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오드비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오드비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Eau-de-vie. 나무통 숙성을 하지 않은 무색투명한 상태의 증류주를 뜻한다. [[프랑스어]]로 '생명의 물'이라는 뜻이다. <del>먹고 죽자는 물이지 생명은 개뿔.</del> 이 말의 어원이 된 [[프랑스]]에서는 어떤 종류의 증류주든 [[나무통]] 숙성을 거치지 않은 무색투명한 상태의 술이라면 모두 오드비로 본다. 이 기준이면 [[진]], [[보드카]], 한국과 일본의 [[소주]], 중국의 [[백주]]<ref>바이지우(白酒)가 '흰술', 즉 투명한 술이라는 뜻이다.</ref>도 오드비에 들어간다. 영어권에서는 나무통 숙성을 하지 않은 [[브랜디]], 곧 [[과일주]]를 증류한 것만을 오드비로 본다. 증류를 거친 [[술]]은 뭐든 거의가 무색투명한 상태다. 어떤 [[술]]로 증류했냐에 따라서 그 향과 맛은 미묘한 차이를 보이지만 그냥 겉만 봐서는 이거나 저거나 무색투명하므로 분간이 안 된다. [[위스키]]나 [[브랜디]]가 가진 고유의 루비 색깔은 [[오크통]] 숙성 과정에서 나무의 색깔이 배어나오면서 은은하게 액을 물들이는 것이다. 숙성 과정에서 향과 맛도 많이 변하는데, 예를 들어 [[몰트 위스키]]의 재료가 되는 막 증류한 오드비는 [[엿기름]] 냄새가 풀풀 나며 맛 역시도 그와 비슷한 느낌이라 [[몰트 위스키]]와는 정말 많이 다르다. 숙성을 거치면서 [[오크통]]의 나무 성분 일부, 그리고 중고 [[오크통]]이었다면 이전에 숙성할 때 [[오크통]]에 배어들었던 [[술]]의 일부가 녹아 나오고 숙성 원액과 함께 미묘하고 복잡한 화학 반응이 이루어지면서 우리가 아는 [[몰트 위스키]]의 향미가 된다. 물론 오크통에 넣지 않고 숙성해도 시간이 지나면 갖가지 화학반응으로 변화가 일어나지만 나무통에 숙성한 것과는 아주 차이가 크다. 오드비는 각종 [[위스키]]나 [[브랜디]]의 원료로, 혹은 [[강화 와인]]의 [[알코올]] 도수를 올리기 위해서 쓰이지만 그 상태에서 그냥 병입해서 팔리는 제품들도 있다. 그 대표격이 [[와인]]을 양조하고 남은 찌꺼기를 짜내서 증류한 [[그라파]]. [[오크통]] 숙성을 하는 것도 있지만 무색투명한 상태 그대로 병입한 제품이 많다. [[테킬라]], [[럼]]은 오크통 숙성한 제품도, 숙성하지 않은 오드비 제품도 있으며 숙성하지 않은 것을 화이트 럼이라고 부른다. 숙성 안 했다고 무조건 싸구려는 아니다. [[테킬라]]에서 최고급 중 하나으로 쳐주는 파트론(Patrón)은 오드비도 비싸다. 동양권의 [[증류주]]는 나무통에 숙성하는 술이 별로 없고 항아리에 숙성하는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이 오드비 상태다. 증류식이든 희석식이든 한국의 [[소주]]도 그렇고, 일본의 [[소주]], 중국의 [[백주]]도 거의 오드비다. 다만 서양과 교류하면서는 [[위스키]]나 [[브랜디]]의 숙성 방법을 받아들여서 나무통 숙성을 하는 것들도 있다. }{각주}}
오드비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