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아사히맥주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아사히맥주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アサヒビール。<ref>아사히신문과는 달리 한자를 쓰지 않고 카타카나로 쓰는 게 정식 회사 이름이다.</ref> 아사히그룹홀딩스의 자회사이며, 물론 이 그룹의 주력 회사다. [[기린맥주]], [[삿포로맥주]], [[산토리]]와 함께 [[일본]]의 [[맥주]]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4대 [[맥주]] 회사로 손꼽힌다. 원래는 1889년에 설립한 오사카맥주회사로 시작했고, 1892년에 아사히맥주를 출시했다. 전쟁 중에 [[삿포로맥주]], 일본맥주<ref>[[에비스맥주]]가 원래 이 회사에서 만들던 제품이었다.</ref>와 합치면서 대일본맥주회사가 되었다. 그 뒤 [[일본]] 패전 후인 1949년에 대일본맥주회사가 분할되면서 일본맥주<ref>일본맥주는 이후 [[삿포로맥주]]로 이름을 바꿔서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.</ref>와 아사히맥주로 갈라졌다. 오랫동안 [[기린맥주]]와 [[삿포로맥주]]의 위세에 눌렸지만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가 히트를 치면서 [[맥주]] 시장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렸고, [[삿포로맥주]]는 저만치 밀어내고 이제는 [[기린맥주]]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고 있다. 단일 품목으로는 [[일본]] [[맥주]] 시장 점유율 1위. 이 덕분에 [[일본]] [[맥주]]의 주류가 [[드라이 맥주]]가 되었다. <del>일본[[맥주]] 하향 평준화의 주범. 하지만 [[기린맥주]]는 [[발포주]]를 들고 나오면서 더더욱 하향.</del> 다만 프리미엄 [[맥주]] 시장에서는 별 맥을 못 추고 있는데, 계속 이것저것 내 보고 있지만 성적은 썩 신통치 않다. <del>일단 프리미엄 [[맥주]]에 잡곡을 넣는 버릇부터 고쳐야 한다.</del> 이상하게도 아사히맥주는 다른 경쟁 업체와는 달리 프리미엄급에서도 올 몰트 비어를 잘 내지 않는다. 2017년 기준으로는 아하이 마스터와 아사히 더 드림(The Dream) 뿐이고, 장수 제품도 별로 없다. 프리미엄 [[맥주]] 시장이 일반 [[맥주]] 시장보다는 훨씬 작으므로 프리미엄 시장 고전이 아사히의 시장 점유율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. [[오키나와]]의 맥주인 [[오리온맥주]]<ref>우리나라에서는 '오리온' 상표권 문제로 '오키나와맥주'라는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.</ref>의 [[오키나와]] 이외 지역 유통을 맡고 있으며, 우리나라에서도 롯데아사히주류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. 그 대신 [[오리온맥주]]는 아시히맥주의 [[오키나와]] 지역 생산과 유통을 맡고 있는 일종의 제휴관계를 맺고 있다. [[맥주]] 말고도 [[닛카위스키]]를 인수해서 [[위스키]]를 비롯한 각종 [[증류주]]도 생산하고 있으며 각종 음료와 건강식품도 만들고 있다. 베이비 붐 세대에게는 추억의 소화제 겸 영양제였던<ref>맛이 고소했던지라 과자처럼 먹을만 해서 정량 말고도 몰래 꺼내 먹기도 했다. <del>물론 엄마 아빠한테 걸리면 처맞았지만.</del></ref> 원기소의 원조격인 스테디셀러 소화제 겸 영양제인 에비오스도 아사히에서 [[맥주]] 양조 후 남은 [[효모]]를 이용해서 만들고 있다.<ref>원래는 [[에비스맥주]]를 만들던 일본맥주에서 만들던 제품인데 여러 회사가 합병했던 대일본맥주가 패전 후 갈라지면서 [[에비스맥주]]는 일본맥주→[[삿포로맥주]]가 가지고 갔지만 에비오스는 아사히맥주가 가지고 갔다. 에비오스가 에비스와 비슷한 이름은 것도 이 때문이다.</ref> [[일본]]에서 가장 잘 나가는 [[민트]]인 민티아(MINTIA)도 아사히 제품이다. 우리에게는 우익기업으로 알려져 있다. 나카죠 다카노리 명예고문이 주범으로, 이 사람은 1980년대 후반에 대표이사로 재직하면서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의 히트로 회사를 중흥시킨 인물이지만 야스쿠니신사 유족회의 회장이다. {{관용구:이하생략}} 종종 오해를 받는데 아사히신문은 아사히맥주와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, 아사히신문은 [[일본]] 주요 신문 중에서 '그나마' 가장 진보적인 논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.<ref>하지만 신문사 로고에 욱일기를 연상하게 하는 패턴이 들어가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는 종종 극우 매체로 오해를 산다. 참고로 이 패턴은 전쟁 훨씬 전부터 써오던 것이긴 하다. 그래도 한국인들 눈에는 불편하지만...</ref> 한국에는 1933년 조선맥주 공장을 세우고 맥주를 만들어 팔았다. 해방 후에는 '조선맥주'라는 이름을 이어받았고 크라운맥주를 생산했는데, 바로 지금의 하이트로 이어진다. 우리나라에는 롯데와 손잡고 롯데아사히주류를 설립해서 공급하고 있다. 한국에는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, [[흑맥주]]인 아사히 드라이 블랙, 그리고 [[발포주]](정확히는 [[제3맥주]])인 클리어 리치 아사히 프라임을 공급하고 있다. 그런데 [[발포주]] 주제에 진짜 [[맥주]]로 분류되는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와 가격이 같다.<ref>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아사히 프라임도 [[맥주]]로 분류하므로 세금이 같다. [[맥주]]를 비롯한 술 가격은 태반이 세금으로 결정되는지라.</ref> 우리나라에서도 [[일본]] 맥주만 놓고 볼 때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다. 이들 제품 중에서 한국 시장에서도 물론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가 압도적이다. 2019년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촉발된 한국의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주요한 타겟 가운데 하나로 콱 찍혀서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. 그 동안은 수입 맥주 시장에서 거의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2019년 7월에는 2위로 떨어졌고 [[칭따오맥주]]가 1위로 올라섰다. [[일본]]과 [[한국]] 사이의 경제전쟁이 더욱 심화되면서 불매운동도 더욱 강력해질 전망이고, 편의점에서는 2019년 8월부터 수입 맥주 할인판매 행사에서 일본 [[맥주]]를 제외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후 점유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고, 실제로 국내 판매량이 거의 10분의 1 토막이 나버렸다. {{각주}} [[Category:맥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틀:관용구:이하생략
(
원본 보기
)
아사히맥주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