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미즈와리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미즈와리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みずわり(水割り)。 술에 물을 타 마시는 것을 뜻하는 일본어. [[위스키]]나 [[소주]] 같이 [[알코올]] 도수가 높은 술에 물을 타서 도수를 낮추어 마시기 쉽게 한 것. 뜨거운 물을 타서 마실 때에는 오유와리(お湯割り)라고 하며, [[탄산수]]를 타면 [[하이볼]]이 된다. 우리나라에서는 [[소주]]를 그냥 마시는 게 보통이고<ref>젊은 층을 중심으로 [[소주]]에 [[토닉워터]]를 타 마시는 걸 즐기는 사람들도 있다. 특히 화요 같은 [[증류식 소주]]를 이렇게 마시는 사람들이 많다. 다만 [[토닉워터]]에 타 마시면 [[소주]]의 향미는 상당 부분 가려지고 그냥 토닉워터 맛으로 먹는 것에 가까워진다. [[희석식 소주]]야 '맛'이랄 게 별로 없지만 [[증류식 소주]]는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. [[토닉워터]]는 [[진]]과 같이 향이 강렬한 [[증류주]]에 타 마시는 편이 낫다.</ref>, [[위스키]]도 온더락스로 주로 마시고 스트레이트를 마시는 사람들도 꽤 있기 때문에 술에 물을 타서 마시는 것을 뜻하는 용어가 딱히 없다. 반면 일본에서는 [[소주]]나 [[위스키]]를 미즈와리나 온더락스로 마시는 게 기본이다.<ref>그런데 우리나라는 90년대만 해도 25도였던 [[희석식 소주]]의 [[알코올]] 도수가 점점 낮아져서 이제는 17도 수준, 혹은 17도보다 조금 낮은 정도로까지 내려왔다. 이 정도면 거의 [[니혼슈]]에 가깝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게 별 센 것도 아니다. 일본 [[소주]]는 여전히 25~30도다.</ref> 따라서 [[소주]] 제조사도 이를 전제로, 그냥 마셨을 때보다는 미즈와리로 마실 때 맛있게 마실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 술을 만든다. [[위스키]]를 미즈와리로 마시는 건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다른 나라에도 잘 없는 편이다. 서양에서도 니트<ref>우리가 '스트레이트'라고 하는 걸 영어권에서는 니트(neat)라고 한다.</ref>, 온더락스, 업<ref>[[위스키]]를 쉐이커에 넣고 얼음을 넣어 흔들어 차게 한 다음 얼음은 걸러내고 액체만 잔에 따라 주는 것.</ref>과 같은 방식으로 마시는 걸 선호하는 편이고 아예 물을 타거나, 특히 얼음 없이 물만 타는 일은 별로 없다. 다만 서양의 [[위스키]] 전문 사이트에서도 적당한 양의 물을 탈 경우 향미가 더욱 좋아진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기사들이 여럿 있고, 실제로 [[버번]]이나 [[스카치 위스키]]를 만드는 메이커 쪽 사람들이 물을 타는 방법을 추천하기도 하는데, 특히 몇 방울 정도만 물을 넣어줘도 [[위스키]]의 향미를 열어준다("open up")고 한다. 이렇게 하면 [[피트]]향을 비롯해서 [[위스키]]의 향미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구아이아콜(guaiacol)이라는 물질이 위스키 표면 쪽으로 모이면서 향미를 느끼게 더 좋다는 것.<ref>[https://www.mashed.com/217934/the-real-reason-you-should-add-water-to-your-whiskey/ "The Real Reason You Should Add Water To Your Whiskey"], Mashed.com, 15 June 2020.</ref> 일본에서 [[증류주]]를 미즈와리로 마신 역사는 의외로 그렇게 오래되지 않은 1970년대다. [[산토리]]의 적극적인 마케팅에 힘입은 영향이 크다. 자극적인 향신료를 잘 사용하지 않고 해산물과 채소를 주로 사용하여 맛이 옅은 요리가 많은 일본음식과 [[위스키]]의 강한 알코올 도수 및 피트향이 그다지 잘 맞는 조합이 아니다 보니 일식 음식점에서는 [[니혼슈]]나 [[맥주]]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, 이를 극복하기 위해 [[산토리]]에서 미즈와리로 마시는 방법을 열심히 밀었던 것. 이렇게 [[위스키]]를 미즈와리로 마시는 문화가 정착되면서 다른 [[증류주]]로 퍼졌다는 것이 일본 주류업계의 관점이다. 나중에는 [[위스키]]에 [[탄산수]]를 타서 마시는 [[하이볼]]을 적극 밀어서 크게 히트를 친다. 한편으로는 당시 일본 [[위스키]]의 질이 별로 좋지 않았다는 것도 감안한 필요는 있다. 당시 일본 [[위스키]]의 품질은 요즘처럼 세계적으로 열광할 정도의 수준과는 한참 거리가 먼, 우리나라의 국내 주류 회사가 내놓던 [[위스키]]와 거기서 거기인 수준이었다. 아무튼 미즈와리의 개척자답게 [[산토리]]는 [[위스키]]에 물을 타 마시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.<ref>[https://www.suntory.co.jp/?ke=hd "ウイスキーのおいしい飲み方"], suntory.co.jp.</ref> * 미즈와리 : 잔에 얼음을 담고 [[위스키]]를 부은 후, [[위스키]]와 물의 비율이 1:2~2.5 정도가 되도록 물을 넣는다. 