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크레망 드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크레망 드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프랑스]] 및 룩셈부르크의 [[스파클링 와인]] 중 [[샴페인]]을 제외한 것에 붙는 이름. [[샹파뉴]] 지역에서 나온 것만 [[샴페인]]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으므로 다른 지역에서 나온 것에는 '''crémant (거품이 나는 것) + de (-의) + (지역 이름)''' 이런 식으로 이름을 붙인다. 예를 들어 [[알자스]]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crémant d'Alsace(크레망 달자스)가 된다.<ref>원래는 crémant de Alsace가 되지만 de 다음에 모음이 오면 연음되어 d'로 바뀐다.</ref>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은 모두 아홉 곳인데, 여덟 곳은 프랑스이고 딱 하나, 룩셈부르크에서 만드는 것에도 크레망 드 룩셈부르크(Crémant de Luxembourg)가 붙을 수 있다. 그렇다고 아무 [[스파클링 와인]]에다 붙일 수 있는 것은 아니고, [[AOC]] 규정을 지켜서 전통 방식(méthode classique)<ref>러뮈아쥬와 데고쥬망을 거친 제조 방법을 뜻한다. 그런데 이 방법은 전통(classique)이라고는 하지만 알고 보면 18세기 말경에 가서야 그 유명한 [[뵈브클리코]]가 개발한 거라 역사가 그리 오래 되진 않았다. 그 전까지는 그냥 병에 [[효모]]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 푹 가라앉히고 살살 따라내는 식으로 마셨다.</ref>으로 만들었다고 인정 받은 것만 크레망 드를 붙일 수 있다. 즉 제조 방법의 기본 틀은 샴페인과 같다. [[샴페인]]이 아니니까 이쪽이 급이 떨어진다고 생각할 필요도 없다. 정말로 [[와인]] 나름이다. 오히려 크레망 드 리무가 나오는 리무가 1531년에 최초로 [[스파클링 와인]]을 생산한 원조로 여겨진다. 그저 [[샹파뉴]]에서 만들었다는 이유만으로 [[샴페인]]이란 이름을 달고 가격에 거품이 끼어 있는 녀석도 즐비한 만큼 가격 거품이 [[샴페인]]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크레망 드는 잘 고르면 같은 값으로 더욱 질 좋은 선택을 하거나 샴페인보다 훨씬 싼 가격으로 그에 못지 않은 품질을 즐길 수 있다. [[프랑스]] 현지 슈퍼마켓에 가면 한 병에 겨우 3~4 유로에 살 수 있는 것도 많고, 이 가격에도 심지어 [[AOC]] 규정에 따라 [[샴페인]]과 같은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품질도 상당히 괜찮다. 우리나라에도 몇몇 제품은 수입되고 있지만 종류는 많지 않은 편. 저렴한 가격대의 [[스파클링 와인]]으로는 [[이탈리아]]의 [[프로세코]]나 [[스페인]]의 [[카바]], 그밖에 신대륙의 스파클링들이 좀 더 많이 보이는 편이다. ==유명한 크레망 드 와인== * 크레망 달자스 (Crémant d'Alsace) * 크레망 드 [[부르고뉴]] (Crémant de Bourgogne) * 크레망 드 루아르 (Crémant de Loire) * 크레망 드 리무 (Crémant de Limoux) == 그밖의 크레망 드 와인 == * 크레망 뒤 쥐라 (Crémant du Jura) * 크레망 드 사부아 (Crémant de Savoie) * 크레망 드 디 (Crémant de Die) * 크레망 드 보르도 (Crémant de Bordeaux) * 크레망 드 룩셈부르크 (Crémant de Luxembourg)<ref>프랑스어로는 '크레망 드 뤽상부르'에 가깝다.</ref> {{각주}} [[Category:스파클링 와인]] [[Category:프랑스 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크레망 드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