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월드랠리챔피언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월드랠리챔피언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World Rally Championship (WRC). 전 세계 [[랠리]] 경기의 만렙이라고 할 수 있는 챔피언십. 물론 [[다카르 랠리]] 처럼 극한의 [[랠리]] 경기도 있지만 단일 경기가 아닌 챔피언십 형태의 [[랠리]] 경기로는 WRC가 최고라고 할 수 있다. 온로드 자동차 경주의 정점이 [[포뮬러 1]]이라면 오프로드 [[랠리]]의 정점은 WRC. 하지만 [[모나코]] 랠리와 같이 구간의 상당부분이 포장도로인 경기도 있다. [[F1]]처럼 전 세계를 돌아디니면서 경기를 개최한다. 랠리의 최고 정점에 있다고는 하지만 [[랠리]]의 인기나 흥행이 [[서킷 레이스]]보다는 한참 딸리기 때문에 인기와 돈으로 본다면 [[F1]] >>>>> (넘사벽) >>>>> WRC인 실정이다. 그래도 흙먼지 날리는 [[랠리]]야말로 사나이의 스포츠라고 믿는 <del>마초</del> 팬들이 있어서 WRC의 존재감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. 자동차 회사들로서도 일반 판매용 자동차를 베이스로 하고 극한의 터프한 환경에서 달리는 자동차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에는 상당히 좋은 방법이다. 일본의 스바루 같은 회사들은 랠리를 통해 얻은 이미지가 정말로 크다. [[F1]]이 경주용 전용 차량을 만드는 데 반해 WRC는 일반 차량을 기반으로 개조한 차량을 쓴다. 좀 더 정확하게 <del>많이 안다고 자랑하기 위한 목적으로</del> 말한다면 [[FIA]] [[국제스포츠규칙]] 부칙 J 제255A조를 기반으로 한 차량이다. 한국 회사나 선수가 한번도 참여한 적이 없는 [[F1]]과는 달리 WRC는 [[현대자동차]]가 2000년부터 [[베르나]]<ref>해외에서는 '액센트'로 팔렸기 때문에 WRC에도 액센트 이름로 참전했다.</ref>로 참전했다가 성적이 안 나오니까 2003년 시즌 중에 지 꼴리는대로 때려치고 [[FIA]]로부터 벌금 100만 달러를 맞은 적이 있다.<ref>챔피언십 시즌에 참가 신청을 했다면 [[FIA]]로부터 불가항력이라는 인정을 받지 못한 한, 그 시즌 전체 경기에 참가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벌칙을 받기 때문이다.</ref> 2014년부터 [[I20]]로 다시 참전하고 있다. 성적이 상당히 괜찮아서 경기 우승은 여러 차례 거두고 있다. 아직 한국인 드라이버가 없는 게 아쉽지만 현대자동차에서 나름대로 가능성 있는 드라이버를 키우려고 노력은 하는 중. 가장 상위 클래스인 WRC를 정점으로 그 아래에 WRC 2, WRC 3, WRC 주니어 클래스가 있으며 보통 대회가 열릴 때에는 그 나라의 [[랠리]] 챔피언십 경기가 일종의 서포트 경기 개념으로 함께 진행된다. ==경기의 진행== 총 3개의 [[레그]]로 진행된다. 마지막 SS는 파워스테이지로 이 스테이지의 순위만으로 추가 포인트가 주어진다. 물론 종합 순위계산에도 들어간다. SSS처럼 관객들이 보기 좋은 작은 공간에서 짧게 진행된다. ==한국 개최?== 2015년 7월 갑자기 [[강원도]]가 [[SBS]]와 손잡고 2018년부터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서 WRC를 개최하겠다고 나섰다. 아직 개최권은 못 잡았지만 둘이 협력해서 개최권을 가져오겠다는 것. <del>평창동계올림픽도 천문학적인 적자가 확정인데 이 분들이 왜 이래. 어설프게 덤볐다가는 [[코리아 그랑프리]] 꼴 나려고. 그래도 개최권료보다 [[F1]]보다 훨씬 싸긴 하지.</del> 사실 지금 WRC에 현대자동차도 참전하고 있고, 대한자동차경주협회 회장이 2014년부터 [[FIA]] 랠리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정작 제대로 된 랠리 경기가 없다. 그런 면에서 보면 랠리를 하는 거야 좋지만 처음부터 세계 최고 수준의 챔피언십인 WRC라면 너무 과한 욕심이 될 수도 있다. [[랠리]]는 [[서킷 레이스]]와는 굉장히 많이 다르기 때문에 상당 기간 [[랠리]]의 맥이 끊어져버린 우리나라가 과연 경기 운영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. 뭐, 아니나 다를까, 얼마 못가서 결국 나가리 되고 말았다. 사실 그나마 서킷 레이스는 하고 있지만 랠리는 오랫동안 제대로 경기조차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설령 유치를 해도 문제였을 수밖에 없다. 돈 쏟아서 외국 관계자들을 잔뜩 불러오는 돈지랄을 하지 않는 한은 답이 없는지라... ==WRC가 낫나, [[F1]]이 낫나?== [[모터스포츠]] 팬들 사이에 아주 수시로 나오는 떡밥 중 하나. 서킷 레이싱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F1 드라이버와, 랠리의 최고봉이라 할수 있는 WRC 드라이버 중에 누구의 실력이 더 뛰어난가는 늘 두 챔피언십 팬들 사이에 입씨름의 대상이 되어 왔다. 게다가 이 양쪽 챔피언십을 모두 석권한 사람도 없는지라 더더욱 논란이 많다. F1 드라이버중에는 키미 라이코넨처럼 F1 챔피언을 차지하고 [[WRC]]에 도전한 이들도 있지만 성적이 그냥 좋은 정도이지 경기 우승조차 하지 못했다. 반대로 WRC 챔피언 중에 세바스티안 뢰브처럼 [[F1]] 데뷔를 시도한 사람들도 있긴 했지만 대체로 실패로 돌아갔다. 사실 둘은 차량의 특성이나 주행 스타일이 너무나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서 정상에 올랐다고 해서 다른 한쪽도 평균 이상은 몰라도 정상에 오르는 건 힘들다. 핸드볼 국가대표라고 농구 국가대표가 될 수 있는 건 아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 아닌가?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. 그냥 둘 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괴물 같은 선수라고 생각하자. 한 때 [[모토GP]] 챔피언 발렌티노 로시와 [[F1]] 챔피언 페르난도 알론소 사이에 논쟁이 붙었을 때, 로시가 결투를 신청한 적이 있었다. [[F1]], [[모토GP]], WRC 이 세 가지를 가지고 실력을 겨뤄보자는 것. 하지만 페르난도 알론소가 그런 일로 놀아 줄 시간 없다고 일축하는 바람에 무산됐다. {{각주}} [[Category:모터스포츠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월드랠리챔피언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