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연근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연근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연꽃]]의 뿌리. 썰어 보면 안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게 특징이다. [[한국음식]]에서는 즐겨 쓰이는 식재료로, 특유의 아삭아삭한 식감과 담백한 맛, 썰었을 때 구멍이 숭숭 뚫린 독특한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. 보통은 껍질을 벗기지 않고 흙이 묻은 채로 통뿌리로 팔리지만 세척해서 흙을 제거하고 깨끗한 상태로도 출하되는 것도 늘고 있으며,<ref>다만 이런 건 중국을 비롯한 수입산이 대부분이다.</ref> 아예 껍질을 벗기고 손질 후 썰어서 포장한 것도 마트나 슈퍼마켓에서 살 수 있다. 다만 껍질을 벗기면 쉽게 변색되므로 좀 귀찮아도 껍질을 까지 않은 것을 사서 집에서 손질하는 게 낫다. 영양 면에서 보면 비타민C가 풍부해서, 연근 100g에 들어 있는 비타민C의 양이 [[레몬]] 한 개와 비슷한 수준이다.<ref>다만 [[레몬]]이 비타민C의 기준으로 자주 거론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[[레몬]]보다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이나 채소가 많이 있다.</ref> 또한 잘라보면 마처럼 끈적한 점액이 있는데 이는 뮤신으로 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. 전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[[탄수화물]] 함량이 높은 편이다.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음식은 [[간장]] [[조림]]. 밑반찬으로, [[도시락]] 반찬으로 스테디셀러다. 연근조림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, 아삭아삭한 식감을 살리는 방법과 천천히 오래 졸여서 쫀득한 식감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. 양쪽 다 호불호가 있다. 얇게 썰어서 기름에 튀긴 연근칩도 [[감자칩]] 대용으로 꽤 맛이 좋다. 영양밥을 지을 때에도 얇게 썰어 넣는다. 말려서 차로도 끓여 마신다. 은행, 죽순과 함께 즐겨 쓰이는 재료. 껍질을 벗겼다면 바로 요리에 쓰거나, 변색 되기 전에 [[식초]]물에 헹군 뒤 랩에 싸서 공기에 닿지 않도록 보관해야 한다. 얇게 썰어서 샐러드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. 별 맛은 없지만 아삭아삭한 식감을 낸다. [[일본]]에서도 자주 쓰이는 식재료 중 하나로, [[조림]]으로도 먹지만 [[텐푸라]], [[쿠시카츠]]를 비롯한 [[튀김]]으로도 자주 쓰이는 재료. 다만 [[일본]] 내 출하량 1위가 하필 [[후쿠시마현]] 옆 [[이바라키현]]이라는 게 영... [[쿠마모토]]에는 카라시렌콘(からしれんこん)<ref>카라시(辛子)가 [[겨자]], 렌콘(蓮根)이 연근을 뜻한다.</ref>이라는 특산물이 유명한데, 연근을 앞뒤 끝부분만 잘라서 물에 한번 삶고 나서 속의 구멍을 [[미소]], [[겨자]], [[꿀]]을 섞은 것으로 채운 다음, [[강황]]을 섞은 [[밀가루]] 반죽을 입혀서 튀겨낸다. [[후쿠오카]] 쪽에서는 [[겨자]] 대신 [[명란젓]]을 써서 만든 멘타이코렌콘이라는 것도 있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연근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