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제주국제공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제주국제공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Jeju international airport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[[제주도]] 제주시에 자리 잡은 국제공항. IATA 식별코드는 CJU. 국제선보다는 국내선의 편수가 훨씬 많다. 섬이라 육상교통은 없고 배로 갈 수 있는 곳도 제한적이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지라, 제주도민들에게는 특히 수도권으로 갈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교통수단이 항공편이다. 사실 [[김포국제공항|김포]]-제주 노선 하나만 가지고도 공항은 미어터진다. 이 노선은 세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다. 그밖에 [[부산]], [[대구]], [[울산]], [[광주]], [[청주]], [[진주]], 심지어 [[원주]], [[양양]]까지 있으니 국내에서 여객기가 다니는 공항은 다 제주 노선이 있는 셈이다. 국내선은 [[김포공항]]보다도 더 정신 없다.<ref>예를 들어 [[김포공항]]에서 100km 약간 넘는 원주나 청주에는 노선이 있을 리가 없지만 제주는 직선거리로 180km 정도인 여수도 바다를 건너야 하므로 노선이 있다. 고속도로망이 대폭 확충되고 [[KTX]]까지 들어온 이후 국내선 노선은 상당 부분 타격을 받고 노선이 폐지된 곳도 여럿 되지만 제주는 이런 발전과는 무관하다. 해저터널이라도 뚫으면 모를까...</ref> 국제선은 정기편으로는 [[일본]]과 [[중국]], [[대만]] 노선 밖에는 없지만 편수로 보면 꽤 많은 편이다. 과거에는 [[일본]] 노선이 대부분이었지만 [[제주도]]에 중국인 관광객들이 크게 늘고 [[중국]] 쪽의 투자가 쏟아지면서 이러다가 [[제주도]]가 홀라당 중국에 넘어가는 거 아냐? 하는 걱정까지 할 정도다 보니 지금은 [[중국]] 노선이 대부분을 먹고 있다. 2016년 9월 국제선 스케줄을 봐도 중국 노선은 [[베이징]], [[상하이 푸둥국제공항|상하이]], [[홍콩]], [[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|광저우]], 구이양, 다롄, 양저우, 선양, 스촨, 정저우, 창춘, 창사, 청두, 충칭, 텐진, 닝보, 난퉁, 난닝, 난징, 윈저우, 우한, 스좌장, 시안, 샤먼, 푸조우, 취엔저우, 쿤밍, 항저우, 하얼빈까지 29개 노선이나 되지만 <del>한국보다 중국 노선이 훨씬 더 많다.</del> [[일본]]은 달랑 [[나리타]]와 [[오사카]]다. 편수도 [[일본]] 노선은 둘 다 합쳐도 주 14(도쿄 8, 오사카 6)편인데 중국 노선은 [[상하이 푸둥국제공항|푸둥]]만 주 100편이고 중국 노선을 다 합치면 390편이다...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지? 다만 [[중국]] 항공사들은 [[중국]] 관광객 유치 차원에서 우리나라가 거의 제한을 하지 않고 있어서 자유롭게 제주에 취항할 수 있지만 한국 항공사들은 [[중국]] 정부로부터 제한을 받기 때문에 [[중국]] 노선은 거의 압도적으로 [[중국]] 항공사들이 독차지하고 있다. <del>[[중국인]]들이 [[중국]] 비행기 타고 와서 [[중국]] 자본으로 투자한 호텔에서 자고 [[중국인]] 상점에서 쇼핑하면 많이 와봐야 뽑아 먹을 게 별로 없잖아.</del> 부정기편으로는 [[중국]]의 여타 도시, 그리고 [[태국]]이나 [[필리핀]] 노선이 가끔 운항된다.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연간 이용객 수가 2천만 명을 넘어 [[김포공항]]보다도 많고 [[인천공항]]에 이어서 국내 2위 공항이다. 그에 비해 [[활주로]]는 달랑 하나고 그나마 24시간 운영도 안 되는 데다가 터미널 역시 부족하니 신공항 또는 공항 확장 얘기가 오래 전부터 돌았다. 사실 [[동남권 신공항]]보다도 이쪽이 더 급한 실정. 결국 제2제주공항 부지가 결정되었지만 공항 예정지 지역의 주민들이 거세게 반대하고 있는지라 난항을 겪고 있다. 내국인 [[면세점]]을 운영하고 있어서 국내선 비행기를 타도 면세품을 살 수 있는 국내의 유일한 공항이다.<ref>다만 내국인 [[면세점]]은 [[제주항]]과 [[중문관광단지]]에도 마련되어 있다. [[중문관광단지]] [[면세점]]에서 산 물건은 일반 시내 [[면세점]]처럼 [[제주도]]를 나갈 때 인도장에서 받아야 한다.</ref> 면세 한도는 해외에서 들어올 때의 한도와 마찬가지지만 한 사람이 1년에 여섯 번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. 물론 국제선에도 [[면세점]]이 있다. 국내선과 국제선 터미널이 별도 건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구획만 나뉘어 있다. 즉 비 안 맞고 양쪽 터미널을 오갈 수 있다. 국내선 보안구역으로 들어갈 때 항공권 및 신분증 확인하는 입구에 내국인과 외국인 게이트가 따로 있는 것도 다른 공항에서 보기 힘든 특징이다. 사증 없이 입국이 안 되는 외국인의 경우에도 [[제주도]]는 외국인 무사증 입국이 폭넓게 허용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[[제주도]] 안으로 한정되므로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. {{각주}} [[Category:공항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제주국제공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