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캐러멜 색소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캐러멜 색소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식품첨가물의 하나. 설탕을 은근한 불로 녹이면 처음에는 투명에 가까운 액체 시럽이 되지만 가열을 계속하면 분자의 결합 구조가 끊어지면서 성질이 변한다. 점점 색깔이 짙어지고 단맛은 옅어지면서 쓴맛이 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탄 것과는 다른 캐러멜라이제이션(caramelisation) 반응, 다른 말로 [[캐러멜화]]다.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캐러멜색소로, 원액 상태에서는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갈색을 띠고 있다. 색소라는 이름처럼 음식에 짙은 갈색을 낼 때 널리 쓰이는 첨가물이며 색깔만이 아니라 특유의 씁쓸한 맛이나 진득한 질감을 활용하기도 한다.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[[식용색소]]로 간주된다. 원액의 색깔이나 화학약품처럼 담겨 있는 모습 때문에 화학적 합성품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재료는 [[설탕]]이고 한 거라곤 열을 가한 게 전부다. 그래서 분류도 천연첨가물로 되어 있다. 열을 사용해서 당분에 산화 작용을 일으키고 결합 구조를 끊는 [[캐러멜화]]는 요리에서 널리 쓰이는 테크닉으로 브라운소스를 만들거나 [[양파]]를 오래 볶아서 갈색으로 만드는 것도 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.<ref>고기를 구우면 갈색으로 변하는 건 [[마이야르 반응]]이 주된 이유다.</ref> 그러나 대량생산을 할 때는 좀 더 낮은 온도에서도<ref>가열만으로 [[캐러멜화]]를 일으키려면 섭씨 160도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. 온도가 올라가면 그만큼 시간도 오래 걸리고 에너지도 많이 써야 한다.</ref> 빨리 [[캐러멜화]]를 시키기 위해 화학물질을 첨가하며 이때문에 종종 발암과 같은 유해성 논란에 시달리는 물질이다. 이렇게 반응 촉진을 위해 화학물질이 들어가는데 천연첨가물이 말이 되냐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. 제조할 때 첨가물 여부에 따라 네 개의 등급으로 분류된다. 물론 넷 다 주성분은 [[설탕]]이다. {| class="wikitable" |- ! 등급 (클래스) !! 성분 |- | I || 첨가물 없이 [[설탕]]만으로 만든다. |- | II || 아황산염 첨가. |- | III || 암모니아 첨가. |- | IV || 아황산염과 암모니아 둘 다 첨가. |} 시중에서 많이 쓰이는 것은 클래스 III과 IV로, III은 각종 [[빵]], 과자, 소스, [[맥주]]에 쓰이고 IV는 [[콜라]]를 비롯한 음료에 들어간다. 클래스 I과 II는 주로 증류주에 쓰인다. 농도가 진하면 거의 검은빛을 띄며 옅을 때에는 갈색을 띄는 특성이 있다. 사용 범위는 무척 넓어서 [[조림]] 요리에 종종 들어간다. [[간장]]을 안 넣어도 색깔이 [[간장]]처럼 나오는 게 그 이유. [[간장]]을 넣더라도 [[조림]] 색깔을 좀 더 진하게 하려면 캐러멜색소를 첨가한다. 심지어 [[간장]]에도 들어간다... [[간장]]의 색깔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특유의 검은빛이 도는데 대량생산 [[간장]]은 이런 과정을 생략하다 보니 빛깔을 내기 위해 카라멜색소를 넣는다. 특히 산분해간장은 간장색이 안 나오기 때문에 이녀석이 필수다. [[춘장]]도 카라멜색소가 특유의 검붉은 빛깔은 물론 원래의 중국 첨면장과는 다른 특유의 맛에 한몫 한다. 음료에도 많이 쓰여서 [[콜라]]의 검은색도 이 녀석으로 낸다. [[흑맥주]] 중에도 이걸 넣어서 빛깔을 더 진하게 하는 제품도 있고 [[위스키]]나 [[브랜디]] 역시 숙성 기간이 짧아서 특유의 갈색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카라멜색소를 넣어서 [[오크통]] 숙성을 충분히 한 [[위스키]]와 비슷한 빛깔을 낸다. 우리가 잘 아는 [[위스키]] 중에서는 [[조니워커]]가 특히 애용하고 있다. [[흑설탕]]도 대량 생산되는 삼온당은 [[백설탕]]에 카라멜색소를 섞어서 만든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캐러멜 색소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