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Keisei skyliner logo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京成スカイライナー(Keisei Skyliner) [[케이세이전철]]에서 운영하는 [[공항철도]] 특급열차로 [[나리타공항]]과 [[우에노]]를 잇는 최고 등급의 특급열차다. 경쟁자로는 [[JR히가시니혼]]의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. 나리타공항 1터미널역과 2·3터미널역에서 정차하고 논스톱으로 [[닛포리역]]을 거쳐 [[우에노역]]까지 간다. ==확실한 경쟁우위== 일단 [[나리타 익스프레스|경쟁자]]와 비교하면 소요 시간에서 확실한 우위를 보인다. ㄱ자로 꺾어져서 빙빙 돌아가야 하는 [[나리타 익스프레스|경쟁자]]와는 달리 스카이라이너는 거의 일직선으로 [[도쿄]]로 들어간다. 게다가 표준궤라서 스카이라이너에 최고 시속 160 km 열차를 투입하고 있어서<ref>이 정도면 [[신칸센]]을 제외하고 가장 빠른 축에 들어간다. 사실 [[일본]]의 철도는 [[신칸센]]을 제외하면 [[협궤]]가 주류인데 여기는 [[표준궤]]다. 고속 운행에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.</ref> 130 km/h에 그치는 [[나리타 익스프레스|경쟁자]]보다 속도에서도 우위다 일이 이렇게 된 건 [[나리타 신칸센]] 때문. [[신칸센]]의 성공에 한껏 도취되어 있던 [[일본]] 정부에서는 1970년대 초 [[나리타공항]]과 [[도쿄]]를 [[신칸센]]으로 잇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웠지만 추진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극렬한 반대에 시달리다가 포기하고 마는데, 그때문에 [[JR]]은 기존 노선을 엮어 ㄱ자 노선이라는 괴이한 경로로 열차를 운행해야 했다. 훗날 [[나리타 신칸센]]을 위해 만들던 노반 일부를 활용해서 나리타공항선을 만들었고 케이세이가 이곳을 활용해서 스카이라이너와 액세스 특급을 비롯한 나리타공항선 열차를 운영하고 있다. 스카이라이너를 비롯한 이쪽 공항선 열차들이 협궤가 아닌 표준궤인 이유도 표준궤로 만들어졌던 [[나리타 신칸센]] 노반을 이용했기 때문이다. 왜 [[나리타 신칸센]]은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리타공항선은 별 말이 없는 건지 의문이 들 수도 있을 텐데, [[나리타 신칸센]]은 중간 정차역이 치바뉴타운역 달랑 하나 뿐이었다. 노선 예정지 주변 지역 주민들로서는 지역이 철도 때문에 둘로 달라지는 데다가 [[신칸센]]의 엄청난 소음이라는 피해를 입는 반면 역이라고는 실제 인구가 많은 지역도 아닌 외진 곳에 달랑 하나밖에 없다고 하니 덕 보는 게 거의 없었고, 여기에 한창 [[나리타공항]] 반대투쟁을 벌이던 활동가들까지 가세하면서 격렬해진 것. 반면 지금의 나리타공항선은 [[신칸센]]이 아니므로 당연히 역도 더 많고 열차 등급도 여러 개이므로 그닥 반대할 이유가 없었다.<ref>[[신칸센]] 노선에는 [[신칸센]] 말고 다른 열차는 들어올 수 없는데 50 km 조금 넘는 구간에 역을 다닥다닥 만들어서 [[신칸센]]을 완행열차처럼 운행할 수도 없으니...</ref> [[파일:Keisei skyliner nippori korean notificatio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]] <del>닛'''뽀~~'''리</del> 한국에서 [[나리타공항]]으로 갈 때 도착하는 1터미널 기준으로 [[우에노]]가 목적지가 아니라면 환승은 대부분 [[닛포리역]]에서 하는데<ref>케이세이 [[우에노역]]은 [[JR]] [[우에노역]]과 떨어져 있어서 환승이 힘들다. 사거리를 대각선으로 건너야 한다. 사실 거리로 보면 많이 떨어져 있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역 바깥으로 나가서 다시 역을 찾아야 하므로 귀찮은 건 사실. 그래서 [[야마노테선]]을 비롯해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때에는 [[우에노]]보다 하나 전 역인 [[닛포리역]]이 환승이 훨씬 편리하다.그러나 [[지하철]]로 환승하는 거라면 지하 환승통로로 [[지하철]]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우에노역이 낫다.</ref> 여기까지 40분이면 들어간다. 한국인들은 [[신주쿠]]에 숙소를 잡는 경우가 많은데, [[닛포리]]에서 [[JR]] [[야마노테선]]으로 환승하는 시간을 넉넉하게 10분 잡아 주고, [[닛포리]]에서 [[신주쿠]]까지 가는 시간이 20분이니까 40+30=70분이면 [[신주쿠역]]에 도착할 수 있다. 