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위스키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위스키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Whisky. 미국과 아일랜드 영어로는 Whiskey. 어원은 '물'을 뜻하는 게일어<ref>[[아일랜드]]와 [[스코틀랜드]]에서 사용했고 지금도 일부 사용하는 언어. 위스키로 가장 유명한 곳이 [[스코틀랜드]]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간다.</ref> 'uisce'가 영어화된 것. [[곡물]]을 주 원료로 술을 만들어 [[증류]]한 후 나무통에 보관 숙성하는 [[증류주]]. [[과일]]을 주 원료로 하는 [[증류주]]인 [[브랜디]]와 대비되는 개념이다.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만이 위스키로 분류된다. 예를 들어 [[보드카]]는 [[밀]], [[호밀]], [[수수]], [[옥수수]]와 같은 곡물을 원료로 하지만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무색 투명한 [[술]]이라서 위스키로 분류되지 않는다. [[중국]]의 [[백주]]나 [[한국]], [[일본]]의 [[소주]]도 마찬가지. 다만 [[증류식 소주]] 가운데 일부는 나무통 숙성을 하는 것도 있으며, 이런 것들은 위스키로 분류해도 된다. 많은 위스키들이 숙성 기간을 표시하고 있는데,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보통 10년, 12년, 17년, 18년, 21년, 25년, 30년 정도가 많이 볼 수 있는 숙성 기간이다. 그런데 이 숙성 기간은 '최소' 숙성 기간을 뜻한다. 즉, 12년 숙성 위스키라면 12년 숙성한 원액만 넣은 게 아니라, 최소 12년 숙성한 원액이 들어간다는 뜻이다. 보통은 최소 숙성 기간 원액을 많이 쓰고 여기에 더 오래 숙성한 원액을 블렌딩한다. 숙성 기간이 길수록 가격은 기하급수로 뛰는데, 기간이 길어지므로 관리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액이 줄어드는 [[엔젤스 쉐어]]가 더 큰 원인이다. 숙성 기간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숙성 기간이 짧아서 표시해봐야 별 메리트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. [[일본]]에서는 숙성 년수 표시가 없는 것을 DR(Distiller's Reserve)라고 부른다. [[밀]], [[보리]], [[옥수수]], [[호밀]]을 비롯한 갖가지 곡물들이 원료가 된다. 특히 [[보리]], 정확히는 [[맥아]]를 사용해서 만든 위스키는 [[몰트 위스키]]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고, [[스코틀랜드]]에 고급 브랜드들이 즐비하다. 아예 [[몰트 위스키]]가 아닌 것은 퉁쳐서 [[그레인 위스키]]로 분류할 정도로 [[몰트 위스키]]의 중요도가 높다. 세계에서 가장 비싼 위스키 랭킹을 뽑으면 꼭 들어가는 게 [[싱글 몰트 위스키]]. {{#ev:youtube|ZNe4ZRFx9oY}} 위스키계의 대표 선수라고 할 수 있는 [[스카치 위스키]]가 어떻게 만들어지는를 [[스코틀랜드]]의 여러 증류소, 그리고 [[스카치 위스키]]들과 함께 보여주는 영상이다. [[스카치 위스키]]만이 아니라 위스키는 다 이런 식으로 만든다. 위스키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증류를 위한 [[술]]을 만들어야 한다. 곡물은 당분이 녹말의 형태로 들어 있는데, [[녹말]]은 [[효모]]가 먹을 수 없기 때문에 [[당화효소]]로 [[녹말]]을 [[당분]]으로 바꾸어줘야 한다. 이를 위해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[[보리]]의 싹을 틔운 [[맥아]]. 그래서 대다수 위스키는 100%든 일부든 [[맥아]]를 사용한다. 단, 밀이나 [[호밀]]을 싹틔운 것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각각 [[밀맥아]]와 호밀맥아라고 부른다. 곡물과 [[맥아]]를 [[당화효소]]가 활성화되는 온도의 더운 물에 넣어서 [[녹말]]을 [[당분]]으로 바꾼 다음, [[효모]]를 투입해서 당분을 [[알코올]]로 바꾸는 [[발효]] 과정을 거친다. 이렇게 만든 술은 [[알코올]] 함량이 대략 5~7% 정도인데,이를 증류하면 높은 도수의 [[증류주]]를 얻는다. 증류는 한번 또는 여러 번 할 수 있다. 증류를 막 거친 술은 재료가 무엇이든 무색 투명하며 이를 [[오드비]]라고 하는데, 이를 [[오크통]]에 넣어서 숙성하면 특유의 은은한 갈색 빛깔과 복잡한 향미가 만들어진다. 