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오크통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오크통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Oak barrels yamazaki distillery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여러 가지 크기와 종류의 오크통.]] 참나무로 만든 통. [[레드 와인]]이나 일부 [[화이트 와인]]을 숙성할 때도 쓰이며<ref>[[부르고뉴]] [[샤르도네]] [[와인]]은 [[화이트 와인]]이지만 오크통 숙성을 한다. 이런 스타일을 지향하는 다른 [[샤르도네]] [[와인]]도 오크통 숙성을 한다.</ref> [[위스키]], [[브랜디]]를 비롯한 여러 [[증류주]]를 숙성시킬 때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. 싸구려인 경우에는 편법을 쓰기도 하지만 제대로 만든 것이라면 오크통을 다녀와야 한다. [[이탈리아]]의 [[와인]][[식초]]인 [[발사믹]] 역시 고급품일수록 오크통 숙성을 거친다.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피자에 뿌려 먹는 매운 소스로 잘 알려진 [[타바스코 소스]] 역시 오크통에서 3년까지 숙성 한다! 오크통이 하는 기능은 여러 가지다. 먼저 [[위스키]]나 [[브랜디]]가 가진 특유의 루비 빛깔은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다. 증류를 막 마친 [[술]]은 어떤 것이나 무색 투명하다. [[보드카]]나 [[진]]과 같이 오크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증류주는 색깔이 없는데 이런 것을 [[오드비]]라고 한다. [[레드 와인]]은 원래 포도 껍질에서 나오는 진한 색깔이 있지만 오크통 숙성을 통해서 색깔이 더더욱 짙어진다. [[파일:Oak staves with different char levels.jpg|upright 1|섬네일|서로 다른 정도로 불에 그을린 오크통 목재. 가장 위에 있는 것은 그을리지 않은 것이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라이트(light), 미디엄(medium), 헤비(heavy)다.]] 또한 오크통을 만들 때, 안쪽을 불에 그을린다. 잡균도 제거하고, [[술]]에 빛깔과 구운 듯한 <del>[[불맛]]</del>향을 더해준다. 얼마나 깊게 그을릴지도 [[술]]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. 술의 색깔에도 영향을 미칠 뿐더러 그을린 정도에 따라 목재 성분의 변성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향과 맛까지 차이를 낸다. 잘 숙성된 [[위스키]]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바닐라향은 오크통 안쪽을 불에 그을리면서 만들어지는 바닐린 때문으로, 이는 바닐라의 향을 내는 성분과 같다. 오크통은 술이 밖으로 새어나가지는 않을 정도로 밀폐력이 좋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차폐되는 것은 아닌데, [[술]]이 나무에 스며들기도 하지만 이렇게 스며든 술이 미세하게 바깥으로 증발하기도 한다. 그래서 숙성이 길어질수록 술의 양이 해마다 2% 정도씩 줄어든다. 그런데 이건 또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. 온드는 물론이고 습도도 무지 중요하다. 그래서 오크통에 술을 숙성할 때에는 덥지 않으면서 습도가 어느 정도 있는 곳이 좋다. 나무에 스며들어서 손실되는 것을 [[데블스 컷]], 바깥으로 증발되어 사라지는 것은 [[엔젤스 쉐어]]라고 부른다. [[프랑스]]산 오크통을 가장 고급으로 쳐 주지만 요즘은 북아메리카산 오크통도 점점 사용이 늘고 있다. 심지어 [[프랑스]] [[와인]] 중에도 북아메리카산 오크통을 쓰는 것들이 있다. 이 구분은 단지 제조 지역만을 뜻하는 게 아니라 둘은 품종이 다르고 각각 향미가 다르기 때문에 요즈음은 두 가지를 잘 섞어서 쓴다. 오크통도 블렌딩을 한다. 예를 들어 [[프랑스]]산 오크통 60%, [[미국]]산 오크통 40%와 같은 식으로 블렌딩하거나<ref>프랑스산과 미국산 둘 다 숙성했을 때 각자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이들을 조화시켜서 좀 더 복잡미묘한 향미를 내기 위해 두 가지를 블렌딩해서 쓰는 게 대세다.</ref>, 새 오크통 3분의 1, 한 번 쓴 오크통 3분의 2와 같은 식으로 양조한 다음 나중에 술을 한데 섞기도 한다. 또한 안쪽을 불로 그을리는 정도 역시 여러 단계로 나눠서 쓴다. [[위스키]] 중에는 [[와인]]이나 다른 [[위스키]]를 양조했던 오크통을 가져다가 숙성에 사용하는 곳도 많다. 오크에서 오는 특유의 향미는 물론 새 오크통을 썼을 때 가장 풍부하게 녹아들지만 오크통을 재사용하면 그 오크에서 숙성했던 술의 성분이 다시 녹아나오면서 더욱 복합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[[와인]]을 머금고 있던 오크통에 [[위스키]]를 숙성하면 [[와인]]의 향미가 다시 [[위스키]]로 녹아들기 때문에 [[와인]]에서 오는 과일향과 색깔을 더할 수 있다. 특히 고급 [[위스키]]들 중에는 대놓고 [[와인]] 숙성에 썼던 오크통을 썼다고 자랑하기도 한다. [[맥켈란]]을 비롯한 [[싱글 몰트 위스키]]들이 [[쉐리]] 같은 [[강화 와인]], 심지어는 [[버번]] 숙성에 썼던 오크통으로 숙성했다고 대놓고 자랑한다. <del>[[싱글 몰트 위스키]]와 비교하면 [[버번]]이 싸구려인데</del><ref>[[옥수수]]를 주 원료로 잡곡으로 만들며 [[미국]] 원산이라는 이미지, 그리고 [[스코틀랜드]]에서는 이런 스타일의 [[그레인 위스키]]는 [[블렌디드 위스키]] 만들 때나 쓰이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[[버번]]은 싸구려라는 인식이 있지만 [[버번]]도 비싼 녀석은 아득히 비싸다. 그리고 [[싱글 몰트 위스키]] 중에는 [[버번]] 숙성에 사용했던 오크통을 사용하는 것도 상당히 많다. 참고로 미국은 새 오크통만으로 숙성해야 [[버번]]이라는 이름을 쓸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.</ref> [[와인]] 오크통으로 숙성한 [[위스키]]는 알듯 모를듯 과일향이 감돌아서 [[위스키]]와 묘한 조화를 이룬다. 특히 강렬하게 톡 쏘는 듯한 [[몰트 위스키]]라면 지나치게 날이 서 있는 [[몰트]]향을 [[와인]]의 흔적이 조금 누그러뜨려서 균형감을 잡아줄 수 있다. [[파일:Parts of and tools for oak barrel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일본]] [[홋카이도]] [[요이치증류소]]에 전시된, 오크통을 만들 때 쓰이는 재료와 도구들.]] {{각주}} [[Category:술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오크통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