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신치토세공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신치토세공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新千歳空港. [[일본]] [[홋카이도]]의 치토세시에 있는 국제공항. IATA 코드는 CTS<del>기독교TV?</del><ref>쉽게 유추할수 있겠지만 치토세(ChiToSe)에서 따온 것이다.</ref> [[파일:Shinchitose airport domestic terminal external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국내선 터미널 외부 모습.]] [[홋카이도]]의 관문이자, [[홋카이도]] 지역 항공 교통의 허브이기도 하다. 거의 대부분의 [[삿포로]] 노선을 타면 이 공항으로 온다.<ref>다만 몇몇 소수의 국내선 노선은 삿포로비행장(오카마다공항)을 이용한다.</ref>[[삿포로]]에서 남동쪽으로 40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다. [[홋카이도]] 자체가 발전이 더딘 지역이라 사람들이 [[홋카이도]]에서 알고 있는 도시는 [[삿포로]] 뿐이고, 좀 더 아는 사람이 [[아사히카와]]나 [[하코다테]] 정도를 알고 있지만 실제로 [[홋카이도]]의 땅덩이는 남한보다 조금 적은 정도로 크고, 철도나 도로도 지형 문제나 수요 부족 때문에 사정이 썩 좋지는 않아서 도시간 거리에 비해서 교통의 소요시간은 긴 편이다. 그렇기 때문에 신치토세공항에서는 [[일본]]의 다른 지역으로 가는 노선도 많지만 [[홋카이도]] 내 노선도 여럿 갖추고 있다.<ref>[[홋카이도]]만이 아니라 땅덩이는 넓은데 인구밀도는 적은 곳에서는 은근히 지역 항공 노선이 많이 깔려 있다. 적은 수요를 충족하자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 철도나 도로를 깔고 유지하는 게 답이 안 나오는 데다가 소요 시간도 오래 걸린다. 이런 곳에서는 차라리 소형 항공기를 띄우는 게 채산성이 너 나을 수 있다.</ref>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'치토세공항'이 있었는데, 이 시기에는 항공자위대의 비행장을 사용했다.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노선이 [[도쿄]]-[[삿포로]]이고 [[일본]]의 주요 도시 및 [[홋카이도]]를 연결하는 구실까지 하는 [[홋카이도]]의 원톱인데 이렇게 셋방살이 신세를 하다 보니 문제가 점점 커져서 결국은 근처에 새로운 공항을 짓기로 했다. 치토세공항은 지금은 자위대 기지로만 쓰이고 있는데, JR 치토세공항선을 타면 신치토세공항역 다음인 미나미치토세역 근처에서 이 기지의 모습을 볼 수 있다. 실제로 두 곳은 가까워서 유도로가 이어져 있기 때문에 비행기도 두 곳을 오갈 수 있는 통로가 있는 셈이다. [[도쿄]] [[하네다공항|하네다]]-신치토세 노선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수요가 많다. 1위는 [[김포공항]]-[[제주공항|제주]] 노선이 세계 1위. 해저터널이 뚫리고 최근에는 [[신칸센]]이 하코다테역까지 들어가는 [[홋카이도 신칸센]]이 개통되었지만 [[삿포로]]까지 가는 게 아닌지라가 이용률도 형편 없고 [[삿포로]]까지 개통되는 일정은 2031년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[[삿포로]] 일대의 항공 수요가 줄어들 것 같지도 않다. 게다가 [[신칸센]]이 [[삿포로]]까지 들어온다고 해도 [[도쿄]]-[[삿포로]] 간 [[4시간의 벽|예상 소요시간이 5시간 10분]]인지라... 신치토세공항이 철도 때문에 데미지 받을 일은 [[권진수|유태까지 그래와꼬 아패로도 개속]] 없을 듯. 터미널은 국내선과 국제선으로 나뉘고, 규모는 국내선이 훨씬 크다. 음식점이나 각종 상업 시설도 국내선 쪽에 치우쳐 있고 국제선 쪽은 좀 썰렁하다. 그야말로 극과 극 분위기. 갖가지 해산물들이 풍부한 [[홋카이도]]답게 국내선 터미널 쪽에는 [[홋카이도]]의 특산물을 파는 제법 큼직한 시장을 차려놓았다. 또한 갖가지 음식점들도 거하게 포진하고 있다. 특히 [[홋카이도]]의 유명 [[라멘]]집들을 모아놓은 라멘도장(ラーメン道場)도 명물. [[징기스칸]], [[스프카레]]와 같은 [[홋카이도]]의 유명한 요리들도 전문 음식점이 포진하고 있으니 미처 못 먹은 게 있다면 <del>좀 비싸긴 해도</del> 공항에서 먹어볼 수 있다. 