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초고추장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초고추장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말 그대로 초+[[고추장]]이다. 여기서 초는 물론 불 켜는 초가 아니라 [[식초]]를 뜻한다. 줄여서 초장이라고도 한다 .즉 [[고추장]]과 [[식초]]를 섞은 것. [[고추장]]의 맵고 달달한 맛에 [[식초]]의 새콤한 맛이 조화가 좋기 때문에 애용된다. 주 재료는 [[식초]]와 [[고추장]]이지만 여기에 [[매실]]액, [[물엿]], [[설탕]]을 비롯한 부재료를 추가해서 좀 더 맛을 낸다. 여기에 [[참기름]]이나 [[참깨]]를 섞기도 하며, 단맛을 내기 위해서 설탕과 함께 사이다를 넣어서 톡 쏘는 맛을 약간 더하기도 한다. 이것도 나름대로 다양한 레시피들이 있다. 특히 [[회]]를 먹을 때 초고추장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꽤 많아서 한국의 [[횟집]]에 가면 꼭 초고추장이 있다. 초장과 잘 어울리는 것으로는 보통의 생선회보다는 [[오징어]], [[문어]], [[한치]], [[멍게]], [[전복]], [[개불]], 물[[미역]], 생[[다시마]]와 같은 것들이 주로 꼽힌다. [[회]]로 [[쌈]]을 쌀 때에도 [[쌈장]] 혹은 초고추장을 넣는다. 물론 흰살생선이나 등푸론생선도 초고추장에 찍어먹을 수 있고 그러는 사람들도 있다. 하지만 [[간장]]파들은 회의 맛을 해친다고 엄청 싫어한다. [[쌈장]]에 초고추장을 1:1 정도로 넣어서 잘 섞어서 기름진 생선을 찍어 먹어도 꽤 좋다. [[물회]]나 [[무침회]]에 초고추장이 종종 사용되며, [[회덮밥]]에도 소스로 초고추장이 들어간다. [[국수]] 요리에도 쓰여서 [[비빔국수]]나 [[쫄면]]에 초고추장 소스를 뿌려서 먹기도 한다. [[고추장]]보다는 농도가 묽어서 대략 [[케첩]] 비슷한 점성이고 해서 빨간 [[케첩]] 용기에 담아서 짜서 쓰도록 하는 가게가 많다. 케첩과 비슷한 빨간색이라서 착각할 수도 있고 장난도 칠 수 있지만 같은 빨간색이라도 은근히 때깔도 다르고 향도 차이가 나서 어지간하면 잘 속지는 않는다. 제품화된 초고추장도 [[케첩]]이나 [[마요네즈]] 비슷한 소프트한 용기에 담아 짜서 쓸 수 있는 제품들이 많다. [[회]]를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것은 찬반이 있는데, 초고추장의 맛이 강하기 때문에 담백한 [[회]]의 맛을 가려버린다는 것이 반대하는 쪽의 주장이다. 즉 [[회]]맛이 아니라 초고추장맛으로 먹는 꼴이 된다는 것. 하지만 [[광어]]나 [[우럭]] 같은 생선들은 제대로 숙성하지 않는 한은 [[감칠맛]]이 별로 안 나고<ref>[[일본]]에서는 [[광어]]를 숙성시킬 때 [[다시마]]를 넣어서 [[감칠맛]]을 끌어올리기도 한다.</ref> 식감으로 먹는 편이라 [[활어회]]로 먹을 때에는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도 문제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. 수산물시장이나 항구, 낚시터 인근에는 '[[초장집]]'이라는 게 있다. 잡거나 산 생선을 맡기면 [[회]]를 떠 주며<ref>수산물시장의 [[초장집]]은 대부분 생선을 살 때 [[회]]를 떠가지고 와야 한다.</ref> 반찬과 양념을 차려줘서 [[회]]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. 물론 돈만 내면 매운탕까지 끓여준다. 여기서 말하는 '초장'이란 당연히 초고추장. {{각주}} [[Category:한국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초고추장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