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샴페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샴페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프랑스]] [[샹파뉴]] 지방에서 만드는 [[스파클링 와인]]. 우리나라에서는 [[스파클링 와인]]은 물론이고 심지어 [[와인]] 흉내만 낸 가짜도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[[프랑스]] [[샹파뉴]] 지방에서 생산되는 [[스파클링 와인]]에만 이 이름을 붙일 수 있다. 그걸로 끝나지 않고 품종, 재배법, 양조법 및 숙성에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. 물론 그냥 [[탄산가스]] 주입하면 안 되고 [[효모]]가 자연스럽게 만들어 내는 가스만 써야 한다. 이를 위해 [[스파클링_와인#러뮈아쥬|러뮈아쥬]]와 [[스파클링_와인#데고쥬망|데고쥬망]]은 필수.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만든 역사는 알고 보면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. 아니, 샹파뉴 지방에서 [[스파클링 와인]]을 만든 게 와인의 역사로 보면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. 원래 만들던 것은 [[피노 누와르]]를 주종으로 한 옅은 빛깔의 [[스틸 와인]]이었다. 그러다가 17세기부터 [[스파클링 와인]]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게 영국으로 건너가면서 히트를 치면서 샴페인이 [[스파클링 와인]]의 대표격으로 뛰어올랐다. 정작 [[스파클링 와인]]의 원조였던 리무 지역은 [[크레망 드]] 신세다. [[프랑스]]산이지만 [[샹파뉴]] 이외 지방에서 만든 것은 샴페인이라는 말을 못 쓴다. 전통 방식으로 만든 것에는 [[AOC]] 규정에 따라서 [[크레망 드]](Crémant de)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. 샴페인에도 [[프리미에 크뤼]]나 [[그랑 크뤼]]와 같은 [[AOC]] 등급이 있긴 한데, 이 동네에선 그게 별로 중요하지 않고 브랜드가 가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. 아르망 드 브리냑 같은 초고가 샴페인들은 [[프리미에 크뤼]]나 [[그랑 크뤼]] 지역에서 재배한 포도만 쓰지만 AOC 등급 같은 건 라벨에 표시도 안 한다. 다시 말해 이 동네는 등급보다는 브랜드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. 다른 지역도 안 그런 건 아니지만 샴페인은 특히 심하다. 오히려 [[코스트코]]나 [[테스코]]의 자체 브랜드 샴페인이 [[프리미에 크뤼]]를 많이 내세운다. 대부분의 샴페인 회사들이 모여 있는 곳은 [[랭스]](Reims)와 [[아이]](Ay). 특히 규모가 큰 회사들은 [[샹파뉴]] 지역 최대 도시인 [[랭스]]에 본사를 두고 있다. 샴페인 라벨에서 이 이름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. [[파일:In flight drink champagne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아시아나항공]]의 웰컴 드링크 샴페인.]] 비행기에서는 [[이코노미 클래스]]와 [[비즈니스 클래스]], [[퍼스트 클래스]]의 음료 서비스를 구분하는 아이콘 같은 존재다. [[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]]를 운영하는 항공사는 이 등급부터 [[스파클링 와인]] 또는 샴페인을 제공하고 [[비즈니스 클래스]]부터는 닥치고 샴페인이다.<ref>다만 [[인천공항|인천]]-[[후쿠오카]]와 같은 아주 단거리 구간은 샴페인 없이 그냥 [[와인]]만 제공할 수도 있다.</ref> 물론 [[비즈니스 클래스]]와 [[퍼스트 클래스]]는 사용하는 샴페인에 차이가 있다. 중장거리 구간이라면 웰컴 드링크부터 샴페인으로 주문할 수 있다. ==모터스포츠== 모터스포츠와 무척 관계가 깊다. [[포뮬러 1]]을 비롯한 [[모터스포츠]] 경기가 끝나고 시상식에서 샴페인 혹은 [[스파클링 와인]]을 터뜨려서 뿌리는 것이 관례화되어있다. 심지어 술을 못 마시는 미성년자가 참가하는 경기에서도 무알코올 [[스파클링 와인]]이라도 터뜨리는 모습을 보여준다. 1967년 [[르망 24시]]에서 우승한 [[댄 거니]]가 처음으로 이런 <del>난동</del> 행위를 했다가 사람들이 보기에 오오~ 기분 나는데? 해서 빠르게 퍼졌다.<ref>[[모터스포츠]] 초창기에는 [[F1]]을 비롯한 각종 경기에서도 음주운전이 만연했다. 오죽하면 경기 전에 샴페인 한 병을 안 까면 경기에 안 나가는 드라이버도 있었을 정도.</ref> 다만 [[바레인]]을 비롯한 이슬람 국가에서는 술을 금지하고 있어서 바레인 그랑프리와 같은 경기 때는 [[알코올]]이 없는 발포성 음료를 대신 쓴다. [[모엣샹동]]이 오랫동안 스폰서를 해 왔지만 '샴페인을 마구 뿌리는 모습이 자신들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맞지 않는다'는 이유를 내세워 스폰서에서 빠졌다. 이후에도 한동안은 그냥 [[모엣샹동]]을 쓰다가 G.H.멈이 새로 스폰서로 들어왔고, 이후에는 여러 차례 스폰서가 바뀌었다. 아예 샴페인이 아닌 [[스파클링 와인]]을 쓰기도 하는데, 2021년에는 [[이탈리아]]의 페라리<ref>우리가 아는 그 자동차 회사와는 이름만 같은 회사로, [[이탈리아]]에서는 손꼽히는 [[스파클링 와인]] 제조사다.</ref>가 스폰서로 들어왔다. ==주요 브랜드== 샴페인 브랜드들 중에는 인수 합병을 통해서 큰 회사에 속해 있는 브랜드가 여럿 있다. * [[LVMH]] ** [[모엣 에 샹돈]] (Möet et Chandon) ** [[뵈브클리코]] (Veuve Cliquot) ** [[크뤽]] (Krug) * [[페르노 리카]] ** [[멈]] (Mumm) * [[로랑-페리에르]] (Laurent-Perrier) ** [[살롱]] (Salon) * [[폴 로제]] (Pol Roger) * [[태탱제]] (Taittinger) {{각주}} [[Category:스파클링 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샴페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