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팥죽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팥죽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말 그대로 팥을 주 원료로 만든 죽. [[쌀]]이나 쌀가루를 넣어서 좀 더 걸쭉하고 포만감을 주기도 하지만 어차피 [[팥]]에 [[녹말]] 성분이 많기 때문에 그냥 팥만 가지고도 죽을 쑬 수 있다. 단순한 음식이 아닌, 예로부터 주술적인 의미가 강한 음식이기도 하다. 우리나라에서는 [[동지]]에 먹는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. [[팥]]의 붉은 색이 귀신을 쫓아주는 액막이 구실을 한다는 믿음 때문. 우리나라에서는 [[신라]]시대의 [[처용]] 설화에서 나왔다는 설이 유력하다. 자기 부인과 같이 자는 역신<ref>역병, 그러니까 전염병을 퍼뜨리는 귀신.</ref>의 모습을 발견한 처용이 노래를 지어 부르니 역신이 물러갔다는 설화가 유래로, 처용의 얼굴이 붉은색이었기 때문에 이를 상징하는 팥을 이용해서 귀신을 쫓아냈다는 것. 하지만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정리한 문헌인 <동국세시기>에는 동짓달 팥죽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기록이 있는데, 중국인 공공씨(共工氏)에게는 바보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, 동짓날에 목숨을 잃어 사람들에게 병을 퍼뜨리는 귀신이 되었다고 한다. 그런데 이 아들이 생전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팥죽을 쑤어서 귀신을 물리쳤다는 게 중국 유래설이다.<ref name="enclopedia_of_folk">[http://folkency.nfm.go.kr/kr/topic/detail/5492 "동지팥죽 유래"], 한국민속대백과사전.</ref> 일본에서도 축하할 일이 있으면 액을 막고 복을 부르는 의미로 팥밥을 해먹었다고 하니 팥이 액막이를 한다는 믿음은 한중일이 공유하는 문화라고 볼 수 있다.<ref>[http://www.joongdo.co.kr/main/view.php?key=20191224010010177 "중도시평 : 동지 팥죽과 붉은 색"], <중도일보>, 2019년 12월 24일.</ref> 동짓날에 팥죽을 먹었다는 기록은 고려시대 때부터 나온다. <익재집(益齋集)>에 따르면 동짓날은 흩어졌던 가족이 모여 적소두(赤小豆), 즉 팥으로 쑨 두죽(豆粥)을 끓이고, 알록달록한 옷을 입고, 부모님께 장수를 기원하면서 술을 올리는 것을 큰 즐거움으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.<ref name="enclopedia_of_folk" /> 동지에 먹는 팥죽은 [[찹쌀]]가루를 반죽해서 동글동글하게 빚은 새알을 함께 넣고 각자 나이와 같은 개수의 새알을 먹는 게 풍습이었다. 단 동지가 11월 초순에 들어 있으면 애동지라고 했는데<ref>11월 중순에 들어 있으면 중동지, 11월 하순에 들어 있으면 노동지라고 했다. 애-중-노가 되는 건데, 즉 젊은이-중년-노인을 뜻하는 셈이다.</ref>, 이 때에는 팥죽을 하지 않고 대신 팥으로 [[시루떡]]을 해 먹었다. 애동지 때 팥죽을 해 먹으면 아이나 젊은 사람들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긴다고 믿었기 때문이다. 동짓달 팥죽의 유래가 병을 퍼뜨리는 어린아이 귀신을 물리치는 건데 이 때문에 오히려 아이에게는 안 좋은 일이 있다는 믿음 때문. 젊은층은 [[설탕]]을 넣어서 달달하게 만든 단팥죽을 [[디저트]]로 즐기지만 이건 [[일본]] 쪽이 주로 그렇고 우리나라의 팥죽은 원래 달게 만들지 않았다. <del>옛날에 [[설탕]]이 쌌을 리도 없고.</del> 새알 대신에 [[칼국수]]를 넣은 [[팥칼국수]]도 있으며, 특히 [[전라도]] 쪽에서는 [[팥칼국수]]를 많이 먹었다.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[[일본]]과 [[중국]]에서도 자기들 나름대로의 스타일로 널리 먹는 음식이고, [[베트남]]에도 비슷한 음식이 있을 정도. [[파일:Zenzai kawabatazenzaihiroba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[[일본]] [[후쿠오카시]] <카와바타젠자이히로바(川端ぜんざい広場)>의 일본식 단팥죽 젠자이와 [[다쿠앙]]. <del>엥?</del>]] [[일본]]에는 시루코(汁粉, しるこ)라는 단팥죽을 많이 먹고, [[간사이]]나 [[큐슈]] 쪽으로 가면 이보다 좀 더 물기가 적은 젠자이(ぜんざい, 善哉)도 많이 먹는다. 어느 쪽이든 끈적한 일본식 [[떡]]을 넣는 것이 공통점이다. 젠자이의 특징은 [[우메보시]]나 [[다쿠앙]] 같은 짭짤한 반찬이 딸려나온다는 것. 단팥죽에 웬 [[다쿠앙]]? 하고 처음 보면 좀 황당할 수도 있는데, 젠자이가 워낙에 달다 보니 중간중간에 짠 반찬으로 한 번 죽이고 들어가 줘야 한다는 게 이유다. <del>그냥 물로 헹구는 게 낫지 않나.</del> 우리나라는 팥죽을 먹을 때 보통 [[숟가락]]만 쓰고 새알도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데, [[일본]]은 반대로 [[숟가락]]을 안주고 [[젓가락]]만 주는 곳도 많다. [[젓가락]]을 사용해서 [[떡]]을 건져 먹고, 팥죽은 그릇을 들고 음료 마시듯 마시는 식이다.<ref>원래 일본은 숟가락을 잘 안 쓰는 문화다. 국물 요리도 보통은 그릇을 들고 마신다.</ref> {{각주}} [[Category:한국음식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팥죽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