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브랜디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브랜디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과일]]을 원료로 한 [[증류주]]. [[포도]]가 가장 널리 쓰이고 [[사과]]도 주요한 원료 중 하나다. [[와인]]이 넓은 의미로는 [[과일]]을 발효시켜서 만든 모든 [[술]]에 해당되지만 보통은 [[포도주]]를 뜻하는 것처럼, 브랜디도 워낙에 [[포도]]가 주원료인 것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이쪽의 뜻으로 널리 통한다.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무색 투명한 상태의 브랜디는 [[오드비]](eau de vie, 생명의 물이라는 뜻)<ref>다만 [[프랑스어]] 사용자들은 숙성을 했든 안 했든 그냥 [[증류주]]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사용한다.</ref>라고 부르는데, 이 상태로 그냥 판매되는 것도 있다. 대표격이 [[그라파]]. 싸구려 브랜디 중에는 그냥 [[캐러멜색소]] 집어넣어서 [[오크통]] 숙성 시킨 것처럼 흉내만 낸 것들도 있다. 이론적으로 보면 [[효모]]가 서식할 수 있는 [[당분]]이 있어서 [[술]]로 만들 수 있는 [[과일]]이면 뭐든 브랜디로도 만들 수 있다. [[곡물]]을 원료로 한 [[증류주]]는 [[위스키]]라고 부른다. [[용설란]] 시럽으로 만든 [[테킬라]]나 [[사탕수수]]로 만든 [[럼]]은 주 원료가 [[곡물]]도 아니고 [[과일]]도 아니지만, 이미 [[당분]]이 있는 상태에서 [[효모]]만 투입해서 [[술]]을 만들고 이를 [[증류]]하기 때문에 만드는 방법으로 본다면 브랜디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. 브랜디 하면 뭐니뭐니 해도 [[코냑]]의 나라 [[프랑스]]라고 생각하시겠지만 판매량으로 보면 의외로 [[인도]]가 최강이다.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브랜디도 맥도웰 넘버원 브랜디 (McDowell's No. 1 Brandy).<ref>[http://www.thespiritsbusiness.com/2014/07/the-worlds-10-best-selling-cognac-and-brandy-brands/ "The world’s 10 best-selling Cognac and brandy brands"], ''The Spirits Business'', 10 July 2014.</ref> 그 유명한 [[헤네시]]도 이 녀석에 비하면 [[콩라인]]밖에 안 된다. 덕분에 [[인도]] 회사인 [[유나이티드 스피릿]]이 생산 규모로는 브랜디 세계 1위이고, [[증류주]] 전체를 통틀어서도 세계 2위다.<ref>[https://www.bonappetit.com/drinks/article/liquor-distributor-guide, "Who Are the 5 Biggest International Liquor Distributors?"], bon apétit, 13 January 2014.</ref><ref>참고로 세계 [[증류주]] 시장 점유율 1위는 [[디아지오]]인데 [[유나이티드 스피릿]]의 지배주주이기도 하다.</ref> 물론 어디까지나 판매량 기준이지 품질이 최고란 얘기는 아니다. ==등급== [[위스키]]는 숙성 년수 를 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브랜디는 드문 편이다. 숙성 기간이 다른 여러 원액을 블렌딩하기 때문이긴 하지만 [[위스키]]도 이건 마찬가지다. [[위스키]]의 숙성 년수 표시는 블렌딩한 원액 중 숙성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을 기준으로 한다. 브랜디는 년수 대신 등급을 라벨에 표시하는 게 보통이다. * V.S. : Very Special을 줄인 말이다. <del>[[프랑스]]가 주 무대인데 어째 [[영어]] 약자를 쓰네?</del> 블렌딩한 원액은 최소 2년 이상 캐스크에서 숙성된 것이어야 한다. * V.S.O.P. : Réserve 또는 V.O.라고도 쓴다. Very Super Old Pale을 줄인 말 블렌딩한 원액은 최소 4년 이상 캐스크에서 숙성된 것이어야 한다. * X.O. : Extra 또는 Napoléon이라고도 쓴다. eXtra Old를 줄인 말. 