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밀맥주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밀맥주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밀을 싹틔운 [[밀맥아]]를 주원료로 한 맥주. [[밀맥아]]로만 만드는 것은 아니고 보통은 보리맥아와 [[밀맥아]]를 섞어서 쓴다. 흔히 떠올리는 밀맥주는 뿌옇고 흰색에 가까운 느낌, 고르지 않고 부풀어오른 듯한 거품이다. 밀맥주가 뿌연 이유는 [[효모]] 찌꺼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밀에 많이 들어 있는 [[단백질]] 때문. [[병맥주]]나 [[캔맥주]]를 가만히 놓아 두면 효모는 아래로 가라앉는데, 떠오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따라내어도 [[단백질]]은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[[맥주]]가 투명하지는 않다. 그래도 역시 [[효모]]까지 같이 따라내는 게 제격. 오히려 [[맥주]]를 좀 따라낸 다음 병이나 캔을 빙글빙글 회전시켜서 아래에 가라앉아 있는 [[효모]]를 띄워주는 것이 밀맥주 마시는 사람들이 보통 쓰는 방법이다. 필터로 걸러내면 맑은 [[맥주]]를 만들 수도 있으며 이를 크리스탈(crystal)이라고 부르지만 역시 밀맥주는 불투명한 게 제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. 보리맥아로 만든 [[맥주]]에 비해서 신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. 모습도 뿌연 데가가 맛도 뭔가 시큼하니 밀맥주를 모르는 사람은 이게 상했나? 생각할 수도 있을 듯. 이런 시큼함이 싫다면 [[벨기에]] 스타일의 비트비어 쪽으로 가는 게 좋다. [[필스너]]와 같이 보리맥아만으로 만든 [[맥주]]와 비교하면 맛이 부드러우나, 반대로 풍부하고 묵직한 맛과 향은 보리맥아 [[맥주]]에게 밀린다.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소규모 양조장 중심으로 만들어졌고 대량생산 되는 것으로는 [[프리미어 오비]]의 [[프리미어 오비#프리미어 오비 바이젠|바이젠]]이 처음이지만 얼마 못 가서 단종되었고, [[발포주]]인 [[필라이트]]가 바이젠을 내놓았다. [[밀맥아]]를 사용했지만 [[필라이트]] 자체가 본질이 [[맥주]]의 열화판인 [[발포주]]이므로 맛은 많이 떨어진다. 카스도 '카스 화이트'라는 이름으로 밀맥주를 내놓았는데, 오비맥주가 [[호가든]]을 OEM 생산하고 있어서 그런지 고수(코리앤더) 씨앗이 들어가서 벨기에 비트비어 스타일의 맛이 난다. 오렌지 껍질은 안 들어가기 때문에 [[호가든]]과 같은 향미에는 못 미치지만 대량생산 국산 밀맥주로는 의외로 괜찮다는 반응이 많다. 문제는 처음 출시 때에는 괜찮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슬금슬금 재료를 다운그레이드시키는 게 오비맥주의 종특인지라...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. [[독일]]을 중심으로 한 바이스비어(Weißbier)와 [[벨기에]]를 중심으로 한 비트비어(Witbier). [[흑맥주]]로도 만들 수 있다. 밀맥주라고 해도 어차피 보리[[맥아]]가 들어가므로 [[흑맥주]]에 쓰는 로스팅한 [[맥아]]를 쓰면 되고, 밀맥아라고 해서 로스팅 못할 게 뭔가? ==바이스비어== [[파일:Schofferhofer draught beer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|[[독일]] 쉐퍼호퍼의 바이젠 [[생맥주]]]] [[독일]]의 [[바이에른]] 지방에서 주로 발달한 방식으로 바이스(Weiß)는 '흰색'이라는 뜻이다. 그런데 막상 [[맥주]]는 흰색이 아니다. 오히려 우리나라의 [[말오줌]]과 비교하면 갈색에 가까울 정도로 진하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뿌연 모습과, 그나마 바이스비어가 생겨날 당시의 [[독일]] [[맥주]]보다는 색깔이 밝았기 때문에 '흰색'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. 지금은 [[필스너]]로 대표되는 [[라거]]의 천국이지만 옛날에는 [[독일]]도 [[에일]]이 주종이었고<ref>[[라거]] 자체가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.