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하카타항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하카타항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博多港(はかたこう)。 [[일본]] [[큐슈]] [[후쿠오카시]]에 있는 항구. 여객과 화물을 처리하고 있으며 당연히 큐슈에서는 최대 규모의 항구. 일본 항만법에 국제거점항만으로 지정된 항구 중 하나다. [[하카타역]]과 마찬가지로 '[[후쿠오카]]'가 아닌 '하카타'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데, 이는 [[하카타]]와 [[후쿠오카]]가 합칠 때 시의 이름으로는 [[후쿠오카]]를 쓰는 대신 기차역과 항구의 이름으로는 '하카타'를 쓰기로 합의했기 때문. 자세한 내용은 [[후쿠오카]] 항목 참조. 여객 노선은 인근 섬지역 연락선은 물론 국제선도 운항하고 있다. [[JR큐슈]]가 부산항과 하카타항을 오가는 페리편인 비틀호를 운영하고 있다. 3시간 40분이 걸리는데, 원래는 3시간 5분 걸렸지만 배가 낡아서 [[호주]]에서 도입한 새로운 쾌속선인 '뉴 비틀'의 최고속도가 이전 것보다 오히려 낮아서 시간이 늘어난 것이다. <ref>https://www.jrbeetle.com/ko/about/route/</ref> 이전에는 쓰시마 경유편도 있었지만 코로나-19 대유행 사태로 운항이 중단된 이후, 현재는 부산항-하카타항 직항편만 운항을 재개한 상태다. 시간으로는 항공기보다 오래 걸리지만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고 있다. 프로모션 가격으로 편도 2만원에 풀릴 때도 있다.<ref>단, 유류할증료와 부두이용료는 별도다. 항공기와는 달리 티켓 가격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따로 내야 한다.</ref> 부산항에서 하카타항까지 9시간 30분 걸리는 페리인 뉴카멜리아호도 있다. 뉴카멜리아호는 반대로 하카타항에서 부산항으로 갈 때에는 6시간 반밖에 안 걸리는데, 이는 부산항에서 나갈 때에는 안전을 위해 저속 운항을 해야 하기 때문. 비행기는 물론 쾌속선보다 운임도 비싸고 느린 걸 뭐하러 타나 싶을 수도 있는데, 부산항에서는 밤에 출발해서 아침에 도착하므로 <s>배멀미만 없다면</s> 푹 자고 아침에 바로 [[후쿠오카]]에서 일정을 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또한 수하물을 많이 싣는 경우에도 다른 편에 비해서 월등히 저렴하다. 30킬로그램까지 수하물 하나를 무료로 반입할 수 있으며, 추가 수하물은 2020년 기준으로 20kg까지는 6,000원(하카타항 출발은 600엔), 추가 5kg당 1,500원(하카타항 출발은 150엔)<ref>http://www.koreaferry.kr/bbs/content.php?co_id=userguide</ref>으로 굉장히 저렴하다. 20kg 짜리 수하물 5개, 즉 100kg을 추가 수하물로 부쳐도 3만 원 또는 3천 엔밖에 안 한다. [[파일:Hakata port international terminal from hakata port tower.jpg|upright 1.5|섬네일|없음|하카타포트타워에서 내려다 본 하카타항 국제 터미널. 터미널 앞에 정박한 배는 [[부산]]-[[후쿠오카]]를 오가는 페리인 뉴카멜리아호다.]] 전망대인 하카타포트타워가 있으며, 전망대 관람은 무료다. 아주 높지는 않아도 하카타만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며 [[후쿠오카시]]의 전경도 볼 수 있다. 인공섬인 아일랜드시티도 있으며 공원, 학교, 상업시설들이 있어서 정말 '시티' 기능을 한다. [[지하철]] 공항선으로 편하게 갈 수 있는 [[후쿠오카공항]]과는 달리 [[지하철]]이 근처로 가지 않으며,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하카타항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