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바뀜
통계
임의의 문서로
도움말
문서
토론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로그인
호주 영어 문서 원본 보기
내위키
←
호주 영어
이동:
둘러보기
,
검색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[[호주]]에서 쓰이는 [[영어]]. [[뉴질랜드]]도 범위 안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. 아예 [[호주]] [[영어]]를 뜻하는 'strine'이라는 단어도 있고, 주요 사전 출판사에서도 [[호주]] 영어 사전을 내놓고 있다. [[영연방]]의 일원이니만큼 대체로 [[영국]] 철자를 쓴다. [[미국]]에서는 'center'로 쓰는 것을 [[영국]]과 [[호주]]에서는 'centre'라고 쓴다.<ref>[[영어]] 단어 가운데는 [[프랑스어]]에서 온 게 많은데, [[프랑스어]]에서는 -re로 끝나는 것을 [[영국]] [[영어]]는 보통 그대로 살리는 데 반해 미국 영어는 -er로 바꾼다. 예를 들어 [[영국]] [[영어]]에서는 'theatre'지만 미국 영어는 'theater'. 철자 대로 읽는다는 면에서는 'center'가 더 적당한 것 같지만 파생형인 'central' 같은 걸 생각해 보면 'centre'가 더 맞는 듯도 하다.</ref> '노동'을 뜻하는 단어도 [[미국 영어]]는 'labor'지만 [[영국]]과 [[호주]]에서는 'labour'다.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[[노동당]]의 고유 이름은 미국식 철자인 'The Labor'다. 땅덩이가 무지 큰데도 방언이 별로 발달하지 않은 것도 특징.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지역보다는 계층 혹은 도시냐 시골이냐에 따른 차이가 있는 정도인데, 그나마 [[호주]] 사람들은 별로 의식하지 못한다. 그냥 시골 사람들이나 [[보간]]들은 좀 더 억세다고 생각하는 정도. 그래서 일단 [[호주]] 영어에 적응되고 나면 [[호주]] 안에서는 방언 때문에 고생할 일은 별로 없다. ==발음== [[IELTS]]나 [[TOEIC]]과 같은 영어 시험의 리스닝 테스트에서 보통 영국 영어, 미국 영어와 함께 [[호주]] 영어로 말하는 지문도 나온다. 토박이의 말은 서로 못 알아듣는 일도 종종 있다. 예를 들어 [[영국]]에서 [[호주]]로 이민 온 사람이 처음에 [[호주]]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면서 '이거 영어 맞아?' 하고 혼란스러워하는 경험을 겪는다고. * 특히 나이든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인데, [[영국]]이나 [[미국]]에서는 보통 '에이'로 발음하는 것을 [[호주]]에서는 '아이'로 발음한다. 그래서 [[알파벳]]을 읽으면 아이 비 시 디 이 에프 지... <del>IBCDEFG?</del> 젊은 사람들은 이런 현상이 덜하다. * data : [[영국]]이나 [[미국]]에서는 '데이터'에 가깝지만 [[호주]]에서는 철자 그대로 읽는다. 곧 '다타' 에 가깝다. 1960년대까지만 해도, [[호주]] 방송 뉴스에서 [[호주]]식 발음이나 억양을 쓰면 방송국에 항의가 빗발쳤다고 한다. [[영국]]식 액센트를 써야지 교양 없이 어찌 그런 말을 쓰냐고... 나이든 사람들에 비해 젊은 사람들은 [[영국]]이나 [[미국]] 문화를 방송으로 일찍 받아들여서인지 <del>그리고 [[호주]] 프로그램이 영 재미없어서</del> [[호주]] 특유의 발음이 덜한 편이다. 요즘 들어서는 미드 영향 때문인지 젊은 여성들이 [[미국]] 발음을 쓰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. 나이 좀 있는 분들은 짜증난다는 분위기. ==철자== colour, centre, specialised와 같이 영국식 철자를 기본으로 쓴다.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노동당(The Labor)의 사례처럼 가끔은 헷갈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. ==단어== {| class="wikitable" |- ! 뜻 !! 영국 영어 !! 미국 영어 !! 호주 영어 |- | 보도 || pavement || sidewalk || footpath |- | 시내 || city center || downtown || the city<ref>[[시드니]], [[멜버른]] 같은 대도시에서는 '중심 업무 지구'를 뜻하는 CBD(Central Business District)를 시내를 뜻하는 말로 혼용해서 쓰기도 한다.