질소의 작용으로 미세한 거품을 만드는 [[크림 맥주]] 역시 부드러운 목넘김을 만들 수 있다. '우리나라 [[맥주]]는 왜 이렇게 맛이 없느냐', '왜 쌀 같은 잡곡을 자꾸 넣느냐' 하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올 때마다 [[맥주]] 회사들이 늘 하는 말이 '목넘김'이다. "한국 사람들은 목넘김을 선호해서 그렇게 만들 수밖에 없다."는 게 수십 년 동안 내려온 변명. 생각해 보면 이들이 그런 식으로 [[맥주]]를 만들어서 사람들을 길들여 놓고 이제는 사람들 탓을 하면서 만들들 대로 만들겠다는 식의 논리다. 수십 년 동안 [[맥주]]는 '목넘김이 중요하다', '[[맥주]]는 입이 아니라 목으로 마시는 거다'와 같은 논리를 계속해서 주입 받아 왔으니, 사람들은 [[맥주]]는 당연히 그런 줄 안다. 당연히 [[맥주]]가 제대로 발달한 [[독일]]이나 [[영국]] 같은 곳에 가면 그게 뭔 소리냐는 취급을 받는다. 물론 [[유럽]]도 더울 때 시원하게 [[라거]]를 벌컥벌컥 마시긴 하지만 그렇다고 [[맥주]]는 목으로 마시는 것이라는 말 따위는 별로 하지 않는다. 그런데 이런 외국인들 중에는 [[한국맥주]]를 질색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가 하면 그냥 부담 없이 물처럼 마시기 좋다고 그냥 잘만 마시는 사람들도 있고, 그렇다. ==[[증류주]]== [[증류주]]도 나름대로의 목넘김이 있다. 그러나 [[맥주]]와는 좀 다른데, 도수가 높은 [[증류주]]는 목을 타고 넘어갈 때 다량의 [[알코올]]이 점막을 자극한다. 도수가 높을수록 화끈거리는 감이 강해지는데, 75.5도인 [[바카디]] 151을 스트레이트로 마셔 보면 입에서 목을 타고 [[식도]]를 따라 위로 싸아악 퍼지는 [[알코올]]의 화끈함을 체험할 수 있다. 50도가 넘어가는 [[중국]]의 [[백주]] 역시 [[바카디]] 151보다는 약하지만 뜨뜻한 게 목으로 넘어가는 게 느껴진다. 하지만 이런 높은 도수의 술을 스트레이트로 연거푸 때리다가는 점막이 상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. [[증류주]]에 물을 타면 향미가 약해지는 거 아닌가 생각해서 스트레이트를 때리는 사람들도 있는데, 절대 아니다. 오히려 물을 적당히 섞으면 향과 맛을 더 잘 느낄 수 있는 술들이 많으며, 스트레이트 상태에서는 너무 농축되어 있고 [[알코올]]이 강하다 보니 다른 미묘한 향미들이 가려지는 문제도 있는데 적당한 양의 물을 섞으면 강한 알코올에 억눌려 있던 향미가 살아날 수 있다. ==[[국수]]== [[국수]]나 [[수제비]]에서는 목넘김이라는 말이 종종 쓰인다. 예를 들어, [[일본]]의 [[우동]]은 씹지도 않고 후후룩 그대로 면발 하나를 넘겨서 먹기도 한다. 목을 타고 [[뱀]]처럼 스르륵 넘어가는 느낌을 즐긴다는 것. 특히 [[일본]]을 대표하는 [[사누키우동]] 쪽에서는 '[[우동]]은 목으로 먹는다'는 말을 쓴다. [[국수]]를 먹을 때에는 충분히 씹어먹기보다는 후루룩 마시듯이 먹는 사람들도 많은데(특히 [[일본]] 사람들은 요란하게 후루룩 흡입한다), 이렇게 먹을 때에는 면발이 목을 타고 넘어가는 느낌이 있다. 물론 안 씹고 넘기는 게 소화에는 별로 좋을 게 없다. 밀가루국수가 대부분 그렇지만 [[우동]]도 [[밀가루]], [[소금]], 물이 재료의 전부이므로 맛 자체는 대단히 중립적이고 쫄깃하고 탄력 있는 질감, 매끄럽게 넘어가는 느낌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. {{각주}} {{Category:맥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분류:맥주
(
원본 보기
)
목넘김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