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쿠시카츠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쿠시카츠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파일:Kushikatsu.jpg|섬네일|여러 가지 쿠시카츠. 가장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베니쇼가, 양파, 연근, 가지, 새우, 닭가슴살, 소고기.|upright 1.5|없음]] 串カツ. 쿠시는 [[꼬치]]를 뜻하는 말이고, 카츠는 [[돈카츠]]의 카츠와 같은 뜻. 곧 [[꼬치]]에 꿴 일본식 [[커틀릿]]을 뜻한다. 말 그대로 여러 가지 재료를 한입 크기로 작게 꼬치에 꿴 다음 [[밀가루]]와 [[달걀물]], [[빵가루]]를 묻혀서 기름에 튀겨낸 일본요리로, [[오사카]]를 대표하는 대중 음식 가운데 하나다. [[꼬치]]에 끼워서 튀긴다는 점에서는 [[쿠시아게]]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. 다만 [[쿠시아게]]는 재료에 [[밀가루]] [[튀김옷]]만 묻히고 [[빵가루]]는 묻히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. 그런데 음식 자체의 기원은 [[오사카]]가 아닌 [[에도 시대]]로 거슬러 올라간다. 즉 지금의 [[도쿄]] 쪽 [[포장마차]]에서 생겨난 것이 오히려 [[오사카]]에서 확 꽃을 피운 것. [[도쿄]] 지역에도 나름대로의 쿠시카츠가 있긴 하지만 [[돼지고기]]와 [[양파]], [[대파]] 정도로 단촐한 반면, [[오사카]] 쪽으로 넘어가면 종류가 엄청나게 늘어난다. 재료는 정말 다양해서 [[닭고기]], [[돼지고기]], [[소고기]], [[소시지]], [[햄]]을 비롯한 각종 [[고기]]와 [[생선]]류, 그리고 [[연근]], [[마늘]]을 비롯한 갖가지 [[채소]]를 망라한다. 거기에 그치지 않고 [[치즈]]나 [[빵]] 같은 별의 별걸 다 튀긴다. 심지어 본진인 [[신세카이]]에 있는 가게들 중에는 [[악어]], [[캥거루]] 같은 것까지 쿠시카츠로 파는 가게가 있을 정도. 단품으로 골라서 시킬 수도 있고 그냥 세트로 알아서 골라달라고 주문할 수도 있다. 많은 전문점은 그림으로 된 메뉴판을 갖추고 있으므로 [[일본어]]를 몰라도 그럭저럭 시킬 수 있다. [[파일:Kushikatsu benishouga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베니쇼가]] 쿠시카츠. 이런 것도 튀기는데 맛도 괜찮다.]] 정말 안 맞을 것 같은 [[베니쇼가]]<ref>[[생강]]을 [[식초]], [[설탕]], [[소금]]에 절인 것.</ref>까지 튀긴다. [[오사카]] 지역의 가게라면 필수 요소다. [[일본인]]이라도 외지인들에게는 [[베니쇼가]] 쿠시카츠는 낯선 듯하다. [[고독한 미식가]] 시즌 6 제1회에서도 [[이노가시라 고로|고로]]가 쿠시카츠 재료로 [[베니쇼가]]가 있는 걸 보고 신기해 하는 모습이 나온다. 참고로 [[오사카]] 사람들은 [[베니쇼가]]를 무척 좋아해서 채썰어서 [[타코야키]]에도 넣고, [[오코노미야키]]와 [[야키소바]]에도 넣는다. [[파일:Shinsekai kushikatsu street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신세카이]]의 쿠시카츠 거리. 오른쪽에 있는 게 가장 규모가 큰 요코즈나다. 저만한 크기의 분점이 이 거리에 여러 개 포진하고 있다.]] 쿠시카츠 전문점으로 가장 유명한 곳은 [[오사카시]] [[신세카이]]에 있는 다루마. 원조급으로 인정 받는 곳으로 여기는 언제나 가도 길게 줄이 늘어서 있어서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. [[오사카]]를 비롯해서 [[일본]] 여기저기에 분점이 있고, 최근에는 한국에도 진출해서 합정동과 강남에 지점을 개설했지만 모두 폐점하면서 진출에 실패한 듯하다. 다루마<ref>성난 얼굴에 쿠시카츠를 양손에 들고 팔짱을 낀 요리사의 모습을 로고 삼아 쓰고 있다. 가끔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베낀 것을 볼 수 있다.</ref>를 중심으로 [[신세카이]] 근처에는 쿠시카츠 전문점이 여럿 포진해 있고 그밖에도 [[오사카]] 곳곳에 쿠시카츠 전문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. 신세카이 일대에서 가장 [[크고 아름다운]] 규모로 매장을 운영하는 곳은 다루마가 아닌 요코즈나<ref>여기는 심지어 24시간 영업한다. 코로나-19가 기승을 부릴 때에는 물론 영업시간 제한을 받았지만 사태가 진정된 이후로는 다시 24시간 영업으로 돌아왔다.</ref>지만 맛으로 가장 쳐주는 곳은 다루마다. 다루마가 독보적이라는 [[일본인]]이 있는가 하면, 그건 과장이고 웬만한 전문점은 엇비슷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[[일본인]]도 있다. 한 시간 이상씩 줄서서 시간 보내기 싫다면 다루마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. 기본적으로 [[오사카]]란 곳이 맛있는 동네니까 어딜 가도 평타 이상은 친다. 당연한 얘기겠지만 [[튀김]] 요리기 때문에 [[맥주]] [[안주]]로 정말 좋다. 음식이라기보다는 술[[안주]]에 가까운 느낌이다. [[생맥주]]를 마시면서 이것저것 골라먹는 재미가 쏠쏠한다. 