</ref> |- | [[감자튀김]] || chips || french fries || chips |- | [[감자칩]] || crisps || chips || chips<ref>그러니까 [[호주]]에서는 [[감자튀김]]이나 [[감자칩]]이나 몽땅 'chips'다.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[[감자튀김]]을 'hot chips'라고 부른다.</ref> |- | 가락신(쪼리) || flip-flops || thongs || thongs<ref>영국 영어에서 'thong'은 T팬티를 뜻하는 말이므로 잘못 쓰면 허걱! 이 된다. 예를 들면 같이 바닷가에 놀러간 영국인 여성 동료에게 호주 남자가 쪼리 신으라는 뜻으로 "Why don't you wear thongs?"라고 했다간... [[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]].</ref> |- | [[주류 전문매장]] || off-licence || liquor store || bottle shop / liquor shop |- | 구멍가게 || small shop || corner shop || milk bar |} 구어에서 단어를 -ie, -y로 줄이거나 -ie, -y로 끝나는 속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. 당장에 Australian(호주의, 호주인)을 Aussie로 줄여서 부르는 게 이 동네 속어. breakfast를 brekky로, [[오토바이]](bike) 폭주족을 bikie라고 하는 식이다. 그런데 이런 호주식 단어가 글로벌화 되어 대 히트를 친 게 있다. 자기 자신을 찍은 사진을 뜻하는 selfie(self+ie). 우리는 보통 셀프카메라(self-camera)를 줄여서 셀카라고 하지만 이는 [[콩글리시]]다. Selfie는 2013년 [[영국]] 옥스포드 영어사전이 올해의 단어로 뽑을 만큼 대히트를 기록했다. [[호주]]의 자연환경이 워낙에 독특하다 보니까 그에 맞는 고유한 단어들도 많이 발달했다. [[캥거루]]야 워낙에 유명하고 [[호주]] 특유의 온갖 동식물들의 이름이 넘쳐나는 것은 기본. 그밖에는, * dingo: [[호주]]의 숲에 사는 들개의 일종. * billabong: 강이 넘쳐서 만들어지는 [[호수]]로, 날씨가 건조하면 말라붙는다. 이 이름을 사용한 호주의 서핑 및 수영복 브랜드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. <del>호수에서 무슨 서핑?</del> * bogan: [[호주]]판 꼴통. 자세한 내용은 [[보간]] 항목 참조. * outback: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때문에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유명할 호주 고유의 단어.<ref>그런데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는 호주를 테마로 한 레스토랑일 뿐, 호주 브랜드가 아니라 미국 플로리다 주에서 생겨난 브랜드다.</ref> 호주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륙의 황무지를 뜻한다. 그런데 YBM영한사전과 같은 일부 사전은 이 단어의 또 다른 의미로 '갈 가치가 없는 곳'이라는 뜻도 써 놓았기 때문에 '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'에다가 이를 갖다 붙이는 장난성 글이 인터넷을 돌아다니기도 했다. 다만 우리나라는 물론 영어권 사전에도 이 뜻을 써 놓은 사전은 거의 볼 수 없다. ==속어== 남자들, 특히 나이 든 사람들은 bloody라는 말을 많이 쓴다. 사실 이 단어는 다른 나라에서는 굉장히 독한 단어라서 질겁을 하는데 [[영국]]에서는 친한 사이끼리는 그럭저럭 쓰는 듯하고, [[호주]]에서는 단순히 '굉장히', '아주' 정도로 강조하는 의미로 상당히 많이 쓰는 편이다. 마치 미국인들이 욕설이 아니라 뭔가 끝내주게 좋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서 또는 그냥 별 뜻 없이 fucking 또는 funckingly를 내뱉는 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. 그래도 어디까지나 남자들, 특히 절친까지는 아니더라도 우리나라 정서라면 말 트고 지내는 사이 정도의 한정이고 여자들이나 안 친한 사람들한테는 bloody 같은 말을 썼다가는 굉장히 불쾌하다는 반응이 나올 테니 정말로 조심할 필요가 있다. ===단어=== * arvo : 오후 (afternoon) * [[보간|bogan]] : 우리나라의 '꼴통'과 비슷한 의미.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. * bugger : 젠장, 씨발. 다른 영어권 국가에서도 쓰는 말이지만 다른 나라보다 유독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. 나이든 남자들은 친구끼리 Hey, bugger!