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몬테풀치아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몬테풀치아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Montepulciano. ==지역 이름== [[이탈리아]] 토스카나 남부 시에나에 속한 코뮨 이름. 인구 1만 명이 좀 넘는 작은 도시지만 중세 및 르네상스시대의 건축물이나 성곽이 여럿 남아 있어서 고풍스러운 느낌이 강하고 관광지로도 꽤 인지도가 있다. 특산품으로는 [[돼지고기]], [[치즈]], '피치' [[파스타]], 렌틸콩, 꿀과 같은 것이 있으며 [[와인]]도 생산하고 있다. 단, 아래에도 나오겠지만 [[포도]] 품종인 몬테풀치아노는 정작 여기서는 전혀 재배하지 않으며, [[레드 와인]]은 [[산죠베제]]와 카나이올로를 블렌딩해서 만든다. ==포도 품종== [[이탈리아]] 토스카나를 중심으로 [[이탈리아]]의 여러 [[와인]] 산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하고 있는 적포도 품종이다. 다만 북부지역에서는 재배하지 않는데, 만생종이다 보니 기후가 서늘한 북부 쪽에서는 너무 늦게 익거나 충분히 익지 못한다. [[산죠베제]]와 함께 [[토스카나 와인]]의 주요 포도 품종이고 재배량도 [[산죠베제]] 다음으로 많지만 인지도는 에 조금 밀린다. 그래도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초(Montepulciano d'Abruzzo)와 같은 DOCG<ref>원래는 DOC였지만 2003년에 DOCG로 승격되었다.</ref>는 [[와인]] 애호가라면 잘 알고 있는 이름이다. 그밖에 이탈리아의 95개 프로빈차 중에 20개의 DOC 혹은 DOCG 규정이 몬테풀치아노 품종의 사용을 규정하고 있다. 이 중에 포도 품종으로 '몬테풀지아노'를 이름에 걸어놓은 건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초(DOC), 그리고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초 콜리네 테라마네(Montepulciano d'Abruzzo Colline Teramane, DOCG) 두 가지다. 둘 다 토스카나의 아부르초 지역의 인증이며, 둘다 몬테풀치아노를 최소 85% 이상 써야 하며 나머지는 [[산죠베제]]를 블렌딩할 수 있다. 이름 때문에, 그리고 같은 토스카나 지역이기 때문에 몬테풀치아노 지역에서 많이 기르는 품종 혹은 이곳이 원산지가 아닐까 생각하기 쉽지만 별 관계가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. 정작 몬테풀치아노 품종 와인으로 유명한 것은 앞서 말한 아부르초 지역이며, 몬테풀치아노 지역에는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(Vino Nobile di Montepulciano)라는 DOGC가 있긴 하지만 품종 구성은 [[산죠베제]]와 카나이올로고 몬테풀치아노 품종은 한 톨도 안 들어간다. 적당한 무게감과 날카롭지 않은 부드러움, 자두 향미, 탄닌, 적절한 산미, 짙은 루비색이 이 품종 와인의 주요한 특징으로 꼽힌다. 다만 산죠베제도 그렇지만 시간이 흘렀을 때 뒷심이 부족한 면은 이것도 비슷하게 나타난다. 가성비가 좋다는 평가도 받는데, 당연히 와인마다 다르지만 빈티지 대비 3~4년 정도를 대체로 정점으로 본다. {{각주}} [[Category:포도]] [[Category:이탈리아 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몬테풀치아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