블렌딩한 원액은 최소 6년 이상 캐스크에서 숙성된 것이어야 한다. * Hors d'âge (오르다쥬, "beyond age") : [[코냑]]에서는 이 용어가 X.O.와 같지만 실제 제품에서는 메이커가 만드는 최고급 [[코냑]]을 뜻하는 용어로 쓰인다. 아르마냑은 블렌딩한 원액이 최소 10년 이상 캐스크에서 숙성된 것이어야 한다. [[위스키]]는 6년 숙성 정도는 싸구려 급으로 보는 편이지만 브랜디는 X.O.가 최소 6년인 걸 보면 좀 심하다 싶긴 한데, 유명하고 가격도 비싼 브랜디는 물론 6년 숙성으로 만들지는 않는다. 어디까지나 최소 6년이라는 것이고, 보통은 10년 이상 된 원액을 블렌딩한다. X.O.라고만 붙이기 왠지 아까운, 수십년 된 원액으로 블렌딩한 것들은 메이커마다 루이 14세라든가, 좀 더 있어 보이는 타이틀을 붙여서 내놓는다. ==마실 때== [[파일:Brandy warming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뜨거운 물이 담긴 잔 위에 브랜디 잔을 걸쳐서 따뜻하게 데울 수 있다.]] 따뜻하게 마시는 게 좋다. [[위스키]]처럼 [[온더락스]]로 마시면 정말 꽝이다(물론 어디까지나 개인 취향이 존재한다). 그냥 먹고 취하자는 목적이 아니라면. 너무 독하다 싶으면 [[온더록스]]가 아니라 반대로 따뜻한 물을 부어서 마시는 것이 좋다.<ref>사실 우리나라는 [[증류주]]를 지나치게 높은 도수 그대로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습관이 있다. 독한 [[알코올]]을 그대로 들이키면 식도나 위에도 좋지 않지만 지나치게 강한 [[알코올]]향 때문에 술 특유의 향미를 제대로 느끼는 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. 물을 조금 타서 마셔보면 스트레이트 때에는 느끼지 못했던 여러 가지 향미들이 살아나는 것을 느낄 수 있다. 처음에는 몇 방울 정도만 넣어 보고 마시면서 어느 정도가 딱 좋은지 조금씩 물을 추가해 볼 수 있다.</ref> 하지만 [[사케]]처럼 뜨겁게 마시라는 뜻은 아니다. 그랬다가는 [[알코올]]이 확 휘발되어서 향이 너무 독해진다. 상온 또는, 상온보다는 약간 높은, 따뜻하다고 느낄 정도가 딱 좋다. 물론 취향에 따라 [[온더록스]]로 차갑게 마실 수도 있다. [[위스키]]와는 달리 마치 [[와인잔]]처럼 보울이 큰 잔에 조금만 담아서 보울의 아래 부분을 잡고 체온으로 따뜻하게 해 가면서 마시는 게 정석. 잔을 미리 따뜻하게 데우는 것도 방법이다. [[와인]]처럼 [[스월링]]으로 보울에 향이 가득 차도록 하면서 마시면 정말 좋다. ==브랜디의 종류== [[:분류:브랜디]] 항목 참조. 브랜디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을 꼽으라 하면 뭐니뭐니해도 [[코냑]]. [[포도]] 브랜디의 일종이다. 정확히 말하면 [[프랑스]] [[코냑]] 지방에서 만든 [[포도]] 베이스의 브랜디에만 [[코냑]]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. 비슷한 것으로 역시 [[프랑스]] [[아르마냑]] 지역에서 생산되는 [[아르마냑]]이 있고 사과 또는 배로 만든 [[칼바도스]]가 있다. 양으로는 [[인도]]가 가장 많지만 확실히 명성으로 보면 [[프랑스]]가 꽉 잡고 있다. 한국에서도 한때 브랜디<del>라는 이름을 단 정체불명의 증류주</del>가 나온 바 있다. 마패브랜디와 해태 나폴레옹이 그 예.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다. 그런데 국순당에서 로얄 나폴레옹이라는 것을 내놓았다. 성분을 보면 수입산 원액 75%, 국산 원액 25%, 그리고... [[정백당]]과 [[캐러멜색소]]가 들어가 있다...<ref>색소는 [[오크통]] 숙성 분위기를 내기 위해서 넣은 듯. [[설탕]]은 좀 의아할 수 있는데 숙성을 거친 [[위스키]]나 브랜디는 은은한 단맛을 가지고 있다. 이는 나무 자체에서 우러나올 수도 있지만 보통 [[증류주]] 숙성에 쓰이는 [[오크통]]은 [[와인]]을 양조했던 통을 많이 쓰기 때문에 나무에 스며든 [[와인]]이 배어나온 것일 수도 있다.</ref> [[Category:증류주]]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브랜디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