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The premium malts logo.jpg|프레임없음]] サントリーザプレミアムモルツ. 제품명만 얘기할 때에는 더 프리미엄 몰츠(ザプレミアムモルツ)라고 하며, [[영어]]로는 Suntory the Premium Malt's다. 위 마크를 보면 The가 먼저 나오는데, 회사명인 Suntory가 밑으로 빠져 있어서 The Premium Malt's - Suntory와 같은 식으로 된 것. 한국에서는 더(the)가 빠지고 [[산토리]] 프리미엄 몰츠로 통한다. 그나마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주문할 때 '[[산토리]]'라고 한다.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[[산토리]] [[맥주]]는 아직까지 이것 하나 뿐이라 헷갈릴 염려는 없긴 하지만. [[일본]]에서는 '프레모르'라고 줄여부른다. [[산토리]]도 광고에서 이렇게 부른다. [[일본]] [[산토리]] 사의 프리미엄급 [[필스너]] [[맥주]]. [[위스키]] 분야에서는 [[일본]] 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 왔지만 [[맥주]] 분야에서는 빅 3([[아사히]] [[기린맥주|기린]] [[삿포로]])에 비해 넘사벽으로 처져 있던 [[산토리]]를 부활시킨 일등공신. [[일본]]의 프리미엄 [[맥주]] 시장은 [[삿포로]]의 [[에비스맥주]] 시리즈가 꽉 잡고 있었지만 [[산토리]]가 이 [[맥주]]로 이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올렸다. [[아사히]]와 [[기린]]은 여전히 비실대는 중. 특히 [[아사히 슈퍼드라이]]로 일본 시장을 꽉 잡은 [[아사히]]는 여세를 몰아 여러 차례 프리미엄 시장에 도전했으나 모두 실패. 2015년에는 [[아사히 슈퍼드라이 프리미엄]]을 내놓았으나 역시 별 재미는 못 볼 것이 예상된다. <del>올 [[몰트]]도 아닌 게 무슨 프리미엄이야 얼어죽을.</del> [[파일:Suntory kyoto brewery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교토]] [[브루어리]]([[맥주]] 공장). 왼쪽에 보이는 원통 모양의 구조물들은 [[맥주]] 숙성 보관 탱크로, 탱크 하나에 33만 리터(940만 잔)를 넣을 수 있다.]] 첫 선을 보인 것은 1989년으로, 당시에는 '몰츠 슈퍼 프리미엄'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. 이 때는 [[도쿄]] 인근에 있는 무사시노 공장에 만든 소규모 시설인 미니 [[브루어리]]<ref>일반 [[맥주]] 생산 시설의 20분의 1 수준 규모라고 한다.</ref>에서 소량 생산해서 한정판으로 출시했다가 반응이 좋자 2003년에 브랜드를 '더 프리미엄 몰츠'로 확 갈아 엎고 본격 판매에 나섰다. 지금은 무사시노 말고도 [[교토]], [[군마현]] 토네가와, [[쿠마모토현]] 아소에도 공장이 있다. 토네가와를 제외한 세 곳은 무료 공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. 서양 쪽 [[맥주]] 리뷰 사이트의 반응은 그냥저냥한 수준이다. 점수를 짜게 주는 사람들은 [[필스너]] 치고 너무 묽다거나<ref>[[필스너]]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체코의 [[필스너우르켈]]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확실히 난다.</ref>, 향미가 자연스럽지 않다는 반응. 하지만 서양 사람들 중에서도 마니아 층들도 있고, 산토리도 최근 들어서는 서양권 공략을 열심히 하고 있다. 우리나라에서는 초기에 작은 병 하나가 2만 원이나 할 정도로 너무 비싸게 들어오다 보니 [[몽드 셀렉션]] 드립까지 겹쳐서 이게 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하게 대단한 [[맥주]]인 양 포장된 경향도 있는데, 아무튼 서양 쪽의 평가는 박한 편이다. 하지만 캐릭터만큼은 확실해서 눈 가리고 마셔봐도 이 [[맥주]]만큼은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개성 하나만큼은 강하다. 우리나라에는 없지만 이 [[맥주]]보다 한 단계 낮은 [[산토리 더 몰츠]]도 있다. 이것도 [[맥아]] 100%다. <del>물론 그 아래로는 온갖 [[제3맥주]]가 넘쳐난다.