이후 블렌딩을 거쳐서 병입하면 위스키가 완성된다. 대체로 병입 후에도 일정 기간 더 숙성한 다음 시장에 내놓는다. [[브랜디]]의 경우에는 [[코냑]]이나 [[아르마냑]] 같은 [[포도]] [[브랜디]]가 압도적이지만 위스키 쪽은 나름대로 춘추전국시대다. 물론 위스키라고 하면 가장 먼저 [[스코틀랜드]]의 [[스카치 위스키]]나 그 중에서도 [[맥아]]로 만든 [[몰트 위스키]]가 생각나겠지만 [[미국]]의 [[버번]], [[아일랜드]]의 [[아이리시 위스키]], [[캐나디안 위스키]]와 같은 무시무시한 놈들이 득실득실하니... 그밖에도 <del>[[스카치 위스키]]의 따라쟁이인</del> [[일본]] 위스키도 또 무시 못한다. 옛날에는 따라쟁이였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위스키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심지어 [[스카치 위스키]]보다 좋은 평판을 얻는 놈도 있다. 대표적인 게 [[산토리]]의 [[싱글 몰트 위스키]]인 [[야마자키 (위스키)|야마자키]]. 특히 위스키계의 거물인 짐 머리의 <위스키 바이블 2015>에서 수백 년 전통을 자랑하는 위스키 메이커들을 제치고 한정판인 야마자키 쉐리 캐스크 2013에게 100점 만점에 97.5점을 주고 그 해의 톱으로 뽑았다. 이 사건으로 세계가 발칵 뒤집혔고 [[일본]] 위스키 품귀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어서 산토리의 주력 상품들은 씨가 마를 정도가 되어 버렸다. [[곡물]]도 [[과일]]도 아닌 것을 재료로 쓰는 [[증류주]]인 [[럼]]([[사탕수수]])이나 [[테킬라]]([[용설란]])는 어떻게 할 것인가? 이들은 [[당분]]을 [[녹말]] 형태가 아닌 [[당분]] 그대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[[당화효소]]가 따로 필요 없다.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[[브랜디]]에 좀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[[브랜디]] 쪽에서는 안 끼워준다. 이들은 그냥 증류주의 일종이다. [[한국]]과 [[일본]]의 [[소주]], [[중국]]의 [[고량주]], [[러시아]]의 [[보드카]]도 곡물 기반의 [[증류주]]인 만큼 이쪽에 들어가지만 엄밀히 말하면 위스키는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으로 한정한다. <del>그렇다면 [[일품진로]]는 위스키 입성?</del>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것을 프랑스어에서 온 말인 [[오드비]](Eau-de-vie)라고 부른다.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'오드비'를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과 안 거친 것 모두에 쓸 수 있다. 위스키의 최대 소비국은 의외로 [[인도]]다. <del>하긴 인구빨이 있으니.</del> [[인도]] 혼자서 전 세계 소비량의 절반을 먹고 있다. 소비량이 엄청난만큼 생산량도 많아서 2017년 기준으로 세계 최대 생산량을 자랑하는 위스키도 인도의 오피서스초이스(Officer’s Choice)라는 제품이다.<ref>[https://www.theiwsr.com/wp-content/uploads/IWSR-Press-Release_Top-100-largest-spirits-brands-revealed-in-the-IWSR-Real-100_3Jul2018.pdf "Top 100 largest spirits brands revealed in the IWSR Real 100"], ''IWSR'', 3 July 2018. 참고로 증류주 전체 1위는 당당히 한국의 진로소주...</ref> 하지만 이 동네는 정말 질보다 양이라서 위스키에 대한 명확한 표준이나 기준이 없다. 마실 때는 그냥 스트레이트로 마시거나, 얼음을 넣은 온더락스로 마시는 게 보통이다. [[일본]]에서는 [[하이볼]]로도 많이 마신다. [[칵테일]] 재료로는 잘 쓰이지 않는데 위스키 자체가 특유의 향미를 복잡 미묘하게 가지고 있으므로 그대로 마시는 게 더 좋기도 하고, 위스키에 쓰이는 베이스 술은 보통 [[보드카]]나 화이트 [[럼]]처럼 자기 캐릭터가 강하지 않은 중립적인 술, 혹은 [[진]]처럼 아예 그 자체가 혼성주인 술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. {{각주}} [[Category:증류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위스키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