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우거지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우거지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보통 쓰이는 의미로는 [[배추]]의 겉잎을 말린 것. 무청을 말린 [[시래기]]와 함께 한국식 말린 채소의 라이벌이라 할 수 있다. 그러나 이는 정확한 의미는 아니다.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우거지는 배추만이 아니라 푸성귀의 겉잎을 이르는 말이다. 즉 말리지 않은 날것도 우거지라고 부른다. [[시래기]]는 이런 겉잎과 무청 같은 것들을 말린 것을 뜻한다. 즉 배춧잎이든 무청이든 우거지도 되고 [[시래기]]도 된다. 그러나 겉잎을 그냥 먹는 일은 거의 없고 배추 말고는 딱히 겉잎만 따로 말려 먹는 것도 없어서 지금은 배춧잎 말린 건 우거지, 무청 말린 건 [[시래기]]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. 언론에서도 이렇게 얘기하는 기사들이 있다.<ref>[http://www.hani.co.kr/arti/specialsection/esc_section/851952.html "시래기와 우거지의 차이를 아시나요?"], 한겨레, 2018년 7월 4일.</ref> 하지만 거꾸로 부르는 사람들도 꽤 많으며 이런 사람들은 [[배추]]로 만든 건 그냥 [[시래기]], 무청으로 만든 건 무시래기라고 부른다. 먹을 게 넉넉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무청이든 [[배추]] 겉잎이든 그냥 버릴 일이 아니었다. 하지만 이 녀석들은 그냥 먹기에는 질기고 억세었기 때문에 맛이 없었다. 삶아서 말리고 이걸 다시 불리면 좀 나았다. 보존성도 좋으니까 겨울에 채소 귀할 때 먹기에도 괜찮아서 농가에서는 우거지나 [[시래기]]를 많이 만들었다. 처마 밑에 우거지나 [[시래기]]를 매달아 놓고 말리는 풍경은 낯익은 고향 풍경 중 하나. [[배추]]의 겉잎은 색깔이 짙푸르고 질기기 때문에 [[김치]]를 비롯한 음식을 만들 때에는 때어내고 색이 창백하고 연한 속만 쓴다. 떼어낸 겉잎을 버리지 않고<ref>겉잎이 큼직하기 때문에 배추를 손질하다 보면 버리는 게 더 많다 싶을 정도다.</ref> 손질해서 삶은 다음 말리면 우거지가 된다. 당연히 가격도 싸다. 전통방식은 물론 햇볕에 말리는 것이지만 요즘은 대량생산으로 빨리 만들 때에는 열풍 건조기를 쓴다. 음식에 쓸 때는 물에 불려서 쓴다. 시장에 가면 아예 불려놓은 것을 팔기도 한다. 충분히 불리고 나면 깨끗한 물에 여러 번 씻은 다음 물기를 꼭 짜서 음식에 넣는다. 특히 말리는 과정에서 이것저것 이물질이 묻어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반드시 여러 번에 걸쳐 충분히 씻어 줘야 한다. 불리면 부피가 좀 늘어나긴 하지만 미역처럼 몇 배로 불어나는 정도는 아니며 말린 식재료 특유의 꾸덕꾸덕한 식감도 여전히 남아 있다. 여러 국물 요리에 즐겨 쓰이는 건더기로 특유의 질기게 씹히는 식감과 [[배추]]의 단맛이 특징이다. 하지만 질겨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보통은 칼이나 가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. [[된장국]] 재료로도 많이 쓰이고, [[감자탕]]에는 필수 요소이다시피 하다. 먹다가 우거지가 [[시래기]]를 더 넣어달라는 사람들도 많다. [[사골]] 국물에 [[된장]]과 우거지를 넣은 사골우거지국, 소갈비를 넣은 우거지[[갈비탕]]도 인기 음식이다. [[선짓국]]에도 역시 필수요소 중 하나. 갖은 양념과 [[참기름]]을 넣고 무침으로도 먹는다. 정월대보름에 먹는 묵은나물로 많이 등장한다. 잔뜩 찌푸린 얼굴을 뜻하는 '우거지상'이라는 말이 있다. 말려서 쭈글쭈글해진 우거지의 모습을 빗댄 말로, 여기에 얼굴의 모습을 뜻하는 상(相)<ref>관상(觀相)이라는 말이 얼굴의 상(相)을 보고(觀) 점을 친다는 뜻이다.</ref>이 붙은 말이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우거지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