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징기스칸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징기스칸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ジンギスカン(成吉思汗)。 [[파일:Jingisukan cooking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몽골의 황제 이름은 표준 표기법으로는 '칭기즈칸'이 되지만 여기서 다루는 [[일본요리]]는 '징기스칸'이 맞다.<ref>일본에서도 지금은 칭기즈칸을 チンギス・カン으로 표기한다.</ref> 이름은 칭기즈칸에서 따온 거지만 몽골요리가 아니기 떼문이다. [[일본]]의 [[양고기]] 요리. 특히 [[홋카이도]] 쪽에서 인기가 높아서 이 지역을 대표하는 요리 중 하나로 손꼽힌다. [[삿포로]]를 중심으로 [[홋카이도]]에는 징기스칸 전문점이 정말 널려 있고, 가정에서도 불판을 가지고 징기스칸을 해먹는다. 우리나라에서 집에서 불판 놓고 [[삼겹살]] 구워 먹듯이 징기스칸을 먹는다고 보면 된다. 이름과 재료 때문에 몽골요리가 아닐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전혀 관계가 없다. 이 요리가 징기스칸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건 그저 몽골 사람들이 [[양고기]]를 많이 먹으니까. [[일본]]에는 '칭기즈칸이 열심히 정복을 다닐 때 군사들이 야외에서 [[양고기]]를 이렇게 구워 먹었다...' 는 속설이 있어서지만 그냥 속설일 뿐이다. 20세기 초 [[일본]]이 침략전쟁에 한창 열을 올렸을 때 특히 만주와 같은 추운 곳에서 전쟁을 하는 군인들을 위해 특히 [[홋카이도]] 쪽에서 양털을 얻기 위해 양을 많이 키웠다. 그 때에는 고기보다는 양털이 더 중요했으므로 양털 제조기로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는 늙은 양을 그냥 버리긴 그러니까 고기로 활용했다. 당연히 머튼<ref>생후 12개월이 안 된 어린 양의 고기를 램(lamb), 그보다 나이가 든 (보통 1~3년) 양의 고기를 머튼(mutton)이라고 한다. 램에 비해 머튼이 고기가 질기고 누린내가 많이 난다. 세계적으로는 램을 주로 먹지만 몽골은 머튼도 많이 먹는다. 오히려 램은 외국인들이 먹는 것으로 치부하기도 한다.</ref>인지라 누린내가 심했는데 어쨌거나 아까우니 어떻게든 먹으려고 요리를 하다 보니까 발전해 나간 게 징기스칸. 이와 같은 요리는 만주에 쳐들어간 일본군들로부터 구워 먹는 방법이 전해졌고, [[일본]]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면서 양고기라는 것 말고는 몽골요리와는 거의 접점이 없어졌다. [[홋카이도]]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것도 이러한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.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가운데가 불룩하게 솟아나온 두툼한 철판을 달군 다음 [[양고기]]와 [[채소]]를 구워서 먹는다. 채소로는 [[양파]], [[양배추]], [[숙주나물]]을 기본으로 [[단호박]], [[마늘]], [[피망]]이나 [[파프리카]], [[옥수수]]와 같은 것들도 올라간다. # 철판을 뜨겁게 달군다. # 충분히 달구어졌으면 같이 나오는 [[양고기]] 기름을 철판에 발라 준다. # 채소를 먼저 철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올린 다음, 고기는 가운데에 올린다. # 고기가 구워지면 소스에 찍어먹으면 된다. 생고기라면 너무 익힐 필요 없이 [[소고기]] 정도의 취향으로 익혀 먹는다. 냉동 고기라면 좀 더 익혀준다. 옛날에야 남는 양을 처리하기 위한 음식이었지만 엄연한 <del>비싼</del> 요리로 즐기는 지금이야 냄새 나고 질긴 머튼을 쓸 리는 없고, [[홋카이도]]산이나 수입산 램을 쓴다. 아무래도 싸니까 [[호주]]나 [[뉴질랜드]] 쪽 수입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[[홋카이도]] 쪽으로 가보면 같은 [[홋카이도]]산을 사용한 징기스칸도 찾아볼 수 있다. 일본 국내산이 훨씬 비싼 건 당연한 얘기. 전문점에서는 [[양고기]]의 부위별로 다양하게 고기를 주문해서 먹을 수 있는 곳들도 있다. 양념에 재운 고기와 생고기 두 가지 형태로 파는 곳도 있다. 냉장 생고기도 있고 냉동 고기를 둥글게 말은 다음 마치 [[동그랑땡]] 모양으로 잘라서 내기도 한다. 냉장인지 냉동인지는 메뉴에 밝혀 놓고 있으며 둘 다 취급하는 곳도 있으니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. 참고로 고기 구이가 그렇지만 연기가 무지하게 난다. [[일본]]에 가 보면 고깃집에 테이블마다 후드 설비를 해 놓지 않고 천장에만 환기시설을 해 놓은 곳도 많으므로 징기스칸 먹으러 갈 때는 옷에 냄새 잔뜩 배는 건 감안하고 가자. ==우리나라에서==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신세계 계열의 까르네스테이션이라는 체인점에서 '징기스칸'이라는 걸 했는데 [[일본]]의 징기스칸과는 거리가 멀었다. 고기는 [[소고기]], [[돼지고기]], 오리고기가 있었는데 정작 [[양고기]]는 없었다. 여기에 [[새우]], 홍합, 주꾸미 같은 해산물도 있었다. 한마디로 고기뷔페. 여기에 [[소주]], [[맥주]], [[위스키]]<ref>숙성 연수 미표기 [[위스키]]지만 J&B, [[짐빔]] 같은 네임드 [[위스키]]였다.</ref>를 비롯한 주류 포함 음료까지 무한 리필이었기 때문에 회식이나 생일파티 장소로 꽤 인기가 좋았다.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슬슬 인기가 떨어져서 매장이 하나 둘 폐업하더니 결국 2009년 4월에 마지막 남았던 강남점도 최종 폐업했다. 그밖에도 좀 비싼 징기스칸 전문점들이 있었지만 이쪽도 대체로 [[소고기]]를 썼다. [[양고기]]는 그닥 우리나라 많이 퍼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... 요즈음은 우리나라도 점점 [[양고기]] 수요가 늘고 [[일본]] 여행 갔다가 징기스칸을 먹어본 사람들도 늘고 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[[홋카이도]]식 [[양고기]] 징기스칸 전문점들이 늘어가는 추세고 프랜차이즈도 여러 개 생겼다. 하지만 징기스칸보다 [[양꼬치]]가 더 먼저 퍼지기도 했고 가격 역시 [[양꼬치]]가 저렴한 편이기도 해며, 징기스칸 요리점은 거의 징기스칸밖에 없는 반면 양꼬치집은 여러 가지 중국요리도 같이 팔기 때문에<ref>일반 [[중국집]]의 [[중화요리]]와 비교하면 양꼬치집에서 파는 요리가 조금 더 중국요리에 가깝다.</ref> 아직까지는 [[양고기]] 하면 중국식 [[양꼬치]]가 더 우위긴 하다.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징기스칸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