</ref>, 색깔이 짙었다. 바이스비어 역시 [[에일]] 양조법으로 만들었으며, [[보리]]맥아로 만든 [[에일]]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색깔이 밝았던 것. 지방에 따라서는 바이젠비어(Weizenbier)라고도 부른다. 사실 [[독일]]은 [[맥주순수령]] 때문에 보리[[맥아]]밖에는 못 쓰게 되어 있었는데<ref>[[맥주순수령]]의 배경이 밀맥주 인기가 높다 보니 [[밀맥아]] 사용량이 높아져서 [[빵]] 만들 밀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.</ref>, [[바이에른]] 지방만 유일하게 밀맥아 사용을 허용 받았다. 바이젠(Weizen)은 '밀'이라는 뜻. [[독일]] 바깥에서는 바이스비어보다 바이젠을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. 우리나라에서도 [[프리미어 오비]]나 [[필라이트]]가 밀맥주 버전에 바이젠이라는 이름을 쓴다. [[독일]]의 규정에 따르면 전체 [[맥아]] 가운데 50% 이상을 밀맥아로 만들고 [[상면발효]]법으로 만들어야 한다. [[라거]] 천하가 된 [[독일]]에서 [[에일]]로 살아남아 있는 셈이다. [[효모]] 찌꺼기를 거르지 않고 병입한 헤페바이스비어 또는 헤페바이젠비어라고 부른다. 헤페(Hefe)는 [[효모]]를 뜻한다. 바이에른 지역에서는 아침에 브레첸(Brezen)<ref>매듭 모양으로 만든 빵. 우리에게는 '프레젤'로 많이 알려져 있고, 독일 안에서는 '브레첼(Brezel)'이라고 하지만 독일 남부에서는 '브레첸'이라고 한다.</ref>과 [[소시지]]의 일종인 바이스부르스트와 함께 바이스비어를 즐기기도 한다.<ref>[http://www.packingmysuitcase.com/2015/12/27/the-traditional-bavarian-breakfast/ "The Traditional Bavarian Breakfast"], Packing my Suitcase.</ref> 물론 늘 그런 것은 아니라 주로 일 걱정 없는 주말 같은 때. 바이스부르스트(Weißburst)도 바이스비어와 마찬가지로 흰색을 뜻하는 Weiß가 들어가며, 이름처럼 정말 흰색을 띠는 [[소시지]]다. 희고 굵직한 [[소시지]]로 길이 방향으로 잘라 반을 가른 다음 [[머스타드]]를 얹어 먹는다. ==비트비어== [[벨기에]]를 중심으로 발달한 밀맥주로 [[코리앤더]], [[오렌지]] 껍질과 같이 향미를 더하는 재료들과 함께 양조한다. 밀맥주 특유의 시큼한 맛을 가려주고 [[허브]]의 풍미가 단맛과 잘 어울려서 바이스비어보다는 좀 더 마시기 편하다.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좋은 밀맥주인 [[호가든]]이 이 방식으로 만드는 맥주. 가장 인기 높은 건 역시 [[벨기에]] 맥주인 [[호가든]]. 아예 [[오비맥주]]에서 라이선스를 받아서 생산하고 있는데, [[벨기에]] 오리지널에 비해 맛이 떨어진다는 얘기들이 종종 나온다. 오가든이라고 비하해서 부르기도 하는데, [[오비맥주]] 측은 정확하게 같은 레서피로 만들고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. 그러나 모 [[맥주]] 동호회에서 [[블라인드 테스트]]를 한 결과 전부 다 차이를 구별했다는 전설이... 한국에서 [[벨기에]] 오리지널 [[호가든]]을 마시고 싶다면 [[생맥주]]를 찾아야 한다. [[생맥주]]는 [[벨기에]]에서 들여온다. 그밖에 [[프랑스]]의 [[크로낭부르]] 1664 블랑<ref>우리나라에서는 그냥 '블랑'이라고 많이 부르지만 1664 브랜드의 밀맥주 버전이므로 정확하게는 '1664 블랑'이다.</ref>, [[미국]]의 블루문과 같은 [[맥주]]들이 한국에서 마실 수 있는 비트비어이고 국내의 여러 [[마이크로 브루어리]]에서도 [[크래프트 비어]]로 만들고 있다. 참고로 이쪽 [[맥주]]는 우리나라에서는 [[맥주]]로 분류하지만 [[일본]]에서는 무조건 [[발포주]]다. 주세법상 [[맥아]]나 [[밀맥아]]가 아닌 [[코리앤더]]나 [[오렌지]] 껍질 같은 것들이 들어가면 [[발포주]]로 분류하기 때문. {{각주}} [[Category:맥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밀맥주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