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피노 누아르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피노 누아르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Pinot noir. [[포도]] 품종의 하나. pinot는 [[소나무]], noir는 검은색을 뜻하는 [[프랑스어]]다. 즉 검은 소나무가 되는데, [[포도]]송이의 모습이 솔방울과 비슷하다 해서 pinot라는 이름이 붙었고<ref>꼭 피노 누아르만이 아니라도 [[포도]]송이가 솔방울을 닮아 있는 품종은 많다. [[피노 뫼니에르]], [[피노 블랑]]과 같이 이름에 pinot가 들어가는 [[포도]] 품종들이 여럿 있다.</ref>, [[포도]]알의 색깔이 무척 짙은 남색이다 보니 noir라는 이름이 붙었다. 포도알이 작고 껍질이 얇으며, 작은 알들이 빽빽하게 포도송이에 들어차 있는 모습이라 솔방울을 떠올리게 한 모양. 우리나라에서는 '피노 누아'라고 부르는데, 이건 영어식으로 읽은 것으로 프랑스어를 한글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'피노 누아르'가 된다.<ref>문학이나 영화의 장르 중 하나로 쓰이는 '느와르' 역시 프랑스어 noir에서 온 말인데, 일본식 표기법을 가져다 쓰는 바람에 '느와르'로 굳어져 버렸다.</ref> 서늘한 기후가 잘 맞는 품종이다. 무더운 지역에서는 생육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피노 누아르의 우아한 향미들이 미처 충분히 영글지 못한 채로 익어버린다. 이런 피노 누아르는 대체로 스파이시한 느낌이 나는 좀 이상한 맛이 되어 버린다. 게다가 이른바 테루아테르를 심하게 타는 품종으로도 유명하다. 정말 울타리 하나를 사이에 두고도 향미의 레벨이 영 다른 [[와인]]을 만들어내는 놈이 바로 이 녀석이다.<ref>다만 와인의 품질은 양조자의 정성과 기술도 상당한 몫을 차지하므로 꼭 포도만의 차이로 볼 수는 없으며, 오히려 전자 쪽의 비중이 더 높다고 보는 [[와인]] 전문가들도 많다.</ref> 피노 누아르의 명성이 워낙 자자하다 보니 구대륙 신대륙을 막론하고 많은 지역에서 재배를 시도해 왔지만 특유의 우아한 향미를 내는 [[레드 와인]]을 만들어낼 수 있는 곳은 피노 누아르 하면 누구나 이구동성으로 외치는 프랑스 부르고뉴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손에 꼽을 정도다. [[프랑스]] [[부르고뉴]] [[레드 와인]]을 대표하는 품종이다. [[부르고뉴]] 남쪽 끄트머리인 샬로네즈나 마콩 쪽으로 가면 바로 아래에 붙어 있는 지역인 [[보졸레]] [[레드 와인]]의 주종인 [[가메]] 품종도 키우지만 그래도 [[부르고뉴 와인]] 하면 역시 피노 누아르. 일단 피노 누아르 100%가 아닌 [[레드 와인]]은 [[부르고뉴]]란 이름도 못 쓴다. <ref>[[부르고뉴]] [[화이트 와인]]도 [[샤르도네]] 단일 품종을 써야 하지만 [[알리고테]] 품종을 쓴 것은 [[부르고뉴]] [[알리고테]] [[AOC]]를 받을 수 있다.</ref> 단 한 가지 예외는 [[부르고뉴-파스-투-그랭]]. [[가메]]와 피노 누아르를 혼합한다. 물론 [[부르고뉴 와인]] 중에는 대체로 가장 낮은 대접을 받는다. 다만 좋은 메이커의 파스-투-그랭 [[와인]]이라면 후진 메이커의 피노 누아르 100%보다 비싼 경우도 왕왕 있기는 하지만. [[부르고뉴 와인]] 말고도 [[프랑스]]에서는 [[루아르]], [[알자스]]도 피노 누아르 와인이 인지도가 있다. 다만 캐릭터는 사뭇 달라서, [[부르고뉴]]에 비해 여리여리한 스타일의 [[레드 와인]]이 나온다. 