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제3맥주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제3맥주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第三のビール。 [[일본]] 주류의 한 종류. 법적 분류는 아니며 신쟝르(新ジャンル)라고도 한다. [[맥주]]보다 낮은 세금으로 저렴하게 팔기 위해 [[맥아]] 함량을 줄여서 만든 [[발포주]]에서 한술 더 뜬 술로, [[일본]] 정부에서 세법 개정으로 [[발포주]] 세금을 세분화 하면서 세율을 올리자 이에 맞서서 [[맥아]] 함량을 더 낮추거나 아예 [[맥아]] 없이 다른 곡물, 심지어는 분해한 콩단백이나 완두콩 같은 같은 별별 재료로 다 만드는, [[탄산가스]]가 있는 술이다. 쓴맛을 내기 위해서 물론 [[홉]]은 들어가고, 맥주 특유의 황금빛 색깔이 안 나는 건 [[카라멜색소]]를 비롯한 인공색소로 맞춘다. 제3맥주로 분류하는 술 중에는 [[맥아]]가 아예 안 들어가는 것도 많기 때문에 제3[[맥주]]라는 이름 자체가 말이 안 될 정도인데, [[일본]]에서는 제3비어 혹은 신쟝르라고 부른다. [[비어]], 즉 beer는 엄밀히는 [[보리]] 말고도 곡물로 만드는 술이라면 다 그렇게 부를 수 있다. 자세한 것은 [[비어]] 항목 참조. 제3맥주나 신쟝르는 법에 정해져 있는 이름은 아니고, [[일본]] 주세법으로 보면 이쪽으로 분류되는 술은 크게 두 가다. * [[리큐르]](발포성) : 이쪽은 [[발포주]]를 베이스로 해서 양조 증류한 [[알코올]]<ref>희석식 [[소주]] 만들 때 쓰는 고농도 주정을 쓴다. 아직도 [[희석식 소주]]가 화학주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은데, [[고구마]], [[타피오카]], [[전분]] 같은 재료로 양조한 술을 증류한 알코올이다. [[희석식 소주]]도 엄연히 천연재료로 만든 [[증류주]]다. 다만 재료가 싸구려이고 거의 에탄올 성분이라 맛이나 향도 알코올에서 나는 것 빼고는 없다.</ref>을 첨가한 것이다. 시판되는 제3맥주는 대개 이쪽이다. 즉 발포주를 희석하고 [[알코올]]을 첨가해서 도수를 맞춘 것. <del>[[소맥]]이네?</del> 그나마 아래 기타 양조주 보다는 이쪽이 나은 편이다. * 기타 양조주(발포성) : 이쪽은 [[맥아]]를 안 쓰고 아예 [[옥수수]], 콩단백, 완두콩과 같은 재료를 사용한 것이다. 탄산가스가 들어가면 [[맥주]]와 관계 없어도 이쪽으로 분류하므로 캔으로 판매되는 [[하이볼]]도 주세법으로는 여기에 속한다. [[샴페인]]과 같은 [[스파클링 와인|발포성 와인]]은 따로 [[과실주]]로 분류한다. [[파일:Sapporo draft one.jpg|upright 1|섬네일|없음]] 최초로 나온 제품은 2004년 2월에 출시된 [[삿포로맥주]]의 [[삿포로 드래프트원]](ドラフトワン, Draft One)으로 [[맥아]]가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한 첫 제품으로 기록된다. 이 제품은 지금도 생산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2018년 말부터는 한국에서도 팔기 시작했다. 문제는 그냥 [[맥주]]인 것처럼 팔고 있으며 가격도 [[맥주]]로 분류되는 [[삿포로 쿠로라베루]]와 가격 차이가 없다.<ref>다만 [[삿포로 드래프트원]]은 한국 편의점에서는 다른 수입맥주가 4캔에 만원 행사할 때 5캔에 만원 행사를 했다.</ref> 하지만 일본'맥주'라고 해서 사먹어 보니 역시 너무 맛이 없어서였는지 얼마 못 가서 자취를 감추었다. 2004년 3월에는 [[산토리]]에서 [[맥주]]와 [[보리소주]]를 블렌딩한 무기카제(麦風)를 출시하고 다른 회사들도 줄줄이 제3맥주를 출시하면서 시장에 뛰어들었다. 이제는 [[발포주]] 시장의 다수를 제3맥주가 먹고 있을 정도로 시장이 커졌다. [[파일:Share of beer production by type in japanese market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2015년 [[일본]] 주요 4개 [[맥주]] 회사의 유형별 [[맥주]] 계열 생산 비율.]]