</del> 나오기는 [[산토리 더 몰츠]]가 더 먼저 나왔다. ==특징== 재료의 품질을 많이 내세우는 편으로, 다이아몬드 [[몰트]]를 사용하고 노블 [[홉]] 중 최고로 치는 [[체코]] 자츠 지역 [[홉]]을 사용한다는 점을 강조한다. 물도 천연수를 사용한다고 내세운다. 자기들 말로는 [[일본 맥주]] 중에서 천연수 100%를 사용하는 건 더 프리미엄 몰츠밖에 없다고 엄청 자랑한다.<ref>소량 생산하는 [[크래프트 맥주]]는 제외.</ref> 초창기에는 [[몽드 셀렉션]] 금상 수상을 줄곧 자랑해 왔으나 이후 [[하이트 드라이피니시]]나 [[참이슬]]도 받았다. 그래서인지 요즘은 예전처럼 내세우지 않는다. 사실 [[몽드 셀렉션]]이 거의 참가비 받고 상 살포하기 분위기라... [[몽드 셀렉션]]만이 아니라 대부분 음식이나 술 관련 상이나 경진대회<del>그리고 한국의 여러 사생대회 발표대회 등등 엄마 아빠 주머니 터는 대회</del>가 그런 식이다. 수상 경력 같은 건 무시하는 게 답이다. 맛이라는 게 주관이 많이 개입하는 부분인데 그걸 줄세워서 상 주고 하는 게 애초부터 어폐가 있다. [[필스너우르켈]]을 비롯한 [[체코]]의 [[필스너]]가 남성스럽고 [[몰트]]의 약간 거친 듯한 질감을 뒤로 남겨 놓고 목구멍 저편으로 사라진다면,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는 여성스럽다. 마치 잘 익은 [[그레이프푸르트]] 과일 같은 향을 입 안에 채우는 반면, 야성미는 그다지 부각되지 않는다. [[체코]]의 원조 [[필스너]]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를 대차게 깐다. [[미국]]이나 [[유럽]] 쪽의 [[맥주]] 리뷰 사이트에서도 평가는 평균 또는 평균보다 조금 위 정도다. 옛날에 워낙에 비쌌던 데다가 상당히 고급스러운 마케팅을 잘 했기 때문에 세계 최강의 굉장한 고급 [[맥주]]인 것처럼 착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는데, 그 바람에 과대평가되어서 오히려 [[맥주]] 덕후들에게는 대차게 까이는 면도 있긴 하지만 <del>적어도 국산 [[말오줌]]보다는</del> 좋은 [[맥주]]인 것만큼은 사실이다. [[일본]] 프리미엄 [[맥주]] 시장의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[[에비스맥주]]와 비교한다면 프리미엄 몰츠는 쌉싸름하면서도 화사하고 과일 느낌이 강한데 반해 [[에비스맥주|에비스]]는 기본인 올 몰트 비어를 기준으로 할 때 좀 더 중후한 느낌을 더 강조하고 있어서 둘은 상당히 다른 스타일이다. [[파일:Suntory the premium malts milko.jpg|upright 1px|섬네일|없음|카미아와 밀코. 잔을 거품만으로 채웠다.]] [[크림 맥주|거품에 굉장히 목숨 거는 것]]으로도 유명하다. 이 [[맥주]]의 곱고 치밀한 거품을 '카미아와(神泡)', 즉 '신의 거품'이라고 이름까지 따로 붙일 정도로 마케팅으로 엄청나게 밀고 있다. 그냥 마케팅 정도만 하는 게 아니라 이 거품만 열심히 연구하는 프로젝트 팀이 있어서 이에 관련한 논문으로 1996년에 전미양조학회 양조부문 회장상을 받기도 했다. 심지어는 아예 잔을 거품만으로 잔뜩 채운 '밀코'라는 것을 판매하는 바도 있다. 밀코는 체코어로 'milk', 즉 [[우유]]를 뜻한다. 원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체코의 [[펍]]에서 [[디저트]]로, 혹은 술을 잘 못 하는 여성들을 위해서 팔던 것이었다. 계산 후에 나가기 전에 한 잔 서비스로 내는 바텐더들도 있었다고 한다.<ref>[https://www.pilsnerurquell.com/stories/the-history-of-the-mliko-pour/ "The History of the Mlíko Pour"], Pilsner Urquell.</ref> 잔에 따를 때 거품을 얼마나 깨끗하게 잘 관리하는지가 초달인 (품질의 명장) 가게 선정에도 중요하게 작용하며, 심지어는 가정에서도 캔맥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기계까지 만들어서 팔고 있다. 처음에는 [[생맥주]] 서버를 연상시킬만큼 [[크고 아름다운]] 모양이었지만 지금은 간단하게 캔에 씌우기만 하면 되는 방식으로, 더 나아가서 그냥 캔 옆에 밀착시키기만 하면 되는 방식<ref>이전까지는 서버를 통해서 [[맥주]]가 나가면서 거품이 만들어졌지만 캔에 밀착시키는 방식은 캑 안에서 거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한 뒤에 서버를 씻을 필요가 없다.