둘 다 [[화이트 와인]]의 인지도가 훨씬 높아서 [[루아르]]는 [[소비뇽 블랑]], [[알자스]]는 [[리슬링]], [[게뷔르츠트라미네르]] 품종 [[와인]]이 훨씬 유명하다. [[샴페인]]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[[샹파뉴]] 지방에서도 많이 재배하지만 피노 누아르만으로 만든 [[레드 와인]]은 찾아볼 수 없다. 그밖에 프로방스를 비롯해서 남프랑스 쪽에도 피노 누아르 농사를 짓는 지역들이 있지만 대체로 [[뱅 드 페이]] 수준의 [[와인]]을 만드는 데 쓰이는 정도다. 다만 최근 들어서는 이쪽에서도 [[뱅 드 페이]] 등급을 무색하게 하는 뛰어난 품질의 피노 누아르 [[와인]]이 등장하고 있다. [[미국]]과 [[뉴질랜드]]에서도 많이 재배한다. 미국의 오리건 주와 [[뉴질랜드]]에서는 [[레드 와인]]의 대표 품종이다. [[호주]], [[칠레]] 쪽에서도 재배하지만 아무래도 가장 명성이 높은 신대륙 피노 누아르는 미국의 오리건이다. 이름난 [[부르고뉴 와인]]까지도 위협할 정도로 평가가 좋은 [[와인]]들이 여럿 있다. [[스파클링 와인]]에 블렌딩하는 주요 품종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런 목적으로 재배하는 지역도 여럿 있다. 껍질이 얇은 편이라 재배하기 까다로운 품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 저기 재배하는 곳은 은근히 많지만 가장 유명한 지역은 역시 [[부르고뉴]]와 오리건, [[뉴질랜드]] 정도를 꼽을 수 있으며, 물론 가격대나 명성으로 본다면 [[부르고뉴]]의 피노 누아르가 넘사벽이다. [[이탈리아]]에서도 재배하는데 noir = black의 이탈리아어인 nero를 써서 피노 네로(pinot nero) 품종으로 표시되며, 찾아 보면 좋은 피노 네로 와인들이 있다. 피노 누아르는 [[부르고뉴]] 바깥에서도 재배하는 지역이 꽤 많은 반면, 가끔 피노 누아르와 비슷한 스타일로 비교되는 [[네비올로]]는 [[이탈리아]] [[피에몬테]] 말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.<ref>가끔 호주나 미국에서 재배도 하고 [[와인]]도 만들긴 하는데 생산량도 너무 적고 존재감도 거의 없다.</ref> [[보르도]]를 대표하는 [[카베르네 소비뇽]]이나 [[메를로]]가 강건하고 중후한 [[와인]]이라면 피노 누아르는 관능적인 이미지가 강렬하게 뿜어나온다. 'voluptuous(육감적인, 풍만한)'라는 단어는 피노 누아르 [[와인]]을 대변하는 단어 중 하나. 일단 베리 계통의 화사한 과일향에 장미꽃 향이 도드라진다. 좋은 [[와인]]이라면 처음에는 가죽향이 나서 이거 뭐래? 할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정리되고 베리향이 육감적인 몸매를 뽐낸다. <del>그때까지 못 참고 마셔버려서 문제지.</del> 그런데 [[부르고뉴]] 바깥에서 나오는 피노 누아르를 마셔보면 어째 우아함은 덜하고 스파이시한 쪽이 더 부각되는 느낌이다. 그래서 피노 누아르라면 [[부르고뉴]] 아니면 쳐다도 안 보는 사람들도 많다. 하지만 그저 레이블 빨로 여기고 미국 오리건이나 [[뉴질랜드]] 피노 누아르의 튼실한 향미를 더욱 좋아하는 이들도 많다. 구대륙과 신대륙을 막론하고 피노 누아르로 [[와인]]을 만들 때에는 거의 블렌딩을 하지 않는다. 블렌딩을 하는 [[와인]]으로 유명한 것은 의외로 [[스파클링 와인]] 쪽인데, [[적포도]]지만 [[샴페인]]에 [[샤르도네]], [[피노 뫼니에르]]와 함께 들어간다. [[샴페인]]이 화이트냐 [[로제 와인|로제]]냐를 결정하는 게 이 피노 누아르다. 짜서 과즙만 넣으면 [[화이트 와인|화이트]]가 되고 으깨서 껍질째 넣으면 [[로제 와인|로제]]가 된다. {{각주}} [[Category:포도]] [[Category:와인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피노 누아르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