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장칼국수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장칼국수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==강원도의 향토음식== [[파일:Jangkalguksu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[[칼국수]]의 일종.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발전해서 영서지방으로 퍼지고, 경상북도 쪽으로까지 퍼진 음식이다. '장'은 원래 고추장을 뜻하는 것으로, [[고추장]]을 사용한 얼큰한 국물<ref>강원도 쪽에서는 이러한 국물을 '장물'이라고 부른다. <del>뭐 훔치셨어요?</del></ref>을 특징으로 한다. 그러나 막장이나 [[된장]]도 쓰이므로 의미가 조금 더 넓어졌다. 원조는 양양으로 치고 있는데, 양양은 다른 영동지방 음식과는 다르게 [[고추장]]을 풀어 만든 얼큰한 음식들이 몇 가지 발달했는데<ref>이런 스타일로 또 하나 유명한 음식이 참홍합을 사용한 [[섭국]]이다. 비교적 덜 알려져 있지만 남대천에서 잡히는 민물고기를 넣어서 끓이는 뚜거리탕이라는 것도 있다.</ref> 장칼국수도 그 중 하나다. 해산물<ref>[[멸치]], [[홍합]], [[명태]], [[황태]]와 같은 것들이 [[육수]] 재료로 많이 쓰인다. 가게마다 재료 차이가 난다.</ref>이나 [[고기]]로 낸 [[육수]]에 [[고추장]]과 함께 [[된장]] 또는 [[막장]]도 약간 넣는다. 영서지방은 물론 경상북도 쪽으로도 퍼져나가면서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스타일로 발전해 나갔지만 가장 유명한 지역은 역시 강릉-양양 라인이며 이곳을 중심으로 속초에서 삼척까지 곳곳에 장칼국수 집들이 있다. [[육수]]나 고명이 가게마다 꽤 각양각색이라서 [[칼국수]]를 좋아한다면 한 곳만 가 보는 것보다는 여러 곳을 다녀보는 것이 좋다. 일단 [[육수]]가 해물이냐 고기냐에 따라서 맛 차이가 나고<ref>[[섭국]]을 같이 한다면 당연히 해물 [[육수]]일 가능성 높아진다. 특히 양양은 [[홍합]] 장칼국수로 유명하다.</ref> [[고추장]]과 [[된장]] 또는 [[막장]]의 배합 비율도 차이가 난다. 영동지방은 [[고추장]]의 비율이 높은 편이고 영서지방은 [[막장]]의 비율이 높다. 당연히 장맛에 따른 차이도 있다. 면은 보통 [[칼국수]]와 비슷한 곳이 많지만 강원도인 만큼 [[메밀]]을 섞어서 쓰는 가게도 종종 볼 수 있다. 고명도 가게에 따라 다양해서 [[홍합]], 다진 [[고기]], 해초, [[호박]]과 같은 것들이 종종 쓰이고 [[김가루]]와 [[참깨]]를 얹어 주는 곳이 많다. [[달걀]]을 풀어주는 가게도 있다. 아래에 나오는 것처럼 [[라면]]으로도 개발되었다. 가끔 편의점 PB 상품으로도 나온다. ==농심 얼큰장칼국수== [[파일:Nongshim jangkalguksu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]] [[파일:Nongshim jangkalguksu cooked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실제로 끓인 모습.]] 농심에서 2016년 11월에 출시한 [[칼국수]] 라면으로, 이름처럼 장칼국수의 맛을 재현했다고 홍보하고 있다. 실제로 꽤 그럴듯한 맛을 내며, 강원도 영동지방의 판매량이 많다고 한다. 2021년을 봄을 기준으로 보면 편의점에서는 보기 어렵지만 슈퍼마켓이나 마트에 가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. 면은 [[발효]][[건면]]을 썼다고 포장지에 내세우고 있다. 기름에 튀기지 않아서 열량은 390 kcal로 라면 치고는 낮은 편. 하지만 나트륨 함량은 1,610 mg으로 다른 라면과 별 차이가 없다. [[칼국수]] [[라면]]답게 넓적한 면을 쓰고 있다. 또한 면의 단면이 [[도삭면]] 스타일의 다이아몬드형이어서 가운데는 통통하고 가장자리는 얇은 두 가지 식감을 함께 즐길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. 스프는 총 3개로 시원한 해물맛 스프, 부추듬뿍 건더기 스프, 얼큰한 숙성장 스프가 들어가 있다. 해물맛 스프와 건더기 스프는 물이 끓으면 면과 같이 넣고 숙성장 스프는 불을 끈 다음 넣어서 풀어준다. 숙성장 스프를 넣지 않으면 맵지 않은 하얀국물 해물맛 [[칼국수]]가 된다. 실제로 포장지 뒷면에도 이렇게 안내하고 있다. 이것 나름대로 먹을만은 하지만 장칼국수와는 완전 다른 음식이 된다. 건더기 스프도 꽤 실하다. [[오징어]], 애호박, [[부추]], 김 같은 재료들이 건더기로 들어간다. 장칼국수에 [[달걀]]을 풀어 넣는 집이 많은데, 여기에도 [[달걀]]을 풀어 넣으면 잘 어울린다. {{각주}} [[Category:국수]] [[Category:한국음식]] [[Category:라면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장칼국수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