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카이센동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카이센동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海鮮丼(かいせんどん)。<ref>카이센(海鮮)은 '신선한 해산물'을 뜻한다.</ref> [[파일:Kaisendon with miso soup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해산물을 주 재료로 한 [[일본]]식 [[덮밥]], 즉 [[돈부리]]. 우리나라에도 [[제육덮밥]]이나 [[오징어덮밥]]과 같이 해산물을 재료로 한 [[덮밥]]이 있지만 이런 [[덮밥]]은 재료를 조리해서 올리는 반면, 카이센동은 날것으로 올린다. 즉 [[일본]]식 [[회덮밥]]인 셈. 하지만 [[초고추장]]을 사용하고 [[상추]], [[양배추]]와 같은 [[채소]]도 많이 넣는 <del>회덮밥인지 상추덮밥인지 모를</del> 한국식 [[회덮밥]]과는 많이 달라서 [[간장]] 양념을 사용하고 [[채소]]를 거의 넣지 않는다. 넣어봐야 차조기잎(시소) 한 장 정도를 장식으로 넣고 오이, 무순이 조금 올라가기도 하지만 대체로 장식에 가깝다. 대신 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해산물을 넉넉하게 올려준다. 올라가는 재료도 [[회]]에 그치는 게 아니라 [[성게]], [[새우]], [[연어]]알, [[가리비]]를 비롯해서 정말로 다양한 [[해산물]]들이 올라간다. 일단 [[참치]], [[연어]], [[광어]]나 [[참돔]] 같은 최소 두세 가지 생선의 [[회]]가 기본이고 여기에 여러 가지 해산물들이 추가되면서 가격이 쑥쑥 올라간다. 비벼먹지 않는다는 것도 [[회덮밥]]과 큰 차이다. 꼭 날것 상태의 [[회]]만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어서 [[문어]], 가리비, 게살과 같은 식재료는 익혀서 올린다. 좀 비싼 녀석들은 [[달걀지단]]을 얇게 썰어서 곁들여주기도 한다. 해산물을 주재료로 한 [[덮밥]]이라면 카이센동에 속하지만 한두 가지 재료만 쓴 것들은 마구로동([[참치]]), 사케동([[연어]]), 이쿠라동([[연어알]])과 같이 주 재료 이름을 붙이며 여러 가지 해산물이 들어 있는 것을 주로 카이센동이라고 부른다. 들어가는 재료의 종류나 고급 여부에 따라서 여러 가지 수식어를 붙인다. 세 가지 해산물이 들어갔으면 산쇼쿠동(三色丼), 즉 삼색 돈부리라고 부르며, 고모쿠(五目)카이센동이라는 것도 자주 볼 수 있는 이름인데, 우리가 잘 아는 뜻은 [[바둑]]으로 하는 게임인 오목이지만 일본에서는 '여러 가지', '모둠'이라는 뜻으로 음식에 많이 쓰인다. 즉 고모쿠카이센동 = 모둠카이센동이다. [[일본]]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[[사시미]]를 사용하는 [[덮밥]]인만큼 전통음식으로 여길 수 있지만 2차대전 이후에 나왔다. [[홋카이도]]를 중심으로 한 북일본을 시작으로 해안도시들을 따라서 전국으로 퍼졌다. 밥은 [[초밥]]이 아닌 일반 밥을 사용하는 게 보통이지만 [[초밥]]을 쓰는 곳도 있다. 밥이 너무 뜨거우면 날것 상태인 해산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당히 따뜻한 온도로 맞춘다. 이 점은 [[스시]]도 마찬가지다. [[초밥]]을 사용하고 여러 가지 재료를 위에 올려서 [[덮밥]]처럼 만든 것을 [[치라시즈시]]라고 하는데, [[에도시대]] 때부터 있었던 음식이라 역사는 더 오래 되었고 카이센동이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. 