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, [[아사히 슈퍼 드라이]]라는 [[일본 맥주]]계의 절대 강자를 보유한 [[아사히맥주]]는 맥주계([[맥주]] + [[발포주]] +제3맥주) 술 가운데 [[맥주]]의 비율이 3분의 2를 차지한다. [[삿포로맥주]]도 맥주의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. 반면 [[산토리]]는 [[발포주]]는 없이 제3맥주의 비율이 3분의 2이고 [[기린맥주]]는 세 가지가 비슷비슷하게 3분의 1씩을 먹고 있다. 대체로 [[맥주]] 시장이 양극화된 모양새인데, 진짜 [[맥주]]와 제3맥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[[맥주]]만큼 맛있는 것도 아니고, 제3맥주만큼 싼 것도 아닌 [[발포주]]는 그 사이에서 쪼그라든 모양새다. 참고로 [[일본 맥주]] 시장의 매출 규모는 [[아사히맥주]] > [[기린맥주]] > [[산토리]] > [[삿포로맥주]] 순이다. 물론 맛은 진짜 [[맥주]]보다는 떨어지고 [[발포주]]보다도 맛이 없다.<ref>사실 우리가 잘 아는 [[맥주]] 중에도 [[일본]]에서는 [[발포주]]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, 주세법상 [[맥주]]에 쓰일 수 있는 재료는 빡빡하게 제한되어 있으며, 그 이외의 재료가 들어가면 무조건 [[발포주]]로 분류하기 때문이다.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은 [[벨기에]]의 [[밀맥주]] 호가든은 코리앤더, 오렌지 껍질 같은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[[일본]]에서는 [[발포주]]로 분류되었다. 2018년 주세법 개정으로 2020년 10월부터는 호가든도 맥주로 분류될 수 있게 되었다. 자세한 내용은 [[발포주]] 항목 참조.</ref> [[맥아]]는 1도 안 들어 있는 기타 양조주 쪽은 정말로 한국의 [[말오줌]]이 나을 정도로 맛이 처참하다. 그야말로 [[탄산가스]] + [[알코올]] + [[홉]]향, 이게 전부인 술로, 아무리 싼맛이라지만 정말로 맛이 없다. [[맥주]] 회사들끼리 치열한 경쟁으로 품질이 상당히 개선되었고 다양한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다. 다양성으로 보면 [[맥주]]를 능가할 정도. [[일본]]의 저렴한 술집에서는 [[생맥주]]처럼도 판다. 하지만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[[맥아]]가 들어간 [[술]]의 맛을 근처에라도 따라가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말 싸서 마시는 [[술]]이다. 주세는 350 ml 작은 캔 기준으로 [[맥주]]가 77엔인데 비해 [[발포주]]는 46.99엔, 제3맥주는 한술 더 떠서 28엔밖에 안 한다. [[맥주]]와 비교하면 49엔이나 차이가 나고 [[발포주]]와도 19엔 정도 차이가 나니 가격에서 확실한 우위를 가지게 된다. 다만 주세 제도 개편에 따라 맥주는 내리고 발포주나 제3맥주는 올리는 식으로 세금 격차는 차차 줄어들어 2026년에 가면 같은 세율을 적용 받는다. [[맥주]]나 [[발포주]]보다도 맛이 없는 건 사실이라 기능성을 내세우는 제품도 많은데, 이를테면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[[푸린]]이 없다거나, 당질이 없어서 칼로리를 낮춘다거나 하는 제품들이 많다. 만드는 방법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데, [[맥아]]를 적게 쓰거나 아예 안 쓰기 때문에 [[푸린]]이 적거나 없을 수 있고, [[당질]] 역시도 완전히 [[효모]]가 쉽게 분해할 수있는 당류만 넣어서 양조한 다음 [[주정]]을 넣어서 [[알코올]] 도수를 맞추니까 이런 제품을 만들기가 쉬운 편이다. 한국에서도 세금 체계의 맹점을 파고든 제3맥주를 참고해서 나온 술이 있으니 바로 [[필라이트]]. 인기를 끌어서 심지어 [[바이젠]]까지 나왔다. 뒤따라서 OB맥주 역시 필굿을 내놓았는데 이름에서부터 [[필라이트]]를 따라한 티가 확 난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제3맥주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