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어도비 인디자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어도비 인디자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Adobe InDesign. 미국의 [[어도비]] 사에서 개발하고 판매하는 [[전자출판]] 소프트웨어. 원래는 앨더스(Aldus)<ref>이 회사는 [[일러스트레이터]]와 비슷한 프리핸드라는 벡터 그래픽 소프트웨어도 만들었는데, 이건 [[어도비]]가 인수하지 않고 알트시스라는 회사로 넘어간 후 다시 쇼크웨이브와 플래시로 유명한 매크로미디어로 넘어갔다. 그런데 매크로미디어도 결국 [[어도비]]에 인수된지라... 단종된 지 오래다.</ref>라는 회사의 페이지메이커라는 소프트웨어였는데, [[어도비]]가 앨더스를 인수한 후 어도비 페이지메이커로 개발해 오다가 인디자인으로 이름을 바꾸고 기능이나 인터페이스도 다른 어도비 소프트웨어에 맞춰서 확 업그레이드했다. 각종 인쇄 출판물을 만들기에 최적화된 정밀 기능을 제공한다. 게다가 전자 문서의 표준이 되다시피한 [[PDF]] 역시도 어도비 것인지라... 원래 [[PDF]]는 인쇄용 원판 출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포맷이다. 예를 들어 컬러 4도 인쇄물을 만든다고 하면 인디자인에서 작업을 한 다음에 4도 분판 [[PDF]]를 만들어서 인쇄소에 넘겨주면 끝. 물론 다른 [[전자출판]] 소프트웨어도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아무래도 같은 회사끼리의 제품이 가장 연동이 잘 되고 에러가 적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.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[[워드프로세서]]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글을 입력하고 편집하는 기능 위주인 워드프로세서와 정밀하게 디자인하고 이를 상업용 수준의 인쇄에 맞게 변환 출력하는 [[전자출판]] 소프트웨어는 속으로 들어가 보면 상당한 차이점을 보인다. 보고서나 사무용 문서를 작성하는 사람들은 [[전자출판]] 소프트웨어는 텍스트 편집에 심히 불편한 점이 많고, 반면 책이나 잡지, 홍보물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[[워드프로세서]]는 기능의 한계가 너무나 많다. 한국에서는 흔히 '쿽'이라고 불렀던 [[쿼크익스프레스]]가 대세였지만 슬금슬금 인디자인이 점유율을 높이더니 완전히 대세 역전을 이루었다. 2015년 정도만 해도 현업에서 [[쿼크익스프레스]]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심심치 않게 있었지만 이들도 이제는 거의 넘어온 상태. 사실 이때까지 쿽 쓰던 사람들은 대체로 OS X 이전의 옛날 맥OS에서 3.3K<ref>K라는 기호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, 3.3을 한글 사용 환경에 맞게 개조한 버전이다. 마찬가지로 일본어용은 3.3J다.</ref> 버전을 락을 깨서 쓰던 사람들이 주류였는데<ref>인디자인도 락 깨서 쓰는 방법은 많다. 과거에는 개인 프리랜서나 소규모 인쇄 출판회사에서 정품을 사서 쓰는 비율이 정말 적었다. 지금은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어도비 소프트웨어의 가격 정책은 소규모 사업자에게는 부담스러운 게 현실이라 여전히 어둠의 경로를 찾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. 다만 쿼크익스프레스의 정품 가격이 90년대 물가로 300만원이 넘었을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비쌌던지라, 인디자인 이외에도 어도비의 모든 크리에이티브 소프트웨어를 월 7만원 정도에 이용할 수 있는 어도비의 가격 정책이 훨씬 싸긴 하다.</ref> 출판 인쇄 환경이 워낙에 많이 바뀌다 보니까<ref>일단 당장에 [[트루타입]]이나 [[오픈타입]] 지원이 제대로 안 된다. 무조건 옛날 [[포스트스크립트]] 폰트를 사용해야 하는데, 이를 경우 화면용 글꼴은 [[비트맵 글꼴]]이라서 편집할 때 모양이 참으로 거시기하다. 물론 경력 있는 편집자들은 잘 했지만...</ref>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똥컴이 되어가니 버틸 걸 버텨야지... 그리고 출판 디자이너들이 많이 사용하는 [[포토샵]], [[일러스트레이터]]와 연동도 당연히 가장 좋을 수밖에 없으니 결국 대세가 될 수밖에 없다. 또 한 가지 인디자인의 강점은 맥과 [[윈도우]] 둘 다 잘 지원한다는 점. [[쿼크익스프레스]] 역시도 맥과 [[윈도우]]용이 있긴 하지만 맥용은 앞에서 얘기했던 대로 3.3K에 거의 대부분 사용자가 멈춰 있었고 비슷한 버전의 윈도우용은 거의 쓰레기 수준이라... 한글 쪽은 더더욱 지원이 안 돼서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웠다. 그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비슷한 제원이면 저렴한 가격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<ref>격차는 좁혀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차이는 난다. 다만 맥의 색 관리 기술이 윈도우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맥을 고집하는 디자이너들이 많다.</ref> 윈도우로 인디자인을 사용하고 맥과 윈도우 사이 파일 호환도 가능했기 때문에<ref>물론 반드시 양쪽 컴퓨터에 작업에 사용했던 글꼴이 모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</ref> 이게 큰 강점이 돼서 쿽 사용자들이 많이 넘어갔다. 쿽을 OS X에서 쓰려면 버전을 올려야 했고 돈도 돈이지만 사용 방법도 많이 바뀌기 때문에 그럴 거면 에라이 차라리 [[어도비]]에서 열심히 개발하고 밀어주는 인디자인 배우자... 분위기여서. 과거에는 다른 [[어도비]] 소프트웨어는 몰라도 인디자인만큼은 한글판을 썼다. 한글판에는 영문판에는 없는 한글 [[타이포그래피]]를 위한 추가 기능들이 들어갔기 때문. 대표적인 예가 합성글꼴이라는 것으로, 영문 글꼴과 한글 글꼴은 베이스라인이 잘 안 맞거나 글자의 크기가 미묘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었는데<ref>한글 글꼴에 들어 있는 알파벳을 쓰면 베이스라인 문제는 해결되지만 한글 글꼴에 들어있는 알파벳들은 한글과 어율림을 우선시 하기에 영문용 글꼴과 비교해 보면 대체로 예쁘지 않고 타이포그래피 측면에서도 별로다. 영문으로만 문장을 입력해 보면 확 차이나는 걸 알 수 있다.</ref> 합성글꼴 기능을 이용하면 잘 안 맞는 기능을 미세 조정한 후 한 글꼴처럼 쓸 수 있다. 하지만 크레이티브 클라우드 버전부터는 언어판에 관계 없이 지원되므로 굳이 한글판을 안 써도 된다. 어차피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인터페이스 언어에 맞게 인디자인의 인터페이스도 바뀌기 때문에 그냥 한글 [[윈도우]]나 [[맥]]에 깔면 한글 인터페이스로 뜬다.<ref>다른 [[어도비]] CC 제품도 마찬가지인데, 그동안 영어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져 있던 사람들은 그때문에 헷갈린다. 인터페이스 언어를 임의로 설정하는 기능도 없는지라... 굳이 강제로 설정하자면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가능은 하다.</ref>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어도비 인디자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