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폴 바셋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폴 바셋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Paul Bassett. [[호주]] 출신의 [[바리스타]] 폴 바셋이 만든 [[에스프레소]] 전문점 체인.<ref>나중에 [[드립 커피]]도 추가했지만 메인은 [[에스프레소]]다. [[호주]]의 [[커피]] 문화도 [[이탈리아]] 이민자들이 주축으로 형성한 [[에스프레소]] 중심이다.</ref> 한국 체인은 [[매일유업]]의 외식부문 자회사인 엠즈씨드에서 운영하고 있다. 당연히 [[유제품]]은 [[매일유업]] 것을 쓴다.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[[호주]]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 및 월드 [[바리스타]] 챔피언십 (WBC) 우승자라는 걸 엄청나게 밀고 있다. 그래서 [[호주]]에서 엄청 잘 나가고 폴 바셋 체인점도 [[호주]]에 있는 게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... 그렇지는 않다. 일단 [[호주]]에는 폴 바셋 체인점이 없다. [http://bassettespresso.com/ 영어로 된 홈페이지]가 있긴 하지만 그냥 포장한 원두만 팔고 있다. 그밖에는 기계 판매 및 관리, [[바리스타]] 교육 정도를 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[[바리스타]] 챔피언이니 뭐니 그런 얘기는 그냥 자기 소개에서 간단히 언급되고 끝. 월드 [[바리스타]] 챔피언십은 주최하는 단체가 [[미국]]과 [[유럽]]의 스페셜티 커피 협회 주관이고 각국의 [[바리스타]] 챔피언십 우승자가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거라 커피업계에서는 가장 권위 있는 대회 중 하나로 인정해 준다. 이러한 대회에서 우승한 사람은 분명히 세계적인 실력을 갖춘 [[바리스타]]인 것은 분명하지만 [[호주]]의 [[커피]] 산업은 워낙에 경쟁이 치열하고 수준도 세계적이라 그냥 동네 [[카페]]만 가도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끝내주는 [[커피]]를 뽑아주는 데가 널리고 널린 곳이다. 정작 [[호주]]에서는 [[커피]]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. 우리나라에서만 열나게 흥하고 있다. 한국에 왔다가 이 광경을 본 [[호주]] 사람들이 "폴 바셋?" 하고 고개를 갸우뚱할 정도. 반대로 한국에서 폴 바셋 팬이었던 사람이 [[호주]]에 여행가서 폴 바셋 카페를 찾았는데 구경도 못하겠더라...는 얘기도 [[블로그]]나 [[SNS]]에 종종 올라온다. 물론 월드 [[바리스타]] 챔피언이니만큼 커피 전문가들은 이름을 알고 있겠지만. 초기에는 확실히 [[커피]]의 질이 좋았다. [[스타벅스]]를 비롯해서 미국 [[시애틀]] 쪽에서 [[한국]]으로 건너온 [[에스프레소]] 전문점들이 지나치게 [[로스팅]]을 세게 한 나머지 [[에스프레소]]를 마셔 보면 쓴맛만 디립다 나는 것과 비교해 보면 폴 바셋의 [[에스프레소]]는 확실히 [[커피]]가 가진 다양한 아로마를 잘 살려서 좋은 피니시를 끌어냈다. [[카페 룽고]]에 추가 샷을 두 개 정도 넣어도 쓰다는 느낌보다는 길고 멋진 피니시가 있었다. 명성이 과장이든 뭐든, [[커피]]맛만 좋으면 되는 것 아닌가. 처음 매장을 개설한 [[신세계백화점]] 강남점 지하 1층에는 아예 [[로스팅]] 시설을 갖춰놓고 직접 [[로스팅]]해서 [[커피]]를 만들기도 했다. 그러나 체인점이 왕창 늘다 보니 예전만 못하는 의견이 늘고 있다. 피니시가 주는 감동은 확실히 예전만 못해졌다. 그래도 한국의 어중이떠중이 [[커피]] 체인점보다는 여전히 한 수 위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감동이 줄어든 건 분명하다. 일단 초기에는 매장에서 바로 로스팅을 했으니 신선도 관리가 좋았겠지만 체인점이 늘면서는 포장된 원두를 쓰는 곳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. 