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카스우동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카스우동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Kasuudo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かすうどん。 [[오사카]]를 중심으로 한 킨키지방 쪽에서 주로 먹다가 점점 다른 지역으로도 알려지고 있는 [[우동]]이다. '카스'라는 이름 때문에 [[우동]] 고명으로 많이 쓰이는 <del>맥주</del> [[텐카스]]를 뜻하는 걸로 생각할 수 있는데, 여기서는 아부라카스(油かす)<ref>あぶらかす는 깻묵, 즉 기름을 짜내고 남은 찌거기라는 뜻도 있다. 이 때는 油粕로 쓴다.</ref>를 뜻한다. 위 사진을 보면 파 위에 얹어 놓은 고명이 아부라카스다. 아부라카스는 소의 내장, 특히 작은 창자 부위를 잘게 썬 다음 보통 [[튀김]]보다 낮은 온도의 기름에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튀겨내고 나서, 여분의 기름을 뺀 다음 말린 것이다. 소의 내장, 특히 작은 창자는 바깥에 기름이 잔뜩 붙어 있어서 이것만 녹여도 기름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그냥 잘게 썬 작은 창자에 천천히 열을 가하면 녹은 건 기름이 되고 녹지 않은 부분은 기름에 튀겨지면서 수분이 빠져나가서 부피가 줄어든다.<ref>[https://www.aburakasu.com/71592/%e6%b2%b9%e3%81%8b%e3%81%99%e3%81%a8%e3%81%af%ef%bc%9f/ "油かすとは?"], かすうどん 加寿屋.</ref> 다만 위의 사진처럼 실같이 얇은 아부라카스도 있는가 하면 건더기처럼 좀더 굵은 것도 있어서 가게에 따라 스타일 차이는 조금씩 있다. 오사카부 남부에 있는 미나미카와치(南河内) 지방에서 예전부터 먹던 향토요리인데 이걸 [[우동]]에다 응용한 것. 아부라카스는 역사가 오래 되었지만 카스우동이 등장한 건 그에 비해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아서, 1995년에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에 문을 연 카스야(加寿屋, KASUYA)를 원조로 친다.<ref>[https://news.mynavi.jp/article/20131201-udon/ "大阪府では飲みのシメはラーメンでなくうどん!? 「かすうどん」ってなに?"], マイナビニュース, 2013년 12월 1일.</ref> 지금은 킨키 지역 일대에 상당한 체인점을 거느리고 있다. 카스야 말고도 [[오사카]] 일대의 [[우동]] 가게 혹은 술집에서 종종 볼 수 있다. [[우동]]에 [[텐푸라]]나 [[달걀]], [[어묵]]을 비롯한 이런 저런 고명을 곁들여서 먹는 것처럼, 카스우동 역시도 다양한 고명을 곁들여 먹을 수 있다. 집에서 [[우동]]에 얹어 먹을 수 있도록 아부라카스만 따로 팔기도 한다. [[우동]]은 물론이고 [[나베]] 같은 이런저런 국물 요리에도 고명으로 쓸 수 있다. 소 내장을 튀긴 걸 올려놓은 거라서 엄청 기름지겠거니 생각할 수 있지만 튀기는 과정에서 내장에 붙어 있던 기름이 오히려 녹아나오는 효과도 있고, 튀기고 나서 기름을 충분히 빼 준 거라서 생각보다는 별로 기름진 느낌은 아니다. [[우동]]에 [[텐푸라]]도 넣어 먹는데 그것과 비교해도 기름기에 별 차이는 없다. 그래도 [[텐푸라]]나 [[텐카스]]는 [[콩기름]] 같은 식물성 [[식용유]]로 튀기는데 반해 아부라카스는 [[소기름]]을 사용하므로 민감한 사람들은 [[소기름]] 특유의 느끼한 맛이 확 들어올 수 있다. [[오사카]] 지역의 [[우동]]인만큼 면은 사누키우동과는 달리 쫄깃한 맛이 적고 부드러운 간사이 스타일이다. {{각주}} [[Category:우동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카스우동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