가볍게 저어서 차게 마신다. * 트와이스 업 : [[위스키]]에 상온의 물을 1:1 비율로 타는 것. * 하프 록 : 잔에 큰 얼음을 하나 넣은 다음 [[위스키]]를 붓고, 같은 양의 물을 넣는다. 가볍게 저어서 차게 마신다. * 위스키 플로트 : 잔에 얼음을 채운 후, 잔의 70% 선까지 물을 붓는다. 물의 표면에 바 스푼을 내고 [[위스키]]를 살살 부어서 물 위에 [[위스키]]가 층을 이루도록 해서 마신다.<ref>시간이 지나면 [[위스키]]와 물이 섞이지만 처음에는 눈에 보일 정도로 층이 져 있다.</ref> 도수가 높은 [[증류주]]는 물을 적당하게 타는 게 향미를 즐기는 데 더 도움이 된다. 도수가 높으면 알코올향이 너무 강해서 다른 향미가 눌리는 경향이 있는데, 물을 탐으로써 알코올 농도를 줄여주면 억눌려 있던 향미가 풀려난다. [[위스키]]에 물을 몇 방울 정도만 넣어줘도 단맛이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. 다만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는데, 순수한 증류수가 아닌 바에야 정수한 수돗물 혹은 생수를 타게 될 것이다. 물에도 미량의 미네랄 성분이 있는데 이게 술 속의 성분과 화학 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, 그렇지 않더라도 물 그 자체의 맛이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. 아래에 이야기할 [[우조]] 효과로 술이 뿌옇게 변할 수도 있고, 해서 원래 술에는 없던 캐릭터가 생길 수 있다. 예를 들어 물 자체가 상당히 단맛이 느껴지는 에비앙을 [[위스키]]에 탄다면? 특히 물이 나빠서 냄새가 난다든가, 석회질이 많다든가 하면 결과물도 좋을 리가 없다. [[과일]]을 재료로 한 [[증류주]]인 [[브랜디]]는 [[위스키]]와는 달리 실온 또는 살짝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는 게 좋은데, 따뜻한 물을 약간 타서 마시는 것도 방법이다. [[와인]]은 지금은 물을 탄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고대에는 지금처럼 찌꺼기를 걸러낸 맑은 술도 아니었고 농도도 걸쭉했는데 여기에 물을 타서 마셨다. 오히려 그리스 로마시대에는 술의 신인 디오니소스나 박카스만이 와인을 물 안 타고 그냥 마실 수 있고 인간이 그러면 야만스러운 짓이라고 생각했다. 다른 사람이 술에 취해 주정 부리는 걸 지금도 좋아하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그 때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훨씬 심했다. 가톨릭 미사 때에 신부가 마시는 [[포도주]], 즉 성혈에도 물을 약간 섞는데, 그 당시에 유대인들이 [[포도주]]를 그렇게 마셨기 때문에 최후의 만찬 때에도 분명히 [[포도주]]에 물을 탔을 거라는 가정에서였다.<ref>기독교의 미사 또는 성찬례는 최후의 만찬을 재현하는 것이므로, 지금의 상황에 맞추면서도 가급적 그 당시의 풍습도 존중하는 식으로 전례를 구성한다.</ref> 후대로 가면서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의 옆구리를 로마 병사가 창으로 찔렀을 때 피와 물이 나왔다는 복음 구절을 상징하는 의미라든가, 예수의 신성과 인성을 일치시키는 의식이라든가 하는 의미를 덧붙였다. 유럽에는 [[증류주]]에 아니스라는 약초 및 몇 가지 다른 약초나 향신료를 담가서 만드는 [[침출주]]들이 있다. 그리스의 [[우조]]가 가장 유명하고 [[이탈리아]]의 [[삼부카]], 프랑스의 [[파스티스]]와 [[압생트]], 터키의 [[라크]]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하는데, 아니스를 넣은 [[침출주]]는 투명하지만 물을 타면 [[우유]]처럼 뿌옇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.<ref>뿌옇게 변한 술에 물을 더 타면 다시 투명해진다.</ref> 이를 '우조 효과'라고 하는데, 이 때문에 [[우조]]나 라크 같은 술은 물을 타서 뿌연 상태로 마시는 방식이 널리 쓰인다. [[파일:Pablo Picasso, 1901-02, Femme au café (Absinthe Drinker)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|파블로 피카소, 카페의 여인 (압생트를 마시는 사람).]] [[압생트]]는 술이 담긴 잔 위에 압생트 스푼이라는 도구를 걸쳐놓고 그 위에 각설탕 하나를 올린 다음, 작은 수도꼭지가 달린 물통인 압생트 파운틴에 얼음물을 채우고, 술잔을 수도꼭지 아래에 둔 후 꼭지를 살짝 열어 물이 똑똑 떨어지게 해서 각설탕을 녹여 술에 떨어지게 하는 방법이 있다. 피카소도 이렇게 [[압생트]]를 마시려고 기다리는 사람의 그림을 남겼다. 다만 위 그림에서는 각설탕은 보이지 않는다. 반면 [[삼부카]]는 물 타지 않고 그냥 마시는 게 보통이다. <del>과연 [[에스프레소]]의 민족.</del> {{각주}} [[Category:술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미즈와리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