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코드쉐어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코드쉐어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둘 이상의 항공사가 같은 항공편을 공유하는 것. 공동운항이라고도 한다. 예를 들어, 남아프리카공화국항공의 [[홍콩]]-[[요하네스버그]] SA0287은 [[아시아나항공]]이 코드쉐어를 걸어놨기 때문에 OZ6593이기도 하다. 어떤 한 공항에서 전 세계 모든 도시를 한 번에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. 그렇다면 어디에선가 다른 비행편으로 갈아타야 하는데, 이 과정이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. 예를 들어, [[아시아나항공]]이 운항하지 않는 [[남아프리카공화국]]의 [[요하네스버그]]로 간다고 가정한다면 대략 다음과 같은 경로가 된다. [[인천국제공항|인천]] → ([[아시아나항공]]) → [[홍콩]] → ([[남아프리카항공]]) → [[요하네스버그]] 이렇게 가려면 일단 [[아시아나항공]]과 [[남아프리카항공]]에서 각각 항공권을 예매해야 한다. 또한 [[인천국제공항|인천]]에서 체크인할 때 짐을 부친 다음 홍콩에서 한 번 찾아서 다시 체크인을 해야 한다. [[홍콩]]에서 입국과 출국수속을 다시 해야 하므로 시간을 장난 아니게 잡아먹는다. 이럴 때, 만약 [[홍콩]]-[[요하네스버그]]의 비행편에 [[아시아나항공]]이 코드쉐어를 걸어 놨다면 승객은 그냥 [[아시아나]]에서 한 번에 항공권을 예매할 수 있다. 또한 짐도 [[홍콩]]에서 알아서 [[요하네스버그]]행 비행기로 전달되고, 그냥 환승구역에서 다음 비행기를 기다리면 된다. 마일리지 역시 기본으로는 [[아시아나]]로 적립된다. 자기들이 운항하기에는 채산성이 안 맞는 노선을 코드쉐어로 때우기도 한다. 대표적인 예가 한국-일본 노선. [[대한항공]]이나 [[아시아나항공]]은 중규모 도시까지 꼼꼼하게 운항하는 반면 [[일본항공]]과 [[전일본공수]]는 달랑 서울 또는 부산에서 [[도쿄]] 가는 노선밖에 없다. 심지어 [[오사카]] 직항마저도 단항한 상태. 이들 일본 항공사들은 나머지 노선은 대부분 한국 항공사의 코드쉐어로 때워버리고 있다. 그런데 항공권을 예매하다 보면 코드쉐어가 아닌데도 코드쉐어처럼 예약도 되고 짐도 전달되는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을 때가 많다. 예를 들어 [[아시아나항공]]으로 [[멜버른]]이나 [[브리스번]]행 항공편을 예약할 때는 [[아시아나]]로 [[시드니]]까지 가서 [[콴타스]]의 국내선으로 갈아타는데 이 국내선에는 코드쉐어가 안 걸려 있다. 그런데 [[콴타스]]는 [[아시아나]]의 [[인천국제공항|인천]]-[[시드니]]에는 코드쉐어를 걸어놓았다. [[마일리지]]? 사후적립 <del>그러니까 죽은 다음에 적립하는</del> 방식으로 [[아시아나클럽]]에 적립 가능하다. 이렇게 코드쉐어가 아닌 항공편도 연결 발권이 되니 그렇다면 코드쉐어랑 차이가 뭐야? 싶을 수 있는데, * 코드쉐어는 항공편을 단독으로 팔 수도 있다. 즉, 콴타스항공은 [[시드니]]-[[인천공항|인천]]을 운항하는 [[아시아나항공]] 편을 [[콴타스]] 운항편인 것처럼 팔 수 있다. 코드쉐어가 아니면 연결편만 판매할 수 있다. 즉 [[아시아나항공]]은 자사의 [[시드니]] 항공편에 연결해서 [[콴타스]]의 일부 국내선을 팔 수는 있어도 [[콴타스]] 국내편만 파는 것은 불가능하다. 심지어 [[루프트한자]]는 자기네 항공편은 하나도 껴여 있지 않고 코드쉐어로만 구성된 경유편 항공편을 팔기도 한다. * 코드쉐어가 아니면 같은 [[항공동맹체]]이거나 별도로 항공사끼리 계약을 맺지 않는 한은 [[마일리지]] 적립이 안 될 수 있다. 위의 예에서 [[콴타스]] 국내선 항공편은 아시아나클럽에 [[마일리지]] 적립이 안 된다. 둘은 소속된 [[항공동맹체]]가 다르다. 반면 콴타스의 코드쉐어가 걸려 있는 [[아시아나항공]]의 [[시드니]]-[[인천공항|인천]] 간 운항편은 콴타스 쪽으로 마일리지 적립을 할 수 있다. 똑같은 항공편인데도 자국 항공사의 항공권을 사는 것보다 같은 항공편을 외국 항공사를 통해 공동운항편으로 사는 게 더 쌀 때가 종종 있다. 위에서 얘기한 [[인천국제공항|인천]]-[[시드니]]도 [[아시아나]]에서 끊는 것보다 [[콴타스]]의 공동운항편으로 예약하는 게 더 쌀 때도 있다.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항공사는 자국 출발편을 비싸게 파는 경향이 있는데 이걸 역이용할 수 있는 것. 대신 [[마일리지]] 적립이나 회원 등급에 따른 서비스가 어느 쪽 항공사의 정책에 따르는지를 미리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. 보통은 같은 [[항공동맹체]]끼리 코드쉐어를 거는 게 원칙이다.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다. 예를 들어 [[원월드]] 소속인 [[일본항공]]은 [[스카이팀]] 소속인 [[대한항공]]이 운항하는 한일노선에 코드쉐어를 많이 걸어놓았다. 코드쉐어에서 실제 항공편을 운항하는 항공사를 운항사, 실제 운항은 하지 않고 표만 파는 항공사를 판매사라고 한다. 만약 A 항공사가 운항사이고 B 항공사가 판매사인 코드쉐어편을 B 항공사를 통해서 티켓을 샀다면 A 항공사에 준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. 예를 들어 A 항공사의 멤버십 등급이 높다면 B 항공사를 통해 표를 샀더라도 라운지 이용이나 수하물 우선 처리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.
코드쉐어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