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발포주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발포주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発泡酒(はっぽうしゅ)。일본어 발음으로는 '합포―슈'에 가깝다. [[맥주]]의 일종, [[일본]] 전용 용어다. 말 그대로 풀이해 보면 기포가 나는 술이란 뜻이다. [[맥주]]같긴 한데 진짜 [[맥주]]는 아닌 그런 술이다. 심지어는 [[맥주]]라고 보기도 그렇고 [[비어]]로 봐야 하는 술도 있는가 하면 [[일본]]이이라서 [[맥주]] 아닌 발포주 취급을 받는 술도 있고... 아무튼 [[일본]]의 복잡한 주세법과 [[일본]] [[맥주]]회사의 잔머리가 결합되어 제대로 꽃핀 개념. [[일본]]의 주세법 제3조에 따르면 술은 [[맥주]], [[리큐어]], 잡주를 비롯해서 17개 종류로 나뉜다. [[맥주]]에 대한 주세는 [[보리]]의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. 또한 [[독일]]의 [[맥주순수령]]도 나름대로 갖다 써서 [[맥주]]에 넣을 수 있는 재료가 제한되어 있다. 그밖에 재료를 넣으면 [[맥주]]가 아닌 발포주로 분류된다. [[일본]] 주세법에 따른 [[맥주]]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. {{Quotation| 제3조 12 맥주 : 다음에 제시하는 주류에 알코올 도수가 20도 미만인 것으로 한다. # [[맥아]]<ref>[[밀맥아]] 포함.</ref>, [[홉]] 및 물을 원료로 발효한 것. # [[맥아]], [[홉]], 물, 그리고 보리 기타 다른 정부령에서 정한 물질을 원료로 해서 [[발효]]한 것. (그 원료 중 [[맥아]]의 무게가 [[홉]] 또는 물 이외의 원료 무게 합계의 50/100를 넘는 것으로 하며, 그 원료 중 정부령에서 정한 물질의 무게 합계가 [[맥아]] 무게의 5/100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한다) # 1 또는 2에 제시한 주류에 [[홉]] 또는 정부령에서 정한 물질을 첨가해서 [[발효]]한 것. (그 원료 중 [[맥아]]의 무게가 [[홉]] 또는 물 이외 원료의 무게 합계의 50/100를 넘는 것으로 하며, 그 원료 중 정부령에서 정한 물질의 무게 합계가 [[맥아]] 무게의 5/100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한다)}} 이것도 2018년에 개정된 주세법이 2020년에 발효되면서 많이 완화되었다.<ref>[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180402059800009 "일 '맥주 정의' 변경…과일·허브 맥주 대거 나온다"], 연합뉴스, 2018년 4월 2일.</ref> 그 이전에는 예를 들어 [[벨기에]]의 [[호가든]]처럼 [[코리앤더]], [[오렌지]] 껍질을 비롯한 향신료를 사용하는 것도 발포주로 분류되었다. 반면 이런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[[독일]]의 [[바이젠]] 같은 [[밀맥주]]는 [[맥주]]로 분류되었다. [[크래프트 비어]] 중에서도 발포주로 분류되는 게 부지기수였다. 지금은 개정된 주세법에 따라 맥아 함량의 5%까지는 과일, 향신료 같은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 호가든도 [[맥주]]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고, 일본의 [[맥주]]회사들도 좀 더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게 되었다. 한편 [[일본]] 주세법에 따른 발포주의 정의는, {{Quotation| 제 3조 18 발포주 : [[맥아]] 또는 [[보리]]가 원료의 일부인 주류(같은 법 제3조 제7호부터 17호까지에 나와 있는 주류 및 [[맥아]] 또는 [[보리]]를 원료의 일부로 한 [[알코올]] 함유물을 증류한 것을 원료의 일부로 한 것은 제외)로 발포성을 가진 것을 뜻한다([[알코올]]이 20도 미만인 것에 한정한다).