</ref>으로 발전하고 있다. ==한국에서== 한국에서도 이제는 캔이나 병맥주, 혹은 [[생맥주]]로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지만 수입 초창기에는 정말 괴랄하게 비쌌다. 2000년대 후반부터 [[호텔]]이나 일부 고급 술집, 주류전문점에만 공급되었는데 330ml 한 병에 소매가격이 1만원이었다. [[호텔]]에서 마시면 2만 원이 훌쩍... <ref>요즈음은 4캔에 1만원 하는 기네스도 90년대에는 특급호텔에서 330 ml 한 병에 2만원 씩 주고 마셨다는 전설이 있다.</ref> [[일본]] 갔다오는 길에 사들고 오는 인기 품목 중 하나였다. 일본 [[공항]] [[면세점]]에서 쌓아놓고 팔기도 했다. 우리나라 면세 규정으로 보면 [[술]]은 주종 관계 없이 무조건 1 리터 한 병까지만 면세니까 병이든 캔이든 무조건 한 개가 한도지만 그냥 가방에 식스팩 꾹 집어놓고 오는 사람들이 많았다. [[오비맥주]]에서 수입한 이후로는 물량이 많이 풀렸고 차츰 가격이 낮아져서 이제는 500ml [[캔맥주]]가 2015년 [[편의점]] 기준으로 4천 원 선이다. 그나마 [[편의점]]이나 대형마트에서는 자주 파격 세일을 해서 1캔에 3천원, 4캔에 1만원 세일을 자주 한다.<ref>지금은 비슷하게 4캔에 만 원 할인 행사를 자주 하는 [[기네스]]도 비슷해서, 수입 초창기에는 호텔에서 한 병에 2만 원 주고 사먹어야 했다.</ref> 국산 [[맥주]]는 법적으로 할인 마케팅이 제한을 받는데 반해 수입[[맥주]]는 적용을 안 받는다. 국내 [[맥주]]회사들의 불만이 많은데...<ref>사실 이러한 불만은 오히려 비난을 받는 일이 많다. 일단 이렇게 불만을 제기하는 [[맥주]]회사들이 열심히 외국 [[맥주]]를 수입해서 팔아제끼고 있기 때문. 당장 이 [[맥주]]를 수입하는 회사도 [[오비맥주]]다.</ref> <del>열받으면 일단은 제대로 좀 만들어 보든가.</del> [[호가든]] 국내 생산으로 <del>[[오가든]]으로 [[다운그레이드]] 해서</del> 재미를 본 [[오비맥주]]에서는 국내 라이선스로 생산하려고 덤볐으나 이 맥주는 절대 해외 생산은 안 하기 때문에 [[산토리]]는 [[KIN]]~ <del>하마터면 더 프리미엄 [[말오줌]]이 나올뻔 했지 뭐야.</del> 이후 2014년에 [[오비맥주]]에서 [[프리미어 오비]]로 [[필스너]]를 표방한 [[맥주]]를 내놓았는데, 기존 국산 [[말오줌]]보다 낫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보다는 떨어진다. 그나마도 시간이 흐르면서 왠지 [[다운그레이드]] 되는 느낌. [[생맥주]]로도 공급하고 있으며, 가격대는 [[아사히 슈퍼드라이]]보는 좀 높은 편이다. 2018년 말부터 카오루 에일도 한국에 정식 수입되고 있다. 아직까지는 캔맥주만 들어오고 있는데 [[생맥주]]도 수입될 거라는 소문은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. ==라인업== [[파일:Suntory the premium malts 3 styles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왼쪽부터 마스터즈 드림, 더 프리미엄 몰츠 (기본), 카오루 에일. <del>가운데만 반밖에 안 남은 건 그러려니 하자.</del> ]] 가장 기본이자 대표 상품은 물론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[[필스너]]. 병맥주, 캔맥주, [[생맥주]]로 나와 있다. 처음에는 [[필스너]]라는 말은 없었지만 브랜드를 리뉴얼 하면서 '[[필스너]]'라고 명시했다. [[파일:Suntory the premium malts kuro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|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쿠로(黑).]] [[파일:Suntory the premium malts kaoru ale draught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|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카오루 에일.]] 브랜드가 자리를 잡으면서 [[에비스맥주]]처럼 라인업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으며, 한정판이나 배리에이션도 등장하고 있다. 더 몰츠도 광고를 늘리면서 기존 [[맥주]] 시장을 노리는 중. 