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엘리엇매니지먼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엘리엇매니지먼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http://www.elliottmgmt.com Elliotte Management Corporation.]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놓긴 했는데 어마어마하게 썰렁하다. <del>'4월은 잔인한 달'이라고 했던 T.S 엘리엇 만큼이나 잔인한 펀드. 다만 얘들은 1년 내내 잔인하다.</del> 1977년에 [[변호사]]였던 폴 엘리엇 싱어가 130만 달러의 자본금으로 설립한 미국의 [[헤지펀드]]. 처음에는 주로 전환사채 위주로 투자했지만 1987년의 주가대폭락과 1990년대 초의 침체국면을 거치면서 [[헤지펀드]]로 변신했다. [[주주행동주의]]를 표방한다. 그냥 증권을 사고파는 것으로 투자를 얻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주식을 샀으면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거나 불합리한 문제를 지적함으로써 주주의 이익을 도모하고 회사의 가치를 높인다... 뭐 이런 얘기다. 그런데 실제로는 [[벌처펀드]]로 분류된다. 즉 투자 대상 회사 또는 국가가 가진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 들어서 경영권 분쟁이나 소송을 비롯한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최대한 이익을 뽑아먹는 게 주요한 수법이다. 2015년 [[삼성물산]] 지분을 매입한 후 [[삼성물산]]과 [[제일모직]] 합병이 [[삼성물산]] 주주들에게 대단히 부당하다는 점을 들어서 합병 반대를 선언하고 나섬으로써 한국에서도 관심을 확 받게 되었다. ==주요한 전적(?)== 기업과 국가를 상대로 주로 소송을 통해서 수익을 추구하는데, 이들이 거둔 주요한 전적 및 그 희생양들을 몇 가지 살펴보면... ===[[아르헨티나]] 군함 압류 사건=== 2002년 [[아르헨티나]]는 [[국가채무불이행]], 곧 [[디폴트]]를 선언했다. 당시 엘리엇은 액면가 기준으로 6억 3천만 달러 어치의 아르헨티나 국채를 가지고 있었다. 물론 아르헨티나는 그 전부터 흔들흔들한 상태에서 국채가 투기등급까지 떨어진 지 꽤 됐고, 엘리엇은 이걸 알면서도 [[아르헨티나]] [[국채]]를 헐값에 사들였다. [[아르헨티나]] 정부는 디폴트를 선언한 후 국채를 보유한 국가 또는 주요 투자기관을 상대로 채무 재조정, 곧 [[부채스와프]]을 제안했다. [[부채스와프]]이란 디폴트가 된 [[채권]]에 대해서 일정한 할인율을 적용해서 새 [[채권]]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다. 말이 제안이지, '우리 돈 못 갚는데 말이지... 뭐 아주 안 주기는 그렇고, 왕창 깎아서 새 [[채권]]으로 바꿔 줄테니까 그나마 이거라도 가져가서 몇 푼이라도 건지는 게 어때?' 하는 식이다. 좀 심하게 말하면 '이거나 먹고 떨어지라'는 양아치짓에 가깝다. 당시 아르헨티나는 액면가 1 달러당 30 센트에도 못 미치는 부채스와프 조건을 제시했다. [[채권]] 가지고 있던 사람은 완전 손해다. 액면가 기준으로 보면 70% 이상의 손해를 볼 뿐만 아니라 현금으로 주는 것도 아니고 새 채권으로 바꿔주는 거니까 만기가 리셋된다. 그런 [[채권]]이 시장에서 제값 받을 리도 없고. 그래도 완전 망하는 것보다는 몇 푼이라고 건지는 게 나으니까 90% 이상이 울며 겨자먹기로 부채스와프에 동의했다. 그러나... 엘리엇은 이를 거부했다. 사실 엘리엇이 [[아르헨티나]]가 [[디폴트]] 갈 위험이 높다는 거 모르고 국채를 샀을까? 엘리엇은 다른 투자자들을 규합해서 [[아르헨티나]] 정부를 상대로 투자금 전액 상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. [[아르헨티나]]가 아니라 [[영국]]과 [[미국]] 법원에다 걸었다. [[아르헨티나]] [[국채]]지만 [[영국]]과 [[미국]] 시장을 통해서도 팔았기 때문이다. 재판 결과 엘리엇이 승소를 거두었으나 돈 없어서 디폴트 선언을 한 아르헨티나 정부가 이행할 리가 없다. 그리고 엘리엇은 초강수를 둔다. 2012년 10월 자회사인 NML Capital 사를 통해 가나에 정박해 있던 아르헨티나 해군 소속 훈련함 ARA Libertad 호를 압류해버린 것이다. [[디폴트]] 선언은 2002년이었는데 배 압류는 2012년이니까 10년 동안을 ㅎㄷㄷ하게 끝까지 물고 늘어진 거다. [[아르헨티나]]는 완전 뒤통수 제대로 맞은 것. 결국 [[UN]]까지 나서야 했다. 회원국 만장일치 결의로 ARA Libertad을 군함으로 규정한 뒤 즉각 풀어주도록 촉구한 다음에야 2012년 12월에 배가 풀려났다. 아직도 이 전쟁은 완전히 안 끝나긴 했는데 거의 엘리엇의 완승으로 가는 분위기다. 사실 채무 재조정에 전체 국채의 90% 이상이 응할 경우, 나머지 채권자들에게 같은 내용의 채무 재조정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있었지만 [[아르헨티나]] 정부의 법률 전문가들이 이 점을 제대로 몰라서 이 장치가 빠진 국채를 발행한 게 화근이었다. 이미 92.4%가 부채스와프에 동의했고, 엘리엇이 가진 [[아르헨티나]] 국채는 전체 규모에 비해서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[[아르헨티나]] [[국채]]가 가진 허점을 파고 들어서 소송전을 벌이고 군함까지 압류하는 사태로까지 발전한 것이다. 곧, 엘리엇은 애초부터 치밀한 계산을 가지고, 10년 이상 장기전으로 갈 것도 알면서 뛰어든 것이다. <del>80년대에는 [[포클랜드전쟁]]에서 [[영국]]에 줘 터지고, 21세기 들어서는 [[벌처펀드]]에까지 줘 터진 [[아르헨티나]]만 존나 불쌍한 거지 뭐. 정말 불쌍한 거지가 됐다.</del> ===삼성물산-제일모직 합병=== [[한국]]에서는 전혀 듣보잡이었던 엘리엇의 존재가 갑자기 확 떠오른 사건. 자세한 내용은 [[삼성물산-제일모직 합병 분쟁]] 항목 참조. <del>위에 [[아르헨티나]] 얘기 봤지? 니들 큰일났다 이제... 인 줄 알았으나 결국은 삼성왕국이 [[아르헨티나]]보다 더 셌다.</del> ===삼성전자 지배구조 개선 요구=== [[삼성물산-제일모직 합병 분쟁]] 이후 주식 털고 나갔던 엘리엇이 2016년 10월 들어서 삼성전자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를 들고 나왔다. 그 주요한 골자는 삼성전자의 분할이다.
엘리엇매니지먼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