}} 이들 조항을 합쳐 보면 [[맥주]]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된 재료가 아닌 재료를 넣었거나, 허용된 재료라고 해도 [[맥아]]의 50%를 넘어가면, 즉 원료 중 [[맥아]] 함량이 2/3 이하가 되면 발포주가 된다. 350ml 작은 캔맥주 기준으로 보면 [[맥주]]의 주세는 77엔이고 발포주는 46.99엔이므로 주세절감 효과가 30엔에 이른다. 여기에 원가도 발포주 쪽이 더 싸므로 더더욱 저렴한 '[[맥주]] 비스무리한 술'이 된다. [[일본]] 경제가 한참 잘나갈 때에는 별 관심을 못 받았다. [[거품경제]]가 절정일 때에는 회사원들도 [[룸살롱]]에서 [[로마네페리뇽]]을 처마실 때였으니 발포주 따위가 눈에 들어올 리가 없었다. 그러나 거품이 빠지고 장기 불황에 접어들면서 상황은 완전히 반전되었다. [[맥주]]고 뭐고 이제는 조금이라도 싼 것을 찾게 되니, [[맥주]]회사들이 생각하길 '그러면 [[보리]] 함량을 줄여서 세금이 싼 [[맥주]]를 만들면 되겠네?' 하고 생각한 것. 게다가 소비세까지 오르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 발포주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.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이 [[기린맥주]]에서 내놓은 [[탄레이]]. 이게 대박을 치면서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 때문에 [[맥주]] 시장에서 밀리던 [[기린맥주]]가 다시 [[아사히맥주]]를 밀어내는 기염을 토했다. 다른 [[맥주]] 회사들이 발포주 개발에 불이 붙은 건 당연한 얘기. [[편의점]]에 가보면 [[맥주]] 냉장고에 진짜 [[맥주]]는 3분의 1, 발포주는 3분의 2일 정도로 훨씬 종류가 많다. 처음에는 [[맥주]]와 비교했을 때 정말 질 떨어지는 <del>한국 [[맥주]]급의</del> 술이었지만<ref>사실 [[일본]]의 [[드라이 맥주]]도 [[한국 맥주]]보다 딱히 맛이 있다고 하기는 뭐하다. <del>비싸니까 맛있다고 최면을 거는 거지</del> 하지만 둘 사이의 차이는 품질 관리가 잘 되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.</ref> 인기가 높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품질이 많이 향상되었다. 심지어는 [[생맥주]]처럼 통에 담아 업소로 나가는 타루나마 발포주도 있으며, 저렴한 술집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. 그래 봤자 역시 진짜 [[맥주]]보다는 맛이 없는 건 사실. [[파일:Share of beer production by type in japanese market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2015년 [[일본]] 주요 4개 [[맥주]] 회사의 유형별 [[맥주]] 계열 생산 비율.]] 위 그래프를 보면 [[아사히맥주]]와 [[삿포로맥주]]는 [[맥주]] 생산량이 절반을 넘지만 [[기린맥주]]는 발포주와 [[제3맥주]] 비중이 더 높다. 심지어 [[산토리]]는 아예 발포주는 없고 거의 3분의 2가 [[제3맥주]]다. [[산토리]]야 원래 [[위스키]]가 주력이었고 [[맥주]] 시장에서는 후발 주자였지만 전통의 강자 [[기린맥주]]가 [[맥주]] 생산 비율이 저렇게 쪼그라든 건 좀 안습. 대체로 보면 [[일본 맥주]] 시장이 양극화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, [[맥주]]만큼 맛난 것도 아니고 [[제3맥주]]처럼 싼 것도 아닌 발포주 시장은 둘 사이에 끼여 쪼그라드는 형세를 보이고 있다. 하지만 발포주가 꼭 싸구려 대량생산 [[맥주]]인가 하면 절대 아니다. 소량 생산되는 [[일본]] [[맥주]], 이른바 지비루(地ビール) 중에는 발포주가 많다. 이를 지합포슈(지발포주, 地発泡酒)라고 한다. 지역에서 소량 생산되는 [[맥주]]를 만들면 나름대로 자부심이 있으실 텐데 한 단계 낮은 발포주로 허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최저 생산량. [[맥주]]를 일반판매 하려면 연간 생산량이 최소 6만 리터가 될 수 있는 시설을 갖춰야 한다. 반면 발포주는 6천 리터로 10분의 1이니까 부담이 적다. 게다가 2020년 개정 주세법 발효 전까지는 과일이나 향신료를 사용한 [[맥주]]를 만들려면 일본 주세법에서 정의한 [[맥주]]에는 어긋나므로 짤없이 발포주로 빠졌다. 