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이탈리아 와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이탈리아 와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유럽 와인으로는 프랑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. 프랑스 와인이 전 세계적으로는 가장 이름을 떨치고 있지만 이탈리아 와인도 이에 꿀리지 않으며, 사실 역사로 보면 오히려 이탈리아 와인이 더 장대하다. 그도 그럴 것이, 가톨릭에서는 성찬의 포도주가 필수이기 때문에 교황이 있는 [[이탈리아]]에서 와인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고, 일찌감치 [[와인]]이 발달했다. [[프랑스 와인]]이 본격 발전한 것은 14세기에 교황이 [[아비뇽]]으로 도망 온, 이른바 '아비뇽 유수' 사건 이후였고 그 전에는 이탈리아 와인에 비하면 명성이나 품질이 떨어지는 편이었다.<ref>다만 부르고뉴 같은 경우에는 14세기 중반에 '용맹공' 필리프가 [[피노 누아르]] 100%로만 [[와인]]을 만들라는 칙령을 때릴 정도로 품질에 신경을 많이 썼다.</ref> 가장 유명한 지역으로 양대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본토 중부의 [[토스카나]]와 북쪽 꼭대기 [[피에몬테]]. [[토스카나]]는 [[산죠베세]]와 이를 알이 크게 품종 개량한 [[브루넬로]]를 주종으로 하고 있고, 피에몬테는 뭐니뭐니해도 [[네비올로]]가 주종이다. [[토스카나]]는 프랑스 [[보르도]]의 주류 품종을 베이스로 한 [[수페르 토스카나]]가 오히려 전통적인 [[토스카나 와인]]을 쌈싸먹는 분위기로, 고급 [[와인]]은 [[수페르 토스카나]]와 [[브루넬로 디 몬탈치노]]가 라이벌로 겨루고 있다. 이탈리아 와인에 입문하는 분들이라면 [[레드 와인]]이라면 [[토스카나]]의 가장 대중적인 [[와인]]인 [[키안티]]와 그 상위 버전인 [[키안티 클라시코]], [[화이트 와인]]이라면 달달한 [[모스카토]]일 것이다. [[프랑스]]의 AOC처럼 [[이탈리아]]도 지역 인증 제도가 있다. 아래의 네 단계로 나뉜다. * IGT(Indicazione geografica tipica, 일반 지리적 표시) : 인증 규정이 가장 느슨해서 네 단계 중에는 가장 낮은 등급인데... 그렇다고 싸구려냐 하면 그 반대의 사례가 한둘이 아니다. DOC 계열들이 전통에만 집착한 까다로운 규정을 강요하다 보니 이러한 틀에서 벗어난 [[와인]]을 만드는 이들은 아예 IGT로 받아버린다. 그 대표 예가 [[이탈리아]]에서 가장 비싼 [[와인]]으로 손꼽히는 [[메를로]] 100%의 마세토 와인<ref>[[메를로]] 100%로 만드는 초고가 [[와인]]이다 보니 '[[이탈리아]]의 샤토 페트뤼스'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.</ref>. [[이탈리아]] [[포도]] 품종을 1%도 안 쓰는지라 규정에 안 맞아서 IGT로 들어간다. 이것 말고도 [[수페르 토스카나]] 와인 중에 IGT를 받은 게 꽤 있다. * DO(Denominazione di Origine, 원산지 지정) : IGT보다는 좀더 강화된 규정을 적용한다. DO로 시작하는 세 가지 인증 가운데 가장 가장 널럴하지만 이 인증 와인은 별로 없다. 그냥 IGT 가는 게 나으니... * DOC(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, 통제된 원산지 지정) : 가장 많이 받는 인증이다. 저렴한 [[와인]]도 많지만 가격의 톱을 찍는 쟁쟁한 와인들도 즐비하다. 일단 [[수페르 토스카나]]의 대표 주자인 사시카이아<ref>우리나라에서는 '이건희 와인'으로 잘 알려져 있다. 이건희가 좋아하기도 했고 연말연시 임원 선물로 돌리기도 해서. 원래는 IGT조차도 아닌 그냥 vino da tavola(테이블 와인)였지만 워낙에 명성이 높아지다 보니 IGT 등급을 받았고, 이후에 [[수페르 토스카나]]의 본진인 볼게리가 DOC 등급을 받으면서 사시카이아도 DOC 등급을 줬다.</ref>가 DOC이고, 피에몬테 지역의 맹주인 가야의 이른바 '블랙 레이블' 시리즈들은 [[바르바레스코]] 하나 빼고는 DOC다. 사실 [[수페르 토스카나]] 중에는 원래는 IGT였지만 워낙에 명성을 날리다 보니 규정을 변경해서 DOC 인증을 주기도 한다. *DOCG(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, 통제 및 보증된 원산지 지정) : 가장 까다로운 인증이다. 품종이나 농사, 제조, 숙성에 이르기까지 전통을 고집한 까다로운 규정을 두고 있다. 그 때문에 일부 생산자들은 좀 더 나은 품질의 와인을 만들기 위해서 DOCG를 포기하기도 한다. [[수페르 토스카나]]가 그 대표 사례이고, 피에몬테에서 가장 값비싼 [[와인]]을 줄줄이 내고 있는 가야(Gaja) 역시도 최상위 라인업에 속하는 블랙 라벨은 [[바르바레스코]] 하나 빼고는 DOC 인증이다. [[바르바레스코]]와 [[바롤로]]<ref>가야도 다그로미스(Dagromis)라는 [[바롤로]] DOCG 와인을 만들지만 블랙 레이블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가격도 블랙 레이블 라인에 속한 [[와인]]보다는 저렴하다.</ref>는 [[네비올로]] 품종 100%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서 [[바르베라]]를 약간 블렌딩한 [[와인]]들은 DOCG를 못 받는 것. 이러한 인증 등급에 들어가지 않는 와인은 그냥 vino da tavola(테이블 와인)라고 부른다. [[스파클링 와인]] 쪽으로도 한가닥 하고 있는데, 프랑스 다음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. 이탈리아어로는 [[스푸만테]](spumante)라고 하는데, [[스위트 와인]] 계열인 모스카토, 그리고 가성비가 좋은 놈들이 꽤 포진하고 있는 [[프로세코]](Prosecco)가 있고,<ref>지역 인증으로는 DOC에 해당하는 [[프로세코]]와 DOCG에 해당하는 [[프로세코]] 수페리에르가 있다.</ref><ref>단, 프로세코 지역이 아니라도 글레라 품종으로 만든 [[스파클링 와인]]에는 '프로세코'라는 이름을 쓸 수 있도록 EU 차원에서 합의를 봤기 때문에 [[이탈리아]]가 아닌 다른 나라에도 프로세코가 있다. 대표적인 나라가 [[호주]].</ref>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급 와인으로는 프란치아코르타(Franciacorta) DOCG가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이탈리아 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이탈리아 와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