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키시멘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키시멘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きしめん. [[파일:Kishimen_kishimenchou.JPG|upright 1.5|없음|섬네일|[[나고야시]] <키시멘쵸>의 키시멘. 가장 기본적인 키시멘 요리다.]] [[일본]] [[나고야]]를 중심으로 한 [[아이치현]] 지역에서 인기 있는 [[국수]]의 일종. [[칼국수]]처럼 얇고 넓은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. 요즈음은 [[칼국수]]를 대부분 제면기로 뽑아 쓰는 생면으로 쓰지만 원래는 [[밀가루]] 반죽을 얇게 밀어서 칼로 썰어 얇고 넓적하게 만들었는데, 키시멘은 이런 방식의 [[칼국수]]에 가깝다. [[나고야메시]]의 주요 음식 중 하나. [[우동]]보다는 얇고 넓고 길기 때문에 보기에는 차이가 많이 나 보이지만 재료나 만드는 방법에서 [[우동]]과 비슷한 점이 많다. 다른 지역에서는 납작한 모양의 [[우동]]이라는 뜻으로 平打ちうどん(히라우치우동), 또는 ひらめん(히라멘)이라고도 부른다. [[나고야]] 이외 지역에서도 키시멘처럼 얇고 넓적한 [[국수]]를 먹는 지역이 있는데, [[군마현]]의 히모카와, [[오카야마현]]의 시노우동 같은 것들이 그 예다. 그래도 [[일본]] 전역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키시멘이다. 일본농림규격(JAS)에 따르면 폭 4.5mm 이상, 두께가 2.0mm 미만의 띠 모양으로 만든 것만 키시멘으로 부를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.<ref>[https://www.maff.go.jp/j/keikaku/syokubunka/k_ryouri/search_menu/menu/kishimen_aichi.html "ひやむぎとそうめんの違い"], うちの郷土料理, 農林水産省.</ref>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으나 어느 것도 정설이라고 부르기는 뭣한데, [[나고야시]] 교육위원회의 견해는 미카와치류슈쿠(지금의 치류시)에서 꿩고기를 넣은 납작한 면요리가 인기를 끌은 것이 유래라는 것이다. 꿩을 뜻하는 키지(キジ, 雉)가 변해서 키시가 되어 여기 들어가는 납작한 면이 키시멘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는 게 이쪽 주장이긴 한데, 하필 왜 납작한 면을 넣었는지는 별다른 설명을 못 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.<ref>http://japan-brand.jnto.go.jp/kor/foods/noodles/92/</ref> [[아이치현]]에서는 아예 키시멘보급위원회를 결성해서 홍보에 열심이다. 키시멘 덕분에 [[우동]]이나 [[라멘]]의 위세는 이쪽 지역에서는 그리 세지 않은 편이다. 물론 [[라멘]]이나 [[우동]]은 전국구 음식이기 때문에 [[아이치현]] 일대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이 지역에서 키시멘을 명물로 열심히 키우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는 인기가 약한 편이다. 다만 이 지역의 명물 [[라멘]]이 있긴 한데 [[타이완라멘]]이라는, [[대만]]과는 별 관련 없는 엉뚱한 [[라멘]]이 있고, 걸쭉한 [[미소]] 국물에 건더기와 [[우동]]을 넣고 끓여내는 [[미소니코미우동]]이라는 것도 있다.<ref>[[아이치현]] 남쪽에 붙어 있는 [[미에현]]의 이세우동도 다른 지역 [[우동]]과는 확 다른, 아주 굵고 부드러운 식감의 면발과 진한 간장소스로 유명하다.</ref> [[우동]]과 마찬가지로 갖가지 방법으로 조리한다. [[가쓰오부시]] 국물, [[사골]] 국물, <del>[[나고야메시]] 아니랄까봐.</del> [[된장]] 국물, [[카레]]에 면을 말아서 내기도 하고, [[츠케멘]]으로도 먹고, 차갑게 해서 진한 국물에 찍어먹는 자루키시멘도 있고, [[유럽]]풍이라는 이름으로 [[토마토]] 소스를 얹거나 [[파스타]]처럼 조리하기도 한다. [[나고야]] 일대의 키시멘 전문점에 가보면 메뉴에 깔려 있는 키시멘 요리가 수십 가지다. 하지만 메뉴에 그냥 키시멘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기본이 카케[[우동]]처럼 [[가쓰오부시]] 국물에 면을 말고, 거기에 [[가쓰오부시]]와 [[유부]]를 비롯한 몇 가지 고명을 올리는 정도다. 다른 요리의 [[국수]]사리로도 종종 쓰인다. 아무튼 [[우동]]을 쓸 수 있는 요리라면 거의 다 키시멘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. [[나고야]] 지역 특산물로도 제품화 해서 팔리고 있는데, 생면은 물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[[건면]]이나 냉동면으로도 나와 있다. [[우동]]과는 달리 면이 얇기 때문에 [[건면]]으로 만들기에는 유리한 점이 있다.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[[국수]] 요리인 [[기스면]]과 헷갈리기도 하는데, 일본어 표준 한글표기법으로는 '기시멘'이다 보니 [[기스면]]과 더 헷갈릴 수도 있다. 둘은 [[국수]]라는 것 말고는 전혀 관계 없는 요리이고, 일단 한국에는 키시멘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. <del>더 나아가 [[나고야음식]]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.</del><ref>그나마 [[히츠마부시]]나 [[테바사키 카라아게]]는 조금 인지도가 생기긴 했다.</ref> 또한 국내의 [[중국집]]에서도 기스면을 하는 곳이 많지 않다. {{각주}} [[Category:나고야메시]] [[Category:국수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키시멘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