그런데 발포주로 빠지면 세금이 적게 부과되기 때문에 일부러 이 점을 이용해서 세법상 [[맥주]]에 넣어서는 안 되는 재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지비루들도 있다. 대체로 [[유럽]]에서 [[맥주]]에 사용하지만 [[일본]]에서는 인정 안 되는 [[과일]]이나 향신료<ref>대표적인 게 [[벨기에]] [[밀맥주]]에서 많이 쓰이는 [[오렌지]] 껍질이나 [[코리앤더]] 같은 것들.</ref>, 또는 지역의 [[킨샤치나고야아카미소라거|특산물]]을 넣는 식이었는데, 발포주 1이 [[맥주]]와 세금이 차이가 없어지면서 무용지물이 됐다. 아무튼 발포주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자 당연히 [[일본]] 정부는 여기다가 세금을 더 걷고 싶어서 온몸이 근질해졌다. 결국 2006년 발포주와 관련된 세법을 개정했다. 이에 따르면 1리터 당 주세는 다음과 갘다. * 맥아 함량 50% 이상 : 220엔 (발포주 1) * 50% 미만 25% 이상 : 178.125엔 (발포주 2) * 25% 미만 : 134.25엔 당시에는 [[맥주]]와 발포주를 가르는 [[맥아]] 함량 기준이 67%였는데, 세법 개정에 따르면 [[맥아]] 함량이 50% 이상인 발포주의 세금은 [[맥주]]와 같아졌다.<ref>2018년 개정 주세법에서 [[맥주]]의 [[맥아]] 함량 하한선을 50%로 낮추었기 때문에 이들 발포주는 [[맥주]]에 허용된 부재료를 쓰지 않는 한은 이제 [[맥주]]로 분류된다.</ref> 또한 [[맥아]] 함량에 따른 세금이 더욱 세분화 되었다. [[맥주]]회사들은 이에 맞춰 더더욱 [[맥아]]의 함량을 줄이거나 심지어는 발포주에도 속하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<del>짝퉁</del> [[맥주]]인 [[신쟝르]](新ジャンル), 혹은 [[제3맥주]]를 만드는 것으로 맞섰다. 원조로는 [[맥아]]는 한 톨도 안 쓰고 완두통 단백질을 주재료로 한 [[삿포로 드래프트원]]이며, 이쪽으로 제대로 히트 친 게 산토리의 킨무기(金麦)<ref>킨무기에는 [[맥아]]가 들어간다. 일단 이름에 보리 맥(麥)을 써 놓고 맥아가 안 들어가면 소비자를 오인시킬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.</ref>로, 이후 신장르 [[맥주]]들이 우루루 쏟아져 나오면서 [[일본]] [[맥주]] 시장의 주류를 차지하기까지 한다. [[제3맥주]]는 발포주에 [[알코올]]을 넣어서 도수를 맞춰 [[맥아]] 함량을 더 떨어뜨리는가 하면 아예 [[맥아]] 한 톨 안 들어가고 [[옥수수]]나 [[콩]]을 사용하는 것까지도 있다. [[일본]] [[슈퍼마켓]]에서 싸구려로 팔리는 발포주를 보면 은근히 한국산들이 있다. 하긴 우리나라 [[맥주]] 품질이 [[일본]] 발포주 정도이긴 한데, 어지간한 [[일본]] 발포주가 오히려 한국 [[맥주]]보다 낫다는 걸 생각해 보면 이건 뭐... 한국의 하이트에서 생산한 발포주는 일본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. 단, 주로 PB 상품으로 팔리고 있어서 라벨 표시를 잘 들여다 봐야 한국산인지 알 수 있다. 맛은 [[맥아]]의 함량이 부족한 만큼 아무래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. 이런저런 대체물로 알코올을 채우고 향미도 보완하지만 역시 오리지널만큼은 안 되는 게 현실. 싸서 마시는 [[술]]이지 맛 때문에 마시는 술은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...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의 입맛도 길들여지고, [[맥주]]회사들 사이 경쟁으로 계속해서 발전된 제품이 나오다보니 이제는 [[맥주]]보다 발포주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다.<ref>우리나라도 [[맥주]]나 [[소주]]보다 [[소맥]]을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.</ref> [[맥아]]가 주는 특유의 향미를 모두가 좋아하는 건 아니라서 상대적으로 [[맥아]]향이 약한 발포주를 선호는 사람들도 있는 것. 