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하몬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하몬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Jamón. [[스페인]]을 대표하는 [[생햄]]으로 [[이탈리아]]의 [[프로슈토]]와 이 동네에서 쌍벽을 이룬다. [[프로슈토]]와 마찬가지로 돼지 뒷다리를 주 원료로 만들며 뒷다리를 통째로 염장 뒤 그늘에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건조시켜서 발효 풍미를 낸다. 아무리 짧아도 숙성에 반년 이상 걸리며<ref>숙성 기간이 6개월 정도라면 방부제가 들어갔을 확률도 높다.</ref> 제대로 만든 건 1년 6개월 이상은 걸린다. 숙성 기간으로 보나 가격으로 보나 [[프로슈토]]와 막상막하다. 하몬이라는 뜻은 그냥 '[[햄]]'이라는 뜻이다. 정확히 '[[햄]]'은 원래 돼지 뒷다리를 뜻하는 말이다. 즉 [[돼지]] 뒷다리, 혹은 돼지 뒷다리를 가공한 제품이 모두 '[[햄]]'으로 통한다. 같은 뜻으로 쓰이는 영어 ham, 프랑스어 jambon, 스페인어 jamón 사이에는 분명히 연관성이 보인다. 특히 유명한 것은 하몬 이베리코로, 참나무 숲에 [[돼지]]를 방목해서 도토리를 먹여가면서 키워서 고기의 색깔이 진하고 선명한 게 특징이다. 이탈리아 [[프로슈토]] 중에는 산 다니엘이 도토리를 먹여서 키우는 것으로 유명하다. 한국에서 요즈음 인기를 끌고 있는 이베리코 [[돼지고기]]가 바로 이쪽 [[돼지]]다.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건 하몬, 즉 뒷다리인데 요즈음은 한국에서 다른 부위를 많이 수입해 가 줘서 [[스페인]]으로서는 고마운 일. 하지만 공들여서 키운 [[돼지]]이기 때문에 빠르게 냉장운송을 했다면 고기 품질이 좋은 것은 분명하다. 실제로 웬만한 국내산 돼지고기보다 낫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고, 가격도 심지어 국내산보다 비싸기까지 해서 가짜 이베리코 흑돼지까지 나도는 판이다.<ref>[http://news.khan.co.kr/kh_news/khan_art_view.html?art_id=201902032104001 "(뉴스 깊이읽기) 가짜까지…이베리코 흑돼지 뭐기에?"], 경향신문, 2019년 2월 3일.</ref> 하몬 세라노 역시 유명하며, 이 두 가지가 하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.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그밖에도 [[스페인]] 여러 지역에서 하몬을 만든다. 남부 쪽에서는 훈제 처리를 하기도 한다. 레스토랑이나 [[와인]] 바에 가보면 돼지 뒷다리를 통으로 [[생햄]]을 받침대 위에 떡 하니 올려놓고 주문하면 칼로 조금 두툼하게 저며서 주는데, 그렇게 주는 건 십중팔구 하몬이다. 반면 [[프로슈토]]는 육절기로 얇게 저며서 준다. 이렇게 뒷다리를 통째로 한 짝 사려면 많게는 1백만 원이 훌쩍 넘어간다. 시중에는 미리 칼로 저며 놓은 것도 판다. 얇게 저며서 [[그리시니]]에 둘둘 감아 먹는 게 기본인 [[프로슈토]]와는 달리 그보다는 짧고 굵게 저며내는 하몬은 감아 먹기는 힘들고 [[빵]]이나 [[크래커]]에 올려 먹는 게 기본이다. 그냥 먹기에는 좀 짜다. [[멜론]]과도 잘 어울리는 편인데 [[멜론]]이 없다면 비슷한 과라고 할 수 있는 참외와도 궁합이 괜찮다. 냉장도 안 하고 저렇게 밖에다가 방치해 놔도 돼? 싶을 수도 있는데 애초에 [[프로슈토]]나 하몬이나 만들어진 이유가 냉장기술이 없던 시절에 고기를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서다. 즉, 제대로 충분히 기간을 두고 숙성시킨 하몬은 상온에 두어도 상당 기간 동안 별 문제가 없다. {{각주}} [[Category:스페인음식]] [[Category:햄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하몬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