해산물을 주 재료로 한 [[덮밥]]이라는 점에서는 아주 비슷하지만 거의 해산물만 올리는 카이센동과는 달리 [[치라시즈시]]는 [[해산물]]만이 아니라 [[고기]], [[채소]]를 비롯해서 다양한 재료들을 활용할 수 있다. [[치라시즈시]]와 카이센동이 뭔 차이냐는 말도 종종 나오는데, 일반적으로 가장 큰 차이는 카이센동은 그냥 흰밥을 쓰는 반면 [[치라시즈시]]는 '[[스시]]'라는 말이 들어가는만큼 [[초밥]]을 사용한다는 게 가장 큰 차이로 거론된다.<ref>[https://lowch.com/archives/12992 "「海鮮丼」と「ちらし寿司」の違いは?"], 1分で読める!! [ 違いは? ].</ref> 다만 카이센동이라고 해서 [[초밥]]을 쓰지 말라는 법은 없다. [[해산물]]을 사용한다면 [[치라시즈시]]를 카이센동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. 당연한 얘기지만 바닷가에 가까워서 해산물 재료가 풍부한 곳이나 수산시장 인근에서는 맛좋은 카이센동을 만날 수 있고<ref>항구라든지 수산시장 근처의 가게에서는 가성비 끝내주는 카이센동을 만날 수 있다. 우리나라에서 1만 원짜리 [[회덮밥]]에 [[회]]가 몇 점이나 들어가고 질이 얼마나 좋은지를 생각해보면 일본의 수산시장 근처에서 파는 카이센동은 1천엔 남짓에 질 좋은 [[회]]를 여러 점 올려주는 것을 볼 수 있다.</ref>, 그 종류도 무척 다양하다. 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해산물, 제철 해산물들이 위주가 되는 것도 당연한 얘기. [[회]]를 사용한 [[일본]] 요리라면 흔히 [[스시]]를 가장 먼저 생각하지만 [[일본]] 사람들은 카이센동도 무척 좋아하며, 종류도 무척 다양하다. 가격 범위도 범위가 넗어서 저렴한 곳이라면 800~900엔에 먹을 만한 카이센동을 주문할 수 있지만 정말 좋은 재료들이 호화롭게 들어가면 2, 3천 엔은 우습게 넘어간다. 정말로 고급 테크트리를 타면 5천 엔도 가뿐히 넘어가며 가끔 이벤트성으로 1만 엔짜리 카이센동도 등장한다.<ref>https://www.facebook.com/621718678241841/posts/950140002066372/ 내용을 보면 실제 들어가는 내용물은 16,300엔 상당이라고 한다.</ref> 추가로 단품 해산물을 토핑으로 주문해서 입맛에 먹게 먹을 수도 있다. 먹을 때에는 [[회덮밥]]과는 달리 절대 비벼 먹으면 안 된다.<ref>기본적으로 일본의 [[덮밥]]은 비벼먹는 게 거의 없다. 널리 먹는 [[덮밥]]류 중에는 [[카레라이스]] 정도?</ref> [[해산물]]과 밥을 번갈아가면서 먹으면 된다. 그릇에 [[와사비]]가 있다면 조금씩 해산물에 얹고, [[간장]]이 따로 나온다면 [[회]] 먹듯이 거기에 찍어 먹으면 된다. 미리 해산물을 [[간장]] 양념으로 적셔서 내는 가게도 있는가 하면 [[간장]]과 [[와사비]]를 따로 주는 가게도 있으며, 이 때에는 [[간장]]을 종지에 붓고 [[와사비]]를 넣어서 잘 섞은 다음에 해산물 위에 골고루 뿌려주면 된다. [[파일:Hokkai oyakodo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[[닭고기]]와 [[달걀]]을 사용하는 덮밥인 [[오야코동]]의 카이센동 버전도 있는데, [[연어]]회와 [[연어]]알을 같이 올린 [[덮밥]]이다<ref>[[오야코동]]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오야코(親子)의 뜻이 부모(親)와 자식(子)이다. 즉, 오야코동에 부모([[닭]])와 자식([[달걀]])이 같이 들어가는 것처럼 카이센동 버전도 부모(연어)와 자식(연어알)이 같이 들어간 [[덮밥]]이라는 뜻.</ref>. 사케(サケ) [[오야코동]], 또는 홋카이(北海) [[오야코동]]이라고 부르며 [[연어]]가 잡히는 [[홋카이도]] 쪽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다. [[연어]]만 들어간 것은 사케동(鮭丼), 연어알만 들어간 것은 이쿠라동(いくら丼)이라고 한다.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카이센동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