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신오사카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신오사카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新大阪駅。 [[일본]] [[오사카부]] [[오사카시]] 요도가와구에 있는 철도역. [[JR]] 역 중에서 '신'이라는 이름이 붙은 철도역들은 대체로 [[신칸센]] 때문에 만들어진 곳이 많은데, 여기도 마찬가지다. [[JR니시니혼]]과 [[JR토카이]]가 영업하고 있다. [[오사카]] 시영 지하철 [[미도스지선]]이 이쪽을 지난다. [[토카이도 신칸센]]과 [[산요 신칸센]]의 경계가 되는 역으로, 따라서 [[JR토카이]]도 여기서 [[토카이도 신칸센]] 한정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. 여기서 [[교토]] 쪽으로 가는 구간은 [[토카이도 신칸센]]이기 때문에 [[JR니시니혼]]의 패스로는 이쪽 방향 [[신칸센]]을 못 탄다는 점은 염두에 둬야 한다. 사실 [[교토]]까지는 재래선도 선형이 좋기 때문에 [[신칸센]]과 별 차이가 안 난다. 특급 [[선더버드 (열차)|선더버드]]나 특급 [[하루카]]를 이용하면 [[교토]]까지 논스톱으로 20분 밖에 안 걸리며 열차 시설도 좋으므로 굳이 [[신칸센]]에 미련 둘 건 아니다. 또한 [[선더버드 (열차)|선더버드]]는 [[오사카역]]에서 출발하며 [[특급 하루카]]는 [[간사이국제공항]]까지 가기 때문에 [[텐노지역]]에도 정차하므로 선택의 폭이 더 넓다. [[오사카역]]에서 출발하는 신쾌속 열차 역시 특급보다는 약간 떨어지지만 크로스 시트에 화장실도 있고 중간 정차역에 한두 곳 뿐이라서 [[교토]]까지 역시 25분 정도면 끊어준다. 다만 [[호쿠리쿠 신칸센]]이 전체 개통되면 신오사카역이 서쪽 종점이 된다. 원래는 [[오사카역]]까지 넣으려고 했지만 도저히 [[신칸센]] 선로를 깔 수 있는 답이 없어서<ref>재래선은 [[협궤]]지만 [[신칸센]]은 표준궤라서 레일 간 폭이 다르다.</ref> 결국 신오사카역에서 끝내기로 했다. [[신칸센]] 역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[[신칸센]] 말고도 [[오사카역]]에는 안 서고 신오사카역에만 서는 다른 열차들도 있다. 대표 사례가 [[간사이공항]]으로 가는 [[특급 하루카]]. [[오사카역]]으로 가려면 [[하루카]] 말고 그 아랫 등급인 간사이공항쾌속을 타야 한다. [[와카야마]]로 가는 특급열차인 [[쿠로시오]] 역시 [[오사카역]]으로는 안 가고 신오사카역으로 간다. 이는 [[텐노지역]]에서 [[교토]] 방면으로 넘어가는 열차들은 (물론 그 역방향도 마찬가지) 우메다화물선을 경유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[[오사카역]]에 정차할 수 없기 때문. 거대한 복합상업시설이 진을 치고 있는 [[오사카역]]만큼 크고 아름다운 규모는 아니지만<ref>[[이타미공항]]과 가깝기 때문에 고도제한이 걸려 있는 것도 이유다.</ref> 그래도 [[도쿄]]와 [[오사카]]를 이어주는 [[토카이도 신칸센]]의 종점역인만큼 이용객 수는 정말 많다. 출퇴근 시간에는 정말 웬만한 지하철역 저리가랄 수준. 개찰구 안쪽으로 재래선 플랫폼과 [[신칸센]] 플랫폼이 있는데, 이 사이에 환승 개찰구가 아주 커서 나가는 개찰구로 착각하기 쉽다. 플랫폼에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 위로 올라오면 이 환승 개찰구가 바로 잘 보이는 반면 나가는 개찰구는 잘 안 보여서 더욱 착각하기 쉽다. 반드시 표지판을 보고 나가는 개찰구<ref>한자로 출구(出口)라고 쓰여 있는 쪽으로 가자.</ref>를 확인하도록 하자. 어차피 환승에 필요한 표가 없으면 환승 게이트에서 개찰도 안 되지만 말도 안 통하는데 개찰구에서 삐익 경고음이 나면 당황하기 딱이다.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의 철도역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신오사카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