반면 국제선은 바깥에 카페 정도가 있고 보세구역 안에는 푸드코트와 소규모 면세점, 매점 정도가 전부다. 뭔가 잘 먹고 싶다면 체크인 하기 전에 국내선 쪽에서 먹는 게 답이다. 두 터미널은 3층이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서 오갈 수 있다. 국내선 터미널 쪽에 [[JR홋카이도]]의 신치토세공항역이 있다. 무빙워크도 있고 거리도 엄청 먼 건 아니지만 귀찮다면 국제선 터미널 밖으로 나가서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. [[파일:New chitose airport doraemon wakuwaku sky part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도라에몽와쿠와쿠스카이파크. <del>그리고 뒤에서 겐세이 놓고 있는 미국 캐릭터.</del>]] [[파일:New chitose airport royce chocolate world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로이스초콜릿월드의 [[초콜릿]] 제조 시설.]] 두 터미널 사이 통로는 단순히 연결 구실만 하는 게 아니라 상업 시설을 잔뜩 갖다 박아놨다. 특히 3층에 가면 도라에몽와쿠와쿠스카이파크를 비롯해서 갖가지 일본 캐릭터들을 테마로 한 시설들이 있다. 아이들이 놀기 좋은 시설들이 여럿 포진하고 있다. 생초콜릿으로 유명한 로이스는 아예 여기다가 로이스초콜릿월드라는 공장을 차려놨는데 실제로 즉석에서 [[초콜릿]]을 만들고 있다. 통유리창을 통해서 제조 과정을 볼 수도 있다. 이곳에서만 살 수 있는 한정판도 있고 즉석 생산인만큼 신선도도 좋은 편이다. 로이스 생초콜릿을 기념품으로 사갈 요량이라면 여기서 사는 게 좋다. 로이스만큼이나 관광객들에게 선물로 인기 좋은 [[홋카이도]] 과자 시로이고이비토 역시 매장 여러 개를 운영하면서 거하게 장사하고 있다. 한국 노선은 과거에는 [[대한항공]]의 [[인천공항|인천]]-[[삿포로]] 노선이 전부였지만 [[아시아나항공]]이 혼자 먹고 있던 [[오키나와]] 노선에 [[대한항공]]이 쳐들어가자 [[아시아나항공]]도 [[삿포로]]에 쳐들어갔고, <del>[[저가항공사]]들도 노선을 개통하면서 [[부산]]과 [[대구]]에서도 직항으로 신치토세까지 갈 수 있게 되었다.</del><ref>2019년 일본의 무역 보복에 따른 한국의 일본 불매 운동 여파로 한국인 일본 관광객들이 큰 폭으로 줄면서 [[김해공항|부산]]과 대구 출발 [[삿포로]] 노선이 운휴에 들어갔고 [[인천공항|인천]] 출발 노선도 감편되고 있다. </ref> [[일본]] 노선은 워낙 수요가 많은 곳을 제외하고는 양대 항공사가 나름대로 나눠먹기를 하고 있었지만 이런 담합이 깨지면서 [[삿포로]]나 [[오키나와]] 같이 관광 수요가 나오는 곳은 치열한 각축장이 된 상태다. 공항을 위한 대중교통으로는 역시 [[JR홋카이도]]에서 운행하는 열차를 타는 게 가장 편하다. 국내선 쪽으로 가서 지하 1층으로 내려가면 신치토세공항역이 있으며, 15분에 한 대씩 쾌속에어포트 열차가 운행한다. 일단 [[삿포로역]]까지는 기본으로 가고 일부 열차는 [[오타루역]]까지도 들어간다.<ref>[[삿포로]]까지만 가는 열차는 자유석이 롱 시트이고 [[오타루]]까지 가는 열차는 전체가 크로스 시트다.</ref> 돈을 더 내면 U 시트라는 지정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. 운행 간격은 15분으로 공항에서는 정시 → 15분 → 30분 → 45분에, 삿포로역에서는 5분 → 20분 → 35분 → 50분에 운행한다.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으며 [[삿포로]] 시내는 물론<ref>[[일본]]의 3대 환락가 중 하나로 꼽히는 [[스스키노]]까지 가는 버스도 있다. [[스스키노]]로 바로 갈 거라면 환승이 필요 없으므로 버스가 편할 수도 있다. 하지만 시간 면에서는 별 이득이 없다.</ref> [[삿포로]]와 [[홋카이도]] 서부 지역의 여러 곳을 이어주고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공항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신치토세공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