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삿포로시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삿포로시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さっぽろし(札幌市)。 [[일본]] [[홋카이도]] 중서부에 자리 잡은 도시로 말할 것도 없이 [[홋카이도]] 최대 중심지이자 도청이 있는 행정, 경제, 문화의 중심지다. 바다와 가깝긴 하지만 바다와 붙어 있는 곳은 없는데, 바로 북쪽에 있는 이시카리시가 바다와 붙어 있다.우리에게는 [[삿포로눈축제]], 그리고 [[삿포로맥주]]로 낯익은 이름이다. 또한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위치, 그리고 겨울에 눈이 정말 많이 오는 특징을 살려 동계올림픽과 동계아시안게임을 여러 차례 유치했기 때문에 겨울 스포츠 팬들에게도 친숙한 곳이다.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그냥 [[일본]]에서 북쪽에 있는 곳 정도로 생각하지만 위도를 보면 북한도 넘어서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언저리다. 그래도 해양성 기후라서 엄청나게 추운 정도는 아니다. 물론 좀 더 내륙에 있는 [[아사히카와]]나 내륙 시골들은 어마무시하게 춥지만... [[일본]]의 네 개 주요 섬 중에 [[홋카이도]]가 변방으로 취급되는 지역이라 삿포로도 작은 도시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2017년 기준으로 인구는 194만 명으로 [[도쿄]], [[요코하마]], [[오사카]], [[나고야]]에 이어서 5위를 차지하고 있다. 하지만 [[홋카이도]] 전체를 보면 [[혼슈]]는 물론 [[큐슈]]보다도 발전이 뒤떨어져 있어서<ref>아직도 상당수의 땅은 불모지 상태이다. [[일본]]의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도 많이 늦었고, 북쪽 끝에 있다 보니 여러 모로 여건이 척박하기도 하고.</ref> 삿포로 자체도 다른 섬들의 본진급 대도시들과 비교하면 경제력이 약하고 발전 속도도 더딘 편이다. ==문화== 중심가의 환락가 [[스스키노]]는 [[도쿄]]의 [[가부키초]], [[후쿠오카]]의 [[나카스]]와 함께 [[일본]]의 3대 환락가로 꼽힐 정도로 유명하며, 삿포로가 관광 수입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규모도 크고 하다 보니 이곳의 규모는 다른 어떤 환락가와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는다. 자세한 내용은 [[스스키노]] 항목 참조. [[삿포로맥주]]의 본사가 여기에 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, 본사는 [[도쿄]] 에비스쵸에 있다. 그렇게 된 내력은 [[삿포로맥주]] 항목 참조. 하지만 삿포로시 안에는 [[삿포로맥주]]와 관련한 각종 시설들이 있기 때문에 삿포로맥주박물관이라든가, [[삿포로팩토리]]와 같은 곳들은 [[맥주]]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가볼만하다. 당연히 삿포로 일대의 음식점에서는 [[삿포로맥주]]를 취급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며, 아예 [[홋카이도]] 한정으로 판매하는 [[삿포로 클래식]]을 취급하는 곳을 흔하게 볼 수 있다. 음식으로는 요즈음은 우리나라에도 많이 들어와 있는 [[양고기]] 구이 [[징기스칸]]이 유명하다. 삿포로만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그래도 삿포로에 가면 [[징기스칸]] 가게는 흔하게 볼 수 있다. [[파일:Misoramen ajino tokeidai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삿포로시 <아지노토케다이(味の時計台)>의 미소라멘.]] [[파일:Corn butter miso rame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<아지노토케다이>의 [[콘버터]][[라멘]].]] [[된장]]을 풀어 간을 맞춘 [[미소라멘]] 역시 삿포로가 발상인지라 유명하며<ref>삿포로에 있는 <아지노쥰페이(味の三平)>의 점주 오오미야 모리토가 1955년에 개발했다고 한다.</ref> [[옥수수]]를 비롯해서 토핑이 다채롭고 푸짐한 편이다. 특히 [[라멘]] 기름도 모자라서 [[버터]]까지 한 조각 넣은 [[라멘]]도 있다... 역시 추운지방이라서 그런지. 또한 [[스프카레]]도 유명하다. 말 그대로 [[카레]]에 [[루]]를 사용하지 않아서 걸쭉하지 않고 국물 같은 느낌으로, 여기에 여러 재료들을 넣어서 마치 [[찌개]]처럼 먹는다. [[루]]를 안 넣는 거지 향신료가 적게 들어가는 게 아니라서 맛은 상당히 진하다. ==교통== 항공 교통의 중심지는 [[신치토세공항]]이다. 한국에서 가려면 예전에는 [[대한항공]]의 [[인천공항|인천]]-삿포로 노선 하나 뿐이었지만 2016년부터는 [[아시아나항공]]도 뛰어들었고<ref>[[대한항공]]이 [[아시아나항공]]만 운항하고 있던 [[인천공항|인천]]-[[오키나와]] 노선에 뛰어들자 [[아시아나항공]]도 답례(?)로 삿포로 노선에 취항했다. 둘 다 [[저가항공사]]들까지 가세해서 혼전 중.</ref>, [[저가항공사]]들도 뛰어들어서 부산과 대구에서도 삿포로로 갈 수 있게 되었다. 일본 국내에서 갈 때에도 항공편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. 해저터널인 [[세이칸터널]]이 있어서 [[혼슈]]와 [[홋카이도]]가 육상 교통으로 이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도로 및 철도 교통은 [[홋카이도]] 안에서도 그닥 좋지는 않은지라 시간이 오래 걸려서... [[홋카이도 신칸센]]이 건설되어 홋카이도 남쪽 끝자락 [[하코다테]]까지는 [[신칸센]]이 들어오지만 삿포로까지 개통하려면 2035년이라 아직 머나먼 세월이고 <del>그 전에 [[JR홋카이도]]가 망할 수도 있다</del> 해서 여전히 항공 수요가 많다. 설령 개통된다고 해도 도쿄-삿포로 소요시간은 가장 빠른 하야부사도 약 5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[[4시간의 벽|항공 수요는 계속 많을 것으로 보인다]]. [[하네다공항|하네다]]-삿포로 구간은 한국의 [[김포공항|김포]]-[[제주공항|제주]] 노선 다음으로 세계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노선이다. 철도 교통의 중심지는 물론 말할 것도 없이 [[JR]] [[삿포로역]]. 여기 말고 다른 역은 존재감조차도 별로 없다. 시내 교통은 두 개의 지하철 노선과 버스가 분담하고 있다. [[교통카드]]로는 [[JR홋카이도]]의 [[키타카]]와 삿포로시 교통국의 [[사피카]]가 있다. 주의할 점은 [[사피카]]는 전국 호환이 안 되므로 다른 지역에서 안 통하고 따로 사피카 사용 가능 표시가 없으면 [[편의점]] 같은 곳에서 전자화폐로도 쓸 수 없다. 사실 규격 자체는 같은 Felica 지만 전국호환 카드를 발행하려면 [[JR히가시니혼]]에 라이선스료를 내야 하는데 이를 절약하기 위해서 전국호환을 포기한 것. 등록을 하면 포인트 적립과 같은 혜택이 있지만 그조차도 일본 안에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기념품으로 살 거 아니면 [[키타카]] 사자.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의 도시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삿포로시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