반면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로는 환승 없이 [[신주쿠]]로 간다고 해도 [[도쿄역]] → [[시나가와역]] → [[시부야역]]을 거쳐서 85분이나 걸리므로 시간으로 보면 스카이라이너 쪽이 확실한 이득이다. 아예 숙소를 [[닛포리]]나 [[우에노]] 쪽으로 잡으면 말할 것도 없다. <del>닛포리로 잡을 일이 거의 없어서 그렇지.</del> 게다가 요금도 정가 기준으로 보면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는 [[도쿄역]]까지 3,070엔, [[시나가와]] 및 [[신주쿠]]까지는 3,250엔인 반면, 스카이라이너는 [[닛포리]] 또는 [[우에노]]까지 2,570엔밖에 안 한다. 닛포리에서 [[야마노테선]]으로 갈아탄다고 해도 200엔만 추가하면 되므로 2,770엔이 되며, 24시간 동안 도쿄 지하철<ref>도에이와 도쿄메트로 둘 다 전 구간 지원한다.</ref>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세트 티켓도 2,890엔으로 편도 요금에 320 엔만 더 내면 되니까 확실한 비교 우위를 보인다. ==그런데도 생각보다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?== 이렇듯 소요 시간도 큰 격차로 빠르고 요금도 더 저렴해서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에 비해 확실한 우위를 가진 스카이라이너라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는 망해야 정상인데, 막상 이용객 면에서는 둘이 별 차이가 없다.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 쪽이 오히려 인기가 조금 더 높다. 가장 큰 이유는 환승 문제. 스카이라이너를 타고 공항에서 [[도쿄]]로 온다면 [[닛포리]]나 [[우에노]]가 최종 목적지가 아닌 한은 한 번은 환승해야 한다. 이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노선이 [[JR]] [[야마노테선]]으로, 도심 주요 지역들을 순환 노선으로 연결시켜주기 때문이다. 스카이라이너의 종착역은 [[우에노역]]인데, 케이세이 [[우에노역]]은 지하철과는 지하통로로 직결 환승이 되지만 [[JR]] [[우에노역]]과는 그런 통로가 없어서 일단 역 바깥으로 나온 다음 사거리를 대각선으로 건너서 [[JR]] [[우에노역]]으로 가야 한다. 환승에 시간도 걸리고 불편하기 때문에 [[야마노테선]]을 비롯한 [[JR]] 환승은 보통 환승 게이트를 통해 바로 [[야마노테선]]으로 연결되는 [[닛포리역]]에서 하게 된다. 외국인들이 많이 숙소를 잡는 [[신주쿠]]로 간다고 가정하면 환승 시간까지 감안해도 스카이라이너가 더 빠르지만 문제는 환승 그 자체가 고역이다. 공항 손님은 크고 무거운 캐리어를 끌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걸 가지고 [[도쿄]]의 인파 속에서 환승을 해야 한다. 게다가 [[일본]]의 환승 시스템이 거지 같은 거야 세상이 다 아는 바이고... 외국인들은 정말 환승 과정에서 헤메기 십상이다. 한술 더 떠서 장거리 비행을 하고 온 손님들이라면 외국인이고 내국인이고 녹초가 된 상태니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환승 없이 한번에 목적지까지 가는 것을 선호하게 마련이다. 편안하게 누워서 갈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열차 좌석도 비행기의 그 빡빡한 간격보다는 널럴하니 좀 더 편하게 갈 수 있다. 다만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로도 한 번에 못 가는, 이를테면 [[아키하바라]]나 [[니혼바시]] 같은 곳으로 간다면 어차피 이쪽이나 저쪽이나 한번 환승해야 하니까 소요시간이 우위인 스카이라이너가 낫다. 그러나... 한 가지 문제가 더 있으니. 일반 운임은 스카이라이너 쪽이 더 싸지만 외국인들은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 왕복 티켓을 사면 4,070 엔, 즉 편도 2,035 엔이면 되기 때문에 외국인용 스카이라이너 편도 요금 2,300 엔이나 인터넷 전용 왕복 요금 4,480 엔보다 저렴하다. 왕복권을 사면 가장 먼저 서는 [[도쿄역]]만이 아니라 심지어 [[요코하마]]까지 가더라도, 하여간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가 가는 곳이라면 똑같이 저 요금이다. 한술 더 떠서 [[JR]]의 도쿄 전철 특정구간이라면 한 번은 다른 [[JR]] 노선으로 무료 환승까지도 할 수 있다. 이런 여러 가지 이유가 겹쳐서 ㄱ자 노선이라는 치명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가 선전하고 있고,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 쪽이 오히려 인기가 좋다. 