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코냑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코냑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Cognac. [[포도]]를 주원료로 한 [[증류주]], 곧 [[브랜디]]의 일종이다. 쉽게 말해서 [[와인]]을 증류한 것. 그 중에서 [[프랑스]] 코냑 지방에서 생산되는 [[포도]] [[브랜디]]에만 이 이름을 쓸 수 있다. 라이벌로는 [[아르마냑]]이 있으나 인지도면에서는 넘사벽의 격차로 [[아르마냑]]은 [[콩라인]]. 지역 거점도시이자 무역항인 보르도 바로 옆이었기 때문에 내륙에 푹 들어간 [[아르마냑]]보다는 판매 및 수출이 쉬웠고 이를 잘 이용해서 일찌감치 대량생산 체제로 나갔다. 코냑은 대형 회사들이 즐비한 반면 [[아르마냑]]은 아직도 소규모 회사 위주이며 생산량도 코냑이 월등하다. 색깔이 불그스름하기 때문에 [[적포도]]로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만 [[위니 블랑]](Ugni Blanc, [[이탈리아어]] 이름인 [[트레비아노]]로 잘 알려져 있다)을 비롯한 [[백포도]]가 주원료다. 그중 [[위니 블랑]]이 98%이고 기타 품종은 첨가 수준. 단식 증류를 두 번 해서 [[오드비]]를 만들고 [[오크통]]에 숙성한다. 특유의 루비 색깔은 [[오크통]] 숙성 과정에서 우러나온 것. [[레드 와인]]을 증류해도 [[적포도]]의 색소는 증발되지 않기 때문에 무색 투명한 술만 나온다.<ref>종류에 관계 없이 모든 [[증류주]]는 처음 증류되어 나왔을 때에는 무색 투명하다.</ref> 같은 통에서 나온 술을 병입하는 [[아르마냑]]과는 달리 블렌딩을 기본으로 한다. 숙성한 [[오크통]]도 다르고 숙성 기간도 다른 여러 가지 원액을 섞기 때문에 병에는 [[빈티지]]나 숙성 기간 같은 것은 없고 그냥 등급만 쓰여 있다. 사실 만드는 방법이나 병입을 보면 오히려 [[아르마냑]] 쪽이 좀 더 고급이라고 할 수 있는데, 무역에 유리했던 지역의 이점에 블렌딩을 통한 기복이 적은 품질 관리 덕분에 [[아르마냑]]을 저 멀리 관광 보내고 독보적인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. 이 동네도 [[와인]]을 만들었지만 그 품질은 보잘것 없었는데, 이렇게 된 거 [[브랜디]]에 집중한 게 대박을 친 셈. 전반적으로 [[위스키]]와 [[브랜디]]의 판매량이 떨어지는 추세인데다가 코냑은 나이든 사람의 술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보니 업계가 고민이었는데, [[중국]]에서 소비가 불이 붙으면서 우왕ㅋ굳ㅋ을 외치고 있는 분위기다. ==유명 브랜드== 일단 아래의 브랜드가 인지도가 높은 코냑들이다. * [[헤네시]] (Hennessy) * [[카뮈]] (Camus) * [[레미 마르탱]] (Rémy-Martin) * [[마르텔]] (Martell) * [[쿠르부아지에르]] (Courvoisier) 우리나라에서는 [[면세점]]과 바를 중심으로 [[헤네시]], [[레미 마르탱]], [[카뮈]]가 가장 인지도가 센 빅 3라고 볼 수 있는데, [[미국]] 쪽은 [[카뮈]]는 별로고 [[마르텔]]과 [[쿠르부아지에르]], [[헤네시]], [[레미 마르탱]]이 전체 판매량의 90%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. ==마시는 방법== [[브랜디]]가 대체로 그렇지만 술병을 냉장고에 넣어서 차게 한다든가, 얼음을 넣는다든가 하지 않고 상온 그대로 마신다. 오히려 손의 온도로 좀 더 미지근하게 마시는 것도 좋다. 따뜻한 물을 타서 마시는 것도 방법. 술잔은 [[와인]]처럼 보울이 어느 정도 크기가 있는 대신 스템이 짧은 잔을 많이 쓴다. 보울을 손으로 잡고 체온으로 술을 약간 미지근하게 데워서 마시는 게 주로 마시는 방법이다. [[위스키]]에 비하면 [[포도]]에서 나오는 농축된 향이 아주 강렬하기 때문에 [[폭탄주]]에는 어울리지 않는다. 우리나라에서 [[위스키]]에 비해 코냑을 비롯한 [[브랜디]]는 종류도 몇 가지 없고 판매량이 아주아주 보잘것 없는데, 브랜디 잔에 담아서 조금씩 느긋하게 마시기가 좋은 브랜디는 우리나라처럼 [[폭탄주]]를 말거나 스트레이트로 들이키는 문화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. [[위스키]]에 비해서 [[칵테일]] 재료로도 쓰임새는 적은 편이다. 그래도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코냑과 오렌지 리큐르, 레몬 쥬스를 사용한 사이드카, 그리고 [[위스키]]와 아마레토를 사용한 갓파더에서 [[위스키]] 대신 코냑이 들어간 프렌치 커넥션<ref>어느 쪽이 더 먼저인지는 불확실하다.</ref>, 코냑과 호밀 [[위스키]]를 함께 넣은 뷰 카레(Vieux Carré)<ref>영어로는 올드 스퀘어(old squre)에 해당한다.</ref> 같은 것들이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브랜디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코냑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