꼭 폴 바셋이 아니어도 [[호주]]는 [[커피]] 좀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말 알아주는 나라다. 특히 [[멜버른]]은 동네 [[카페]] 아무 데나 가도 한국 [[커피]]는 갖다 버리고 싶을 만큼 좋은 [[커피]]를 마실 수 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[[커피]]의 천국이다. BBC가 세계 최고의 커피 도시 6곳 중에 하나로 멜버른을 꼽기도 했다.<ref>[https://www.bbc.com/travel/article/20140421-living-in-the-worlds-top-coffee-cities "Living in: The world’s top coffee cities"], BBC, 23 April 2014.</ref><ref>이 BBC의 리스트 안에는 아시아의 도시도 하나 들어 있는데 [[드립 커피]] 문화의 한 축이다시피 했던 일본이 아닌 대만의 타이페이다.</ref> 현지 사람들은 [[호주]], 특히 [[멜버른]] 쪽에 [[에스프레소]]의 고향인 [[이탈리아]]계 이민자들이 많은 것을 이유로 꼽는다. 대형 체인으로는 글로리아진이나 허드슨커피 같은 브랜드가 있지만<ref>[[스타벅스]]도 진출해 있는데 지점이 그리 많지 않다.</ref> 지역 카페들의 경쟁이 워낙 치열하고 사방팔방에 좋은 카페가 많은 만큼, 폴 바셋이 고향인 [[호주]]에서는 기를 펴기에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. 게다가 2022년 기준으로 WBC 우승자 중 국가별로 보면 덴마크(4명)에 이어 [[영국]]과 [[호주]]가 3명으로 동률이다. 게다가 폴 바셋은 WBC 초창기인 2003년 우승자라 지금과는 멀리 떨어져 있기도 하고. 초기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던 [[카페 아메리카노]]는 없었으며, 비슷한 것으로 [[카페 룽고]]만 있었는데, 이제는 새 [[카페 아메리카노]]도 메뉴에 추가되었다. 폴 바셋이 [[호주]] 출신이기 때문에 [[호주]]에서 [[아메리카노]]와 비슷한 음료인 [[롱 블랙]]이 있을 법도 하지만 메뉴에는 [[롱 블랙]]은 없으며, [[호주]]에서 [[에스프레소]]를 뜻하는 [[쇼트 블랙]] 없이 메뉴에는 없고 그냥 [[에스프레소]]로 올라 있다. 추가 요금을 내면 [[디카페인 커피]]도 선택할 수 있는데, 단 [[카페 룽고]]는 [[디카페인]]을 선택할 수 없다.<ref>직원에게 물어보면 [[카페 룽고]]의 특성이 디카페인과는 안 맞는다고 설명한다.</ref> [[일본]]에도 [[도쿄]] [[신주쿠]]에 매장이 있다. 오히려 [[일본]] 쪽에 먼저 열었는데 흥하고 있는 곳은 [[한국]]이다.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한동안 [[일본]] 매장은 [[신주쿠]] 하나 뿐이었다가 [[시부야]]에 2호점을 냈다. [http://www.paulbassett.jp/ 일본 홈페이지]도 있다. [[일본]]도 오래 전부터 워낙에 [[커피]] 수준이 높은 데다가 압도적으로 [[에스프레소]] 쪽으로 쏠린 한국에 비해 여전히 [[드립 커피]]가 강세인지라 폴 바셋이 [[일본]]에서 먹힐지는 두고 볼 일.<ref>일본에서 [[에스프레소]] 중심으로 성공하고 있는 체인점은 [[스타벅스]] 정도. 일본에 체인점이 많이 깔려 있는 [[탈리스커피]](Tully's Coffee)나 [[도토루]]도 [[에스프레소]] 베이스 음료를 팔기는 하지만 일본 커피 시장 안에서 아직까지 [[에스프레소]]가 메인으로 자리 잡고 있지는 않다.</ref> 일본에서는 [[피자]]까지 판다. 우리나라에서는 [[커피]] 말고도 [[아이스크림]]으로도 인기가 좋다. 상하목장 [[우유]]로 만든 [[소프트 아이스크림]]을 팔고 있는데 [[매일유업]]이 투자했으니 당연한 일. 이 역시 당연히 우리나라 한정이다. 멤버십과 선불 충전식 카드를 운영하고 있다. [[스타벅스]]만큼 인기가 있지는 않지만 1+1이나 할인 쿠폰이 후하게 나오는 편으로 자주 가는 사람이라면 멤버십을 만들면 좋다. 모바일 앱도 있으며 [[스타벅스]]처럼 충전식 카드를 모바일 앱으로 사용할 수 있다. {{각주}} [[Category:커피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폴 바셋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