먼저 [[흑맥주]]인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쿠로(黑)가 있다. 또한 [[에일]] 쪽으로도 발을 넓혀서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카오루[[에일]](香るエール)도 내놓았다. [[에일]]이지만 [[홉]]을 잔뜩 때려넣은 [[IPA]] 스타일은 아니며 [[에일]]치고는 부드러운 편이다. 과일향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[[에일]]과는 약간 결이 다른 멜론향이 돋보인다. 병맥주는 없고 캔맥주와 [[생맥주]]로 시판하고 있다. [[파일:Suntory masters dream draught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|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마스터즈 드림.]] 2015년에는 고급 브랜드인 마스터즈 드림을 내놓았다. 처음에는 [[캔맥주]]는 없고 330ml [[병맥주]] 딱 한 가지만 있었다가 캔맥주도 생산하기 시작했다. [[생맥주]]도 있지만 파는 곳은 많지 않다. 맛은 [[필스너]]보다는 [[에일]]스러운 쪽에 가깝다. 색깔도 갈색을 띠고 있고 농도도 짙은 편. 더 프리미엄 몰츠가 좀 산뜻한 과일스러운 맛을 지니고 있다면 마스터즈 드림은 좀 더 강건하고 호불호가 좀 더 강하게 드러날 스타일이다. ==이런저런 이야기== 2014년에는 캔맥주를 꽂으면 크리미한 거품이 나오는 더 크리미 서버를 이벤트를 통해서 당첨자에게 무료로 보내주는 행사를 했다. 캔맥주에 붙어 있는 응모권의 일련번호를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방식인데, 응모권을 많이 등록할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지는 식이었다. 건전지를 넣어서 마치 [[생맥주]] 기계를 작동시키듯이 레버를 앞으로 당기면 맥주가 나오고, 뒤로 밀면 크리미한 거품이 나오는 기계. 문제는 거품이 썩 시원치 않다는 것이었다... 제대로 된 전기를 쓰는 [[생맥주]] 기계보다는 건전지 힘으로 작동되는 더 크리미 서버는 힘이 딸릴 수밖에 없었는데, 딸려도 너무 딸려서 결국 감질나서 못쓰겠다...가 되었다. 그냥 장식품으로 쓰기에는 좋다고나 할까. 이후에도 매년 여름 시즌에는 이런 종류의 행사를 벌이는데, [[일본]]에서도 역시 비슷한 행사를 한다. 그리고 크리미 서버도 해마다 개량되고 있다. 2016년에는 테이블에 놓고 쓸 수도 있고, 캔맥주 뚜껑에 끼워서 쓸 수도 있는 듀얼 방식 서버를 제공하고 있다. 2019년 들어서는 노 워시, 즉 세척이 필요없는 버전까지 나왔는데 캔에 고리처럼 끼우고 서버가 맥주와 직접 닿지 않는 방식이다. [[생맥주]]의 품질 관리 및 [[맥주]] 따르는 기술을 인정 받은 업소에게 달인점(達人店), 또는 초달인점(超達人店))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. 우리나라에서도 '품질의 명장'이라는 타이틀로 캠페인을 진행하다가 달인점 마크를 부여하기 시작했다. 여러 단계의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야 달인점 마크를 받을 수 있는데, 우리나라도 마지막 단계는 [[일본]] [[산토리]] 본사에서 직접 심사한다. [[일본]]도 알고 보면 가게에 따라서 [[생맥주]]의 품질은 천차만별이다. 자세한 것은 [[생맥주]] 항목 참조. 2017년 봄에 브랜드 리뉴얼을 실시했다. 캔이나 병을 봐서는 쉽게 바뀐 것을 알아차리기 어려운데 맥주잔을 보면 캔의 디자인을 좀 더 많이 따라간 방향으로 바뀌었다. 2023년 봄에도 다시 한번 패키지를 리뉴얼했지만 2017년만큼 확 바꾼 건 아니고, 브랜드 디자인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. [[산토리]]의 [[위스키]] 증류소와는 별개의 맥주 [[브루어리]]에서 제조하며, 이쪽도 견학 프로그램을 두고 있다. 주요한 [[브루어리]]로는 [[도쿄]] 무사시노, [[교토]]와 [[쿠마모토]]가 있으니 견학해 보고 싶은 분들은 [https://www.suntory.co.jp/events/?ke=hd 산토리 웹사이트](일본어)에서 신청하자.<ref>[[군마현]] 토네가와에도 [[브루어리]]가 있지만 여기는 공장 견학을 운영하고 있지 않다.</ref> {{각주}} [[Category:맥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