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유부초밥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유부초밥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유부]]주머니 안에 [[초밥]]을 채워 넣고 모양을 잡은 음식. [[당근]]이나 [[감자]], [[양파]]와 같은 [[채소]]를 잘게 다져 볶은 다음 [[참깨]]와 함께 [[초밥]]에 버무려서 맛을 낸다. 갈은 [[소고기]]를 볶아서 함께 버무리기도 한다. [[초밥]]용으로 나오는 [[유부]]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데, 칼로 자르면 안이 비어 있다. 여기에 [[초밥]]을 채우고 좀 눌러서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. 요즈음은 유부초밥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채썬 재료와 [[초밥]]용 배합초, [[유부]]가 한 세트로 포장된 제품도 판다. [[유부]] 역시 [[간장]]과 [[설탕]], [[미림]]을 사용한 국물에 담가서 맛도 내고 질감도 촉촉하게 만드는데. [[초밥]]용 유부는 이미 이 과정을 거친 것. 쉽게 짐작하겠지만 [[일본]]이 원조이고 이나리즈시(いなりずし, 稲荷寿司)라고 부른다. 확실하지는 않지는 [[나고야]]를 발상지로 보는 게 일단 정설이고, 하여간 [[나고야]]가 있는 [[아이치현]] 지역이 원조인 것은 확실해 보인다. 일본 전국으로 퍼져서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면서 저마다 지역의 특색을 가진 유부초밥으로 발전해 나간다.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[[김밥]]은 한국형으로 많이 진화됐지만 유부초밥은 여전히 [[일본]]과 비슷하고 종류도 거기서 거기다. 유부초밥의 모양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. 하나는 사각형 유부를 대각선으로 잘라 [[초밥]]을 채워 삼각형 모양으로 만든 것이 있고, 사각형의 한쪽 모서리를 잘라 [[초밥]]을 채우는 방식이 있다. 삼각형은 [[초밥]]을 안에 꽉 채우고 [[초밥]]이 바깥으로 드러나는 반면, 사각형은 꽉 채우지 않고 남은 부분을 접어서 밖으로 [[초밥]]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. 삼각형은 간사이 지방, 사각형은 [[간토지방]] 쪽에서 주로 만든다. 보통은 사각형이 좀 더 크다. [[김밥]]처럼 간편하게 [[도시락]]으로 싸 가지고 다닐 수 있고, 실제로 예전에는 소풍 [[도시락]]은 [[김밥]] 아니면 유부초밥이었다. 둘이 라이벌이라기엔 [[김밥]]이 훨씬 압도적이긴 했지만... [[편의점]]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. 같은 초밥으로 만든다면 만들기는 [[김밥]]보다는 간단한 편. [[김밥]]은 [[달걀지단]]을 부치고 여러 [[채소]]와 [[햄]], [[맛살]]과 같은 재료를 길쭉하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야 하며, 발 위에 [[김]]과 [[밥]]. 재료를 올리고 마는 과정이 품이 들지만 유부초밥은 재료의 양도 적고, 잘게 다져 같이 볶은 다음 밥에 버무리면 되므로 훨씬 간편하다. 아예 양념 국물에 적신 [[유부]]와 [[초밥]]용 [[식초]] 양념, 그리고 볶은 채소 후레이크가 함께 들어 있는 유부초밥 만들기 세트도 판매하고 있으므로 밥만 지어서 설명서대로 만들면 자취생도 그럴싸한 유부초밥을 만들 수 있다. 하지만 그만큼 맛이 단순하고 왠지 반찬 없이 밥만 먹은 느낌이 든다. 요즈음 [[김밥]]은 [[초밥]]이 아닌 그냥 밥을 사용하는 추세지만 유부초밥은 이름처럼 여전히 [[초밥]]을 사용한다. [[김밥]]처럼 재료가 이것저것 많이 들어가는 것도 아니라서 [[초밥]] 아니면 별 맛도 안 난다. [[Category:일본음식]]
유부초밥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