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싱가포르 창이공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싱가포르 창이공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Singapore changi airport t3 check in counters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터미널 3 체크인 카운터.]] Singapore Changi Airport. [[싱가포르]]의 국제공항. 정식 이름에 국제(internationl)가 없다. 어차피 [[싱가포르]]에 국내선이란 게 없으므로 굳이 국제공항이라는 이름이 필요하지도 않으니...<ref>하지만 꼭 그렇지 않더라도 '국제'가 안 들어가는 국제공항은 많다. 예를 들어 [[영국]]의 [[히드로공항]]도 그렇고, [[호주]]의 공항들은 정식 명칭에 보통 '국제'가 안 들어간다.</ref> 보통은 그냥 창이공항이라고 부른다. [[동남아시아]]의 글로벌 비즈니스와 금융 중심지이기 때문에 자체로도 상용 수요가 만만치 않고 관광 수요도 상당하지만 공항의 시설이나 서비스가 각종 평가에서 단골로 톱을 먹을 정도로 뛰어나기 때문에 환승지로도 인기가 높다. 특히 [[유럽]]과 [[호주]]-[[뉴질랜드]]를 잇는 황금노선 중 하나인 캥거루 루트의 경유지로서 무척 인기가 높다. 최근에는 두바이나 아부다비, 도하를 비롯한 중동 공항들이 치고 들어와서 전보다는 힘이 약간 빠졌지만<ref>최근에는 초장거리 운항을 할 수 있는 항공기가 등장하면서 아예 캥거루 루트를 직항으로 뚫기 시작하고 있다.</ref> 여전히 환승지로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. [[인천국제공항]]과 스카이트랙스 평가 1위를 놓고 늘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최근에는 줄곧 창이공항이 1위를 먹고 있다. 여기에 창이공항을 본진으로 하는 [[싱가포르항공]] 역시 각종 평가에서 상이란 상은 휩쓸고 다니는지라... 한국에서 가기도 편리하다. [[대한항공]]과 [[아시아나항공]]이 [[인천공항|인천]]-[[싱가포르]] 노선을 매일 운항하고있고, [[싱가포르항공]]은 [[인천공항|인천]]에 하루에 무려 네 편을 쑤셔박고 있다. 게다가 네 편 전부 [[A330]]과 [[777]] 같은 광동체다.<ref>대략 6시간 반 정도 걸리는 곳이라서 이런 구간에 협동체를 넣는 일은 드물기는 하다.</ref> 이웃나라 노선들이야 가깝지만 [[싱가포르]]는 6시간 반이 걸리는 노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수요가 많기는 많다. 이렇게 집어넣고도 성수기에는 표가 없다고 할 정도니 뭐... 네 개의 터미널이 있으며, 이들 터미널 사이는 스카이트레인이라는 무인 경전철 또는 셔틀버스로 연결되기 때문에 딱히 비 맞을 일은 없다. 일부 스카이트레인이나 버스는 24시간 운영되지 않는데, 사실 1~3 터미널은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걸어서 옮겨갈 수도 있다.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렇지... 아무튼 셔틀 교통편이 없는 심야 시간대에는 열심히 걸어서 가는 수밖에 없다. 제4터미널은 2017년에 새로 오픈. [[대한항공]]이 이쪽으로 옮겨 갔다. 이쪽은 아직 경전철 구축이 안 되어 있어서 셔틀버스를 타야 한다. 일단 공항에 가보면 크고 아름다운 규모에 놀라게 된다. [[인천국제공항]]도 굉장한 공간과 [[면세점]] 구색을 자랑하지만 창이공항에 비교하면 꿀려 보일 정도. 신라면세점도 영업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만든 신라면세점 카드를 제시하면 <del>뭔지는 모르지만</del> 오프라인 멤버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. 면세점의 구색들이 웬만한 백화점 뺨칠 정도이고 음식점과 바를 비롯해서 <del>주머니를 탈탈 터는</del> 각종 편의시설들이 들어차 있다. 또한 자연친화적인 부분도 신경을 많이 써서 버터플라이공원과 같은 자연 시설들도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. 곳곳에 테이블과 충전 시설, 그리고 안마 의자까지 무료로 쓸 수 있는 곳들이 여럿 포진해 있기 때문에 환승객들에게 인기가 좋을 수밖에 없다. 1, 2, 3 터미널에는 환승 호텔이 각각 있으며 특히 터미널 1의 호텔은 가성비가 정말 좋다. 투숙은 6시간 기준이며 일찍 예약하면 1 터미널 환승 호텔은 1인실이 4만 원도 안 된다(조식 불포함). 화장실과 샤워실은 공용이지만 시설은 깔끔하고 환승시간이 길 때 편안하게 잠 자기 정말 좋다. [[싱가포르항공]] 환승으로 20 SGD 바우처를 받았으면 이것도 쓸 수 있어서 비용이 더욱 절약된다. [[싱가포르항공]] 및 자회사인 [[실크에어]]<ref>[[에어뉴질랜드]]와 [[스쿠트항공]]의 일부 항공편도 받을 수 있다.</ref>를 타고 창이공항을 경유해서 다른 곳으로 가는 손님들에게는 공항에서 20 싱가포르 달러 바우처를 무료로 제공한다. 기간 한정이지만 계속 연장되고 있어서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듯. A - 싱가포르 - B 와 같은 식으로 싱가포르는 환승지여야하며, 편도 항공권으로는 바우처를 받을 수 없다. 각 터미널마다 바우처 지급 창구가 있으니 공항 안내 데스크에서 물어보도록 하자. 자세한 내용 [https://www.changiairport.com/en/airport-guide/transit/changi-transit-privileges.html 이곳 웹페이지]를 참조. 환승 시간이 6시간을 넘는다면 무료로 짧게 [[싱가포르]] 시내를 관광할 수도 있다. 환승 시간이 5.5시간 이상인 경우 무료 헤리티지 투어(Heritage Tour)를, 야간에 환승 시간 6시간 이상인 경우 시티 라이츠 투어(City Lights Tour)를 즐길 수 있다. 관광 시간은 각각 두 시간 반 정도. 공항 보세구역 각 터미널에 있는 Free Singapore Tours 부스에서 바로 신청하면 되는데 [[싱가포르항공]] 환승객은 사전 예약도 할 수 있다. 다만 관광 출발 및 귀환 시간이 하루 몇 차례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자신의 스톱오버 시간대에 맞는 관광 시간이 있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. <del>그리고 [[싱가포르]] 시내에서 땀 뻘뻘 흘리고 나서 어디서 씻을지도 좀 생각할 필요가 있다.</del> {{각주}} [[Category:공항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싱가포르 창이공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