단품으로 보면 보통 150~200, 비싼 재료는 300엔이 넘어가는 것도 있는데, 단품으로만 보면 싸지만 [[꼬치]] 하나의 양이 한두 입으로 끝나는 적은 양이므로 이것저것 시켜먹게 되면 나중에 계산서 보고 뒷목 잡는 수가 생기니 조심하자.<ref>쿠시카츠만이 아니라 일본 술집들이 대체로 그렇다. 각각의 음식값만 보면 몇 천원 수준으로 싸 보이지만 양이 적어서 몇 입만 먹으면 끝이다 보니 이것저것 시켜먹다 보면 계산서 보고 허걱! 하는 수가 있다. 물론 다양한 안주들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.</ref> 전국구급으로 규모가 가장 큰 체인점으로는 쿠시카츠타나카(串カツ田中)가 있다.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정말로 전국 각지에 퍼져 있으며, 맛도 준수한 편이므로 [[오사카]] 바깥 지역에서 쿠시카츠가 먹고 싶다면 여기에 가도 된다. 그런데 2018년 12월에 [[요코하마시]]의 네 개 점포에서 종업원 탈의실에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게 들통나서 곤욕을 치렀다. [[나고야]] 쪽으로 가면 이걸 [[아카미소]] [[된장]]으로 만든 달짝지근한 소스에 푹 담가서 만드는 [[미소쿠시카츠]]가 유명하다. <del>유명하다는 게 꼭 맛있다는 보증은 없다.</del>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. ==한국에서== 오사카음식 중에서는 [[타코야키]]나 [[오코노미야키]]와 비교했을 때 한국인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. 우리나라에도 쿠시카츠를 하는 가게를 찾기도 쉽지 않다.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[[오사카]]에서 가장 유명한 다루마가 한국에 지점을 냈으나 결국 모두 문을 닫았다.<ref>우리나라에서 일식이 인기가 많지만 의외로 일본 체인점이 직접 진출해서 성공한 경우가 별로 없다. [[규동]]의 대명사 요시노야, 세계구급 [[돈코츠라멘]] 체인점 잇푸도 같은 곳들이 한국에 진출했다가 철수했다. 심지어 지점을 여럿 내면서 장사 잘 하는 것 같았던 [[우동]] 전문점인 마루가메제면조차도 코로나-19 사태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2021년에 철수했다.</ref> 몇몇 국내의 쿠시카츠 음식점도 튀김의 맛이나 소스가 [[오사카]]의 그것보다 훨씬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. ==두 번 찍기 금지== [[파일:Kushikatsu notice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쿠시카츠 소스통에 붙어 있는 주의 메시지. '二度付け禁止(두 번 찍기 금지'라고 쓰여 있다.]] 주문하면 [[양배추]]와 소스통을 함께 내오거나. 소스통은 그냥 테이블에 놓여 있기도 하다. 먹을 때에는 통에 담긴 묽은 소스에 찍어먹는다기보다는 거의 담갔다가 꺼내 먹는데 여기서 절대 주의할 점이 있다. 큰 통에 소스가 담겨 있을 경우 한 [[꼬치]]는 소스에 딱 한 번만 찍어야 한다! 먹던 꼬치를 다시 소스에 찍으면 안 된다. 어떤 쿠시카츠 집이든 '두 번 찍기 금지' 주의문이 붙어 있다. 먹는 [[꼬치]]에는 침이 묻어 있을 테니 위생 면에서도 좋지 않고 먹던 것을 소스로 찍으면 재료의 수분이 흘러나가서 소스가 더 묽어질 수도 있다. 이런 규칙을 잘 모르거나, 안다고 해도 습관적으로 무심코 먹던 [[꼬치]]를 소스통에 담그면 주인이나 종업원이 기겁을 한다. 어떤 가게에서는 그렇게 간쓸개 다 빼줄 것 같았던 사람들이 먹던 [[꼬치]]를 소스에 담그면 화를 버럭 내기까지 한다. 몇몇 쿠시카츠 전문점은 이런 규칙을 모르는 한국인들이 많이 와서 그런지 아예 [[한국어]]로 소스는 한 번만 찍으라고 써놓기도 한다. 하지만 드라마 [[고독한 미식가]] 시즌 6 제1회에 쿠시카츠가 나올 때 '두 번 찍기 금지'를 여러 번 강조하는 걸 보면 일본인들도 사정 잘 모르는 외지인은 그런 실수를 종종 하는 듯하다. 영 소스가 부족하다 싶으면 함께 나오는 [[양배추]]를 조금 뜯어서 소스를 떠낸 다음 꼬치에 뿌리든지 해야 한다. [[양배추]]도 소스에 찍어 먹지만 역시 먹던 [[양배추]]를 그냥 다시 소스에 담그지 말고 조금씩 뜯어서 소스를 적시자. [[파일:Kushikatsu warning board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신세카이 <다루마> 본점 옆에 붙여 놓은, '소스 두 번 찍는 건 삼가해 주십시오'라는 간판.]] '소스 두번 찍지 말라'는 말을 아예 쿠시카츠를 상징하는 일종의 밈처럼 밀고 있기도 하다. 다만 요즘은 개인접시에 따로 소스를 부어서 먹거나 소스를 쿠시카츠에 뿌려 먹을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가게들도 늘고 있다. 이런 곳은 소스 두 번 찍기 금지 같은 거 신경 안 써도 되고 심지어 어떤 가게는 '우리 가게는 소스 두 번 찍어도 돼요!' 하고 써붙여 놓기까지 한다. {{각주}} [[Category:일본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쿠시카츠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