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유부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유부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한자로는 油腐. [[두부]]를 튀긴 것. [[두부]]를 얇게 썰어서 튀기면 연한 갈색이 되어 마치 스폰지 같은 질감이 되고 질겨진다. 속심 부분만 덜 튀긴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가운데가 벌어지며, 이런 성질을 이용해서 주머니처럼 속을 채워서 요리를 만들 수 있다. 폭신한 식감에 고소하고 기름기 있는 맛이 난다. [[일본]]에서는 아부라아게(油揚げ)<ref>기름에 튀겼다는 뜻이다. 이 말 자체에는 '두부'라는 말은 들어 있지 않다.</ref>라고 부르며 정말 즐겨 쓰이는 식재료다. 유부가 [[일본]]에서 기원된 것이기도 하다. 원래는 [[두부]]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름에 튀겼던 것인데 독특한 식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한 것. ==활용== 유부만 채썰어서 [[우동]]이나 [[국수]]를 비롯한 여러 가지 요리의 고명으로도 사용한다. [[분식집]]에서 [[볶음밥]], [[돈까스]], [[덮밥]]이나 [[비빔국수]]와 함께 [[된장국]]이나 [[장국]]을 주는데 여기에도 채썬 유부를 띄워주는 곳들이 있다. 유부를 활용한 가장 손꼽히는 요리라면 역시 [[유부초밥]]. 유부를 양념 국물에 적신 다음 속에 [[초밥]]을 채워서 만든다. [[김밥]]과 함께 소풍 [[도시락]]의 라이벌.<del>이라기엔 좀 차이가 많이 나긴 하지만.</del> 자세한 내용은 [[유부초밥]] 항목 참조. 그밖에 속에 다진 [[고기]], [[당면]]을 비롯한 속재료를 채워 넣고 위를 묶은 유부주머니는 [[일본]] [[오뎅]]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아이템. 큼직한 유부를 통째로 위에 올리는 [[키츠네우동]]은 [[일본]] [[우동]]의 기본 중 하나다. 여기서 '키츠네(きつね)'는 [[여우]]를 뜻하는데, [[일본]]에는 [[여우]]가 유부를 좋아한다는 민담이 내려온다. [[유부초밥]]을 뜻하는 이나리즈시(いなり寿司)에서 '이나리(あなり)'도 여우를 뜻하는 다른 단어다. 우리나라는 [[가락국수]]의 고명으로 인기가 많다. '유부우동'이라는 이름으로 유부를 통으로 넣거나 썰어서 고명으로 올려준다. [[일본]]의 [[키츠네우동]]도 유부를 넣어주지만 우리나라는 통으로 넣기보다는 채썰어서 넣어주는 곳이 많다. 유부를 [[김밥]]의 속재료로 넣은 유부김밥도 있다. ==여우는 유부를 좋아한다?== 일본에는 예로부터 '여우는 유부를 좋아한다'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.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유부가 들어간 [[키츠네우동]]이나 [[유부초밥]]을 뜻하는 [[이나리즈시]]도 모두 여우를 뜻하는 말이 들어가 있다. 실제로 여우가 유부를 잘 먹는지 어쩐지는 알 수 없지만 여우는 육식을 주로 하지만 갯과 동물답게 열매 같은 것도 먹는 잡식성이므로 못 먹지는 않을 것이다. 대체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유부를 뜻하는 '아부라아게'가 처음에는 [[두부]]를 튀긴 것이 아니라는 설이다. 일본이 농경사회로 접어들면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들쥐떼 때문에 꽤나 골머리를 앓았는데 주요한 천적 중에 하나가 여우였다.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는 여우를 숭상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그러한 방법 중 하나가 여우굴 앞에 기름에 튀긴 쥐를 <del>으웩</del> 바치는 것이었다. 왜 하필 기름에 튀겼는지는 정확히는 알 수가 없다고 한다. 이후 6세기에 불교가 일본으로 전파되고 불교 신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살생은 좋지 않다는 생각이 사람들 사이에 널리 퍼졌고, 쥐 대신 [[두부]]를 튀겨서 여우굴 앞에 바치기 시작했다. 이러한 풍습이 시간이 흐르면서 '여우는 유부를 좋아한다'는 믿음으로 굳어진 것이다.<ref>[https://jpnculture.net/aburaage/ "狐はなぜ油揚げが好きと言われているのか?その理由と関係とは?"], 日本文化研究ブログ, 2020년 9월 24일.</ref> 정확히는 '여우는 아부라아게를 좋아한다'는 믿음 자체는 그대로인데 '아부라아게'가 쥐 튀김에서 유부로 바뀐 것이다. ==비슷한 음식== [[두부]]를 튀긴 것은 아부라아게 말고도 [[아츠아게]](厚揚げ) 또는 나마아게(生揚げ)라는 것도 있는데, 이건 [[두부]]를 좀 더 두툼하게 썰어 튀긴 것으로 안에는 하얀 [[두부]] 살이 두툼하게 살아 있고 [[오뎅]]이나 [[전골]]에 넣거나 [[야키토리]] 재료로도 쓰인다. 아츠아게는 두껍다는 뜻의 '아츠'(厚)를 강조한 말이고 나마아게는 속살이 하얀 [[두부]] 그대로 살아 있다는 뜻의 '나마(生)'를 강조한 말로 전자는 [[간사이]] 및 [[큐슈]] 지방에서, 후자는 [[간토]] 지방에서 많이 쓰인다. ==관련 문서== * [[가락국수]] * [[아츠아게]] * [[유부초밥]]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유부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