더구나, 스카이라이너의 외국인 할인 티켓은 미리 온라인에서 사거나, 일부 [[저가항공사]]의 기내에서 사거나, 지정된 [[도쿄]] 내 [[호텔]] 또는 여행사에서 사거나 해야 하지만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 왕복 티켓은 [[나리타공항역]]의 매표소 창구나 여행 서비스 센터에서 살 수 있다. 스카이라이너의 표 사는 방법은 [http://www.keisei.co.jp/keisei/tetudou/skyliner/kr/value_ticket/coupon.php 여기]에서 확인할 수 있다. 물론 이런 것들은 외국인 한정이고, 일본인들은 외국인 요금 할인 혜택이 없으므로 환승 문제만 뺀다면 스카이라이너가 낫다. 일본인이나 일본에서 오래 생활한 사람들하고 얘기를 하다 보면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를 왜 타냐, 스카이라이너가 훨 나은데, 라고 말하는데 이와 같은 관점 차이가 있다. 공항에서 이걸 타고 [[닛포리역]]에서 [[야마노테선]]과 같은 도쿄 내 [[JR]] 노선이나 지하철을 타더라도 [[나리타공항역]]에서 미리 목적지까지 가는 표를 살 수 있다. 표를 두 장 주는데 [[닛포리역]]에는 [[JR]] 환승 게이트가 있으므로 게이트에다가 표 두 장을 한꺼번에 넣으면 된다. 그런데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 승차권은 [[JR]] 노선으로 환승할 경우에 한해 특정 구간 1번 환승이 무료지만 스카이라이너는 그런 것 없고 추가 요금이 들어가므로 요금에 관한 메리트는 더욱 떨어진다. 대신 스카이라이너와 [[지하철]] 패스를 묶은 기획승차권을 판매한다. <del>그냥 [[지하철]] 패스는 따로 사면 된다.</del> 반대로 공항으로 갈 때는 일단 케이세이 [[우에노역]]이나 [[닛포리역]]으로 가서 사야 한다. ==시설과 서비스== [[파일:Keisei skyliner standard seats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스카이라이너 좌석.]] 구간의 최고 등급 특급 열차이고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와 열심히 경쟁하는 만큼 차내 시설은 깨끗하고 좋다. 좌석 간 간격도 넓고, 모든 좌석에 전원이 부착되어 있다.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가 팔걸이에 전원이 있어서 잘 안 보이는 것과는 달리 스카이라이너는 앞좌석 밑에 있고 LED 등도 켜져 있으므로 찾기 쉬운 편. 만약 구형 비행기를 타고 와서 충전을 못했다면 40분 정도 충전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. <del>그런 면에서는 소요 시간이 더 긴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가 더 나을 수도 있다.</del> 짐을 따로 둘 공간도 물론 마련되어 있다. 다만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처럼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. <del>다만 그런 큰 캐리어를 뭐 훔쳐갈까 싶다. 입던 옷이나 잔뜩 들어 있을 텐데. 하지만 캐리어가 리모와라면?</del> 열차 안에서 무료 와이파이도 쓸 수 있다. 아무튼 경쟁이 치열한만큼 어느 쪽이 더 쾌적한지는 우위를 가리기 힘들 정도. 같은 라인을 다니는 액세스 특급도 있다. 정차역이 더 많고 열차도 도시철도처럼 롱 시트이므로 소요시간도 편리함도 떨어지지만 요금이 반값이라는 게 확실한 장점. 이쪽 등급으로 내려오면 [[JR]]은 맥을 못 춘다. 또한 노선의 액세스 특급은 도영지하철 아사쿠사선과 케이큐 본선을 거쳐서<ref>이 두 노선도 표준궤라서 연결이 된다.</ref> [[하네다공항]]까지도 연결되므로 닛포리나 우에노밖에 없는 스카이라이너보다 오히려 한 번에 갈 수 있는 도쿄 시내 목적지가 더 많다. 만약 숙소가 아사쿠사나 신바시 쪽이라면 직통은 이거 하나 뿐이므로 이게 [[나리타 익스프레스]]나 스카이라이너보다도 액세스 특급 쪽이 확실히 시간 절약 효과가 크다.<ref>게다가 무거운 캐리어를 가지고 온 외국 관광객이라면 환승 때 고생하느니 불편한 롱 시트라도 이쪽이 낫다.</ref> 두 공항 사이를 오가야 한다면 리무진버스와 액세스 특급 중 선택해야 하는데 소요시간과 요금 모두 이쪽이 우위.<ref>리무진버스도 안 막히면 소요시간이 비슷하지만 도쿄 일대의 교통체증이라는 게 뭐... 다만 액세스 특급은 롱 시트, 즉 지하철 좌석이고 꽤나 지루해서 편하게 가려면 리무진 버스가 낫긴 하다.</ref>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의 열차]] [[Category:공항철도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