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타이완라멘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타이완라멘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台湾ラーメン [[파일:Taiwan ramen nagoya misen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일본 나고야 <미센(味仙)>의 타이완라멘. 이 가게를 원조로 친다.]] [[일본]] [[나고야]] 일대에서 볼 수 있는 라멘으로, 1970년대에 [[일본]] [[나고야]]의 대만요리점 <미센(味仙)><ref>[[나고야역]]에도 지점이 있으니 본점 찾기 어려우면 여기서 먹어도 된다.</ref>에서 [[대만]]의 [[탄호면]](担仔麺)에서 힌트를 얻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. 실제로 몇몇 가게들은 타이완라멘에 '타이완 탄호멘'이라는 설명을 함께 써놓은 곳도 있다. [[일본]]의 [[중화요리]]점에는 보통 [[라멘]]이 있기 때문에<ref>우리는 [[라멘]]을 [[일본]]의 대표 음식 중 하나로 생각하지만 대다수 [[일본]] 사람들은 [[라멘]]을 [[중화요리]]의 일종으로 본다.</ref> <미센>도 나름대로 [[탄호면]]에서 힌트를 얻은 [[라멘]]을 만든 것인데, 정작 [[대만]]에는 타이완라멘이 없다!<ref>하긴 [[중화소바]]도 [[중국]]에는 없고, [[나폴리]]에 [[나폴리탄 스파게티]] 같은 것 없다.</ref> 타이완풍 [[라멘]]이라고 부르는 게 더 정확할 듯하지만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름이다. [[나고야메시]]의 대표 음식 가운데 하나로, [[키시멘]] 때문에 별로 기를 못 펴고 있는 [[나고야]] 일대 [[라멘]] 문화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. 나고야대학교 [[생협]]과 [[도요타자동차]] [[구내식당]]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음식 가운데 하나라고. 다만 [[나고야]]권 바깥으로 나가면 쉽게 보기 어렵다. 면에 매운 양념을 탄 [[간장]] 베이스의 국물을 끼얹는다. 국물은 돼지뼈를 주 원료로 낸다. [[라멘]]에는 [[챠슈]]가 들어가는 게 보통이지만 타이완라멘은 그 대신 갈은 [[돼지고기]]를 듬뿍 올려준다. [[마늘]]이 많이 들어가는 것도 특징. 그밖에는 [[부추]]와 [[파]], [[숙주나물]]이 들어간다. 여러 모로 볼 때 [[일본]] 다른 지역의 [[라멘]]과는 차이가 크다. 겉보기에는 [[탄탄멘]]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맛은 차이가 많고 무엇보다도 타이완라멘 쪽이 아주 맵다. 먹어 보면 무척 맵다. [[대만]]에 매운 [[사천요리]]가 발달해 있고 타이완라멘도 매운 면요리인 [[탄호면]]을 베이스로 했다고 하지만 [[탄호면]]은 이 정도로 맵지는 않다고 한다. 두 가지를 비교하면 면 요리라는 것을 빼고는 공통점을 보기 어려울 정도로, 둘은 완전히 다른 요리다. [[한국인]]들에 비해 [[일본인]]들이 매운 것을 잘 못 먹는 편인데, [[한국인]]들의 입맛에서 봐도 상당히 맵다. 원조 [[탄호면]]보다도 더 맵게 개조된 게 신기할 정도. [[일본]] 음식중에는 맵다고 표시되어 있어도 막상 먹어보면 한국인들에게는 그닥 맵지 않은 게 많은지라 이것도 만만하게 봤다가는 혼쭐난다. 이걸 [[일본]] 사람들은 어떻게 먹지 싶을 정도인데, 최소한 [[나고야]]에서는 장사가 잘 되고 있다. 이것도 지역색이라면 일종의 지역색이라고 볼 수 있을 듯. 맵다 보니 중간 중간 물을 많이 찾게 되고, 아예 테이블마다 큰 물통이 놓여 있거나 종업원들이 눈치껏 잘 살피다가 알아서 물을 채워준다. [[아메리칸 커피]]와 함께 먹는 것도 매운맛을 누그러뜨리는 방법이라 해서 아예 '아메리칸'이라는 게 메뉴에 있는 음식점도 있다 한다. [[아메리칸 커피]]라는 게 [[우유]]와 [[설탕]]을 넣어서 달달하게 만든 [[커피]]인데 그 진한 맛 때문에 누그러지는 것도 있지만 [[우유]]가 [[캡사이신]]을 잘 빨아들이기 때문에 실제로 매운맛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. 덜 맵다는 뜻으로도 쓰여서 덜 매운 [[라멘]]을 '타이완라멘 아메리칸'이라고 표시하거나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는 가게에서 가장 덜 매운 맛을 '아메리칸'이라고 표시하기도 한다. 웃기는 건 타이완라멘이 [[대만]]과 관계없는 것처럼 [[아메리칸 커피]]도 미국이나 아메리카와는 관계가 없다. [[일본]] [[라멘]]의 느끼한 국물맛이 싫다면 이쪽이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. 매운맛이 누린내나 느끼함을 잡아주는 효과도 있고, 여기에 [[마늘]]까지 듬뿍 들어가니... 다만 무척 기름지기 때문에 먹고 나서 입속에 꽉 차는 기름기나 [[마늘]] 입냄새는 책임질 수 없다. 자매품으로는 [[베트콩라멘]]이 있다고 한다. 타이완라멘처럼 매운 [[라멘]]이지만<ref>[[일본인]]들이 [[한국인]]보다는 매운 음식에 약한 편이기는 하지만 [[고추]]와 [[마늘]]이 피로회복에 좋다고들 생각하고 한국인들처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일부러 매운 것을 찾는 사람들도 있다. [[김치]]나 매운 양념을 넣어서 '스태미너'라는 수식어를 붙여 파는 음식도 있고, [[일본]]에 한국 음식이나 다른 매운 아시아 음식이 퍼지면서 [[일본]]인들도 예전보다 매운 맛에 더 익숙해지는 것도 있고.</ref> [[마늘]]과 [[부추]], [[파]], [[숙주나물]]과 같은 [[채소]]가 듬뿍 들어가는 게 특징이다. 이건 주로 [[나고야]] 북쪽 [[기후현]] 쪽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타이완라멘과 마찬가지로 [[베트남]]에는 그런 요리는 없다. 이걸 [[비빔국수|비비먹는 버전]]으로 변형시킨 타이완마제소바라는 것도 있다. [[나고야]]를 넘어서 전국구급 인기 음식으로 발돋움했고, 원조격인 <하나비>는 심지어 한국에도 <멘야 하나비>라는 이름으로 진출해서 서울에 지점 두 개를 냈다. {{각주}} [[Category:나고야메시]] [[Category:라멘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타이완라멘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