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미소니코미우동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미소니코미우동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味噌煮込みうどん [[파일:Misonikomiudon Yamamotoyahonte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일본]] [[나고야]] <야마모토야혼텐>의 미소니코우동.]] 풀어보면 [[미소]][[된장]](味噌)+조림(煮込み)+[[우동]](うどん)이다. 우리말로 풀어보면 된장조림우동 쯤 된다. 이쪽 동네 특산물인 [[아카미소]] 베이스 국물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서 푹 끓여낸 [[우동]]이다. [[일본]] 전국에 널리 알려진 [[나고야메시]] 중 하나. [[라멘]]은 [[홋카이도]]에서 발전한 [[미소라멘]]이 전국으로 퍼질만큼 [[미소]]가 재료로 인기 있지만 [[우동]] 쪽으로는 [[미소]]를 쓰는 일이 드물다. 그러나 [[나고야]]/[[아이치현]]이 어떤 덴가. 온갖 음식에 [[아카미소]], 좀 더 정확히는 [[아이치현]] 특산물인 [[핫초미소]]를 활용하는 동네답게 <ref>심지어 [[킨샤치나고야아카미소라거|미소 넣고 양조한 맥주]]까지 있다. <del>뭐든지 와라. 전부 [[된장]] 발라줄게.</del></ref> [[우동]]도 [[된장]]을 활용하고 있다. [[미소]]를 풀고 [[양파]]를 비롯한 채소 재료들을 '니코미'라는 말처럼 거의 [[조림]] 수준으로 진하게 끓여내고, 여기에 [[우동]]을 넣어서 한 번 더 끓여낸다. 진하고 <del>특히 짜고</del> 걸쭉한 국물이 특징이다. 한국인들 입맛에는 거의 [[강된장]] 수준으로 걸쭉하고 짜다. [[아이치현]]에서 시작되었지만 다른 지역으로도 퍼져서 특산물 [[미소]]가 있는 다른 지역에서도 나름대로의 미소니코미우동이 나오는 모양이다. 그래도 미소니코미우동 하면 [[나고야]]/[[아이치현]]이 가장 먼저 이야기될 만큼 [[나고야메시]]에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대표 주자다. 보통 1인분씩 토기 [[냄비]]에 팔팔 끓인 다음 마지막에 날[[달걀]] 하나를 올리고 뚜껑을 덮어서 손님에게 내온다. 상에 나올 때는 냄비가 엄청 뜨거우니 데이지 않도록 주의하자. 냄비를 덮은 뚜껑은 뒤집으면 사발 모양이라 여기다가 [[우동]]을 덜어 먹어도 된다. 밥을 같이 먹는 사람들이 많아서 아예 밥이 포함된 세트가 제공되는 곳도 많다. <del>하긴 국물이 짜니 밥이라도 안 먹으면 곤란하다.</del> 국물에 밥을 말아먹지는 않는데, 반대로 국물을 밥에 끼얹어서 먹어 보면 정말 [[강된장]] 먹는 느낌일 거다. 왜 된장조림우동인지 먹어보면 실감이 확 난다. 면은 [[우동]] 요리인만큼 두툼한 [[우동]]을 사용하는데 가게에 따라서 스타일이 다를 수는 있겠으나, 면을 넣고 팔팔 끓여내니까 면발이 흐물흐물하겠다는 생각은 금물. [[탄탄멘]]처럼 단단하고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는 곳들이 많다. [[우동]] 대신 이 지역 특산인 [[키시멘]]을 쓰는 곳도 있다. 전문점에 가면 기본 미소니코미우동으로 시작해서 [[닭고기]], [[돼지고기]], [[해산물]]이나 [[텐푸라]]를 넣은 다양한 종류를 팔고 있다. 들어가는 게 호화로운만큼 보통 [[우동]]보다는 가격대가 세서 기본 미소니코미우동이 거의 1천 엔에 육박하고 좀 푸짐하게 들어간 것들은 2천 엔이 훌쩍 넘어간다. <del>생긴 거나 가격이나 이쯤 되면 [[나베]] 요리. 우리나라도 냄비우동은 그냥 [[우동]]보다 비싸잖아.</del> {{각주}} [[Category:우동]] [[Category:나고야메시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미소니코미우동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