한편으로는 맛이 가벼운 일본음식에는 [[유럽]]의 [[맥아]]향 진한 [[맥주]]보다 일본식 [[드라이 라거]]가 더 낫다는 견해도 있기 때문에 이런 맥락에서 맛이 가벼운 음식에는 오히려 발포주가 더 나을 수 있다. 기름지기는 해도 소스 같은 것으로 맛을 진하게 내지 않은 [[튀김]]류에는 [[하이볼]]이나 발포주도 괜찮은 조합이다. 그런데 복잡한 일본의 주세 체계가 단순화되고, 발포주나 [[제3맥주]]의 이점이 점진적으로 사라지는 중이다. [[일본]] 정부의 주세 개정에 따르면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2020년부터 [[맥주]]의 세금은 낮아지고 발포주나 [[제3맥주]]의 주세는 3년 단위로 높여서 2026년에는 세금을 똑같게 하도록 되어 있다. (350ml 기준) {| class="wikitable" |- ! 주종 !! 현행 !! 2020년 10월 !! 2023년 10월 !! 2026년 10월 |- | [[맥주]] || 77.00엔 || 70.00엔 || 63.35엔 |rowspan="3"| 54.25엔 |- | 발포주 |colspan="3"| 46.99엔 |- | [[제3맥주]] || 28.00엔 || 37.80엔 || 46.99엔 |} 그래도 발포주나 [[제3맥주]] 쪽이 원가는 싸므로 조금이라도 저렴하긴 하겠으나, 가격 메리트는 확실히 많이 줄어들 것이다. ==한국에서== 한국에도 발포주, 아니, 일본 기준으로 보면 [[제3맥주]]에 해당하는 술이 나왔고, 심지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. 바로 하이트진로에서 만드는 [[필라이트]]. 우리나라의 주세법에는 '발포주'라는 분류가 없기 때문에 필라이트는 공식적으로 발포주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지만 만드는 방법이나 저렴한 가격, 그리고 그런 저렴한 가격이 가능한 이유를 보면 딱 일본 발포주 포지션이다. 필라이트는 [[맥아]] 함량이 낮기 때문에 출고가도 낮은 데다가 세법상 맥주가 아니라 '기타주류'로 분류되므로 주세까지 낮다. 2019년 편의점 기준으로 500 ml 한 캔에 1,600원에 판다. 국산 맥주가 2,500~2,700원 정도인 걸 생각하면 엄청난 가격 경쟁력. 물론 제대로 만든 [[맥주]]보다야 맛은 떨어지지만 일본에서 발포주가 히트친 것도 결국 버블 경제가 무너진 후 주머니가 허전해진 사람들을 사로잡은 가격 경쟁력 문제였고, 한편으로는 [[말오줌|한국 맥주]]가 대단히 맛있던 것도 아니었으니 그게 그거 아닌가, 하는 정서도 있고, 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. OB맥주에서도 그냥 보고만 있을 수는 없었는지 '필굿'이라는, 이름부터 누가 봐도 필라이트의 미투 제품이란 게 뻔해 보이는 제품을 내놓았다. 자진해서 발포주라고 이야기하지 않는 [[필라이트]]와는 달리 이쪽은 대놓고 캔에다가 발포주라고, 심지어 일본어인 Happoshu라고 써놓고 있다. 필라이트가 코끼리를 캐릭터로 내세우고 있다면 필굿은 <del>술</del>고래를 내세우고 있다.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일본의 기준으로 보면 이것도 발포주라기보다는 [[제3맥주]]다.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[[발포주]]는 그다지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. 대량생산 [[맥주]] 가격이 그닥 비싼 것도 아니고, 역시 [[맥주]]보다는 맛이 없다. 그리고 일본처럼 회사들이 열을 올리면서 경쟁해서 다양한 제품을 쏟아내는 것도 아니다. 값 싸고 많이 마실 수 있는 걸 찾는 대학생들은 꽤 찾는 편이지만<ref>특히 MT 같은 경우에는 작정하고 밤새도록 많이 마시게 마련이라 인기가 있다.</ref> 대체로 값싼 틈새시장 정도에 그치고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맥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Main other
(
원본 보기
)
틀:Quotation
(
원본 보기
)
틀:Quotation/styles.css
(
원본 보기
)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발포주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