라고 부른다. 우리 말로 하면 친한 친구들끼리 "야 이 새꺄!" 하는 것과 비슷하다. * bumnut : [[달걀]] <ref>bum은 엉덩이를, nut 은 열매를 뜻하니 엉덩이에서 난 열매란 뜻. 상당히 그럴싸 하다.</ref> * footy: football을 -y로 줄인 것. 그런데 호주에서 footy라고 하면 축구가 아니라 럭비를 변형시킨 호주식 풋볼(AFL)을 뜻한다. 축구는 미국처럼 soccer라고 부른다. * goon : 팩에 들은 싸구려 [[와인]]. 미국에서는 깡패를 뜻하는 말로, 영국에서는 바보 멍청이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. * Macca's : [[맥도날드]] (McDonald's). 아예 대놓고 간판에 이렇게 써버리기도 한다. * Hungry Jack's: [[버거킹]]. [[호주]]에서만 헝그리잭스라고 하는데, 이를 두고 [[호주]]는 영국의 왕을 군주로 모시기 때문에 브랜드에 'King'이라는 말을 못 쓴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그런 거 없고, 그냥 버거킹이 [[호주]]에 진출했을 때 이미 다른 사람이 상표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헝그리잭스라는 브랜드를 쓰는 것.<ref>이런 일은 다른 나라에도 있다. 컴퓨터 주변기기로 유명한 글로벌 브랜드인 로지텍이 일본에서만큼은 로지쿨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는데, 이미 일본에는 로지텍이라는 브랜드가 있기 때문. 실제로 일본의 컴퓨터 주변기기 제품을 보면 로지텍도 있고 로지쿨도 있는데, 우리가 아는 그 로지텍은 일본에서는 로지쿨이고 로지텍은 그와 무관한 일본 회사다.</ref> 호주에도 'King'이 들어가는 브랜드나 업소는 얼마든지 볼 수 있다. * para : 만취하다. (거의 필름이 나간 상태) * pisspot : '요강'이란 뜻인데 [[술고래]], 특히 [[맥주]]고래를 뜻하는 말. * yakka: 일 (work). [[호주]]에는 하드 야카(Hard Yakka)라는 작업복 브랜드도 있다. === 관용구 === 이 중에는 [[호주]]에서 나온 것도 있지만 [[영국]]이나 [[미국]]에서 가져온 것들도 상당수 있다. * Boy in blue : [[경찰]]. 쉽게 짐작할 수 있겠지만 경찰복이 파란색 계통인 데서 나온 말. * Buckley's chance : 기회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는 뜻. No chance. 죄를 짓고 도망간 후 오랜동안 행방불명 돼서 죽은 줄로 믿었으나 30년 넘게 [[호주]] 원주민인 [[애보리진]] 속에서 살다가 다시 나타난 윌리엄 버클리의 일화에서 나온 말이다. * Dingo's breakfast : 노상방뇨. 위에도 나오지만 dingo는 [[호주]]의 들개를 뜻하는 말이다. 말 그대로 해석해 보면 '들개의 아침밥'이라는 말이 되는 셈. <del>얘들은 똥개가 아니고 오줌개란 말인가.</del> * Fair dinkum: 진짜. * G'day : Good day를 줄인 것. 만났을 때 하는 인사. 진짜 [[호주]] 사람처럼 보이려면 '그데이'가 아니라 '그다이'에 가깝게 발음한다. [[호주]] 티를 좀 더 팍팍 내고 싶다면 G'day mate를 '그다이 마이트'라고 억세게 발음한다. <del>이렇게 되면 [[보간]]으로 몰릴 수도 있다.</del> [[호주]] 영어를 상징하는 말로 종종 인용되고 [[호주]] 관련 기념품이나 관광지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말이지만 점점 안 쓰이는 추세. 일상생활에서 들을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. 대부분은 그냥 'Good morning', 'Good afternoon', 'Hello', 'Hi', 이런 거 쓴다. 격식 차릴 상황 아니면 웬만하면 아침에는 'Good morning',<ref>이것도 줄여서 그냥 'Morning'이라고도 한다.</ref> 그밖에는 'Hi'로 퉁. * No worries: 아마도 호주 영어 중 일상에서 제일 많이 들을 수 있는 건 지금은 사장되다시피한 'G'day'가 아니라 바로 'No worries.'일 것이다. 'You're welcome.', 'That's alright.', 'No problem.' 대신에 호주 사람들은 'No worries.'를 쓴다. 웬만한 영어권 사람들도 알아 듣는다. * Sparrow's fart : 그대로 풀어보면 제비의 방귀. 이른 아침을 뜻한다. * You don't know Christmas from Bourke Street : 머리가 둔하다는 뜻. 버크스트리트(Bourke Street)는 [[멜버른]] 도심에서도 가장 번화한 쇼핑가 중 하나로 [[마이어]](Myer) [[백화점]]을 비롯한 백화점 및 유명 브랜드의 매장이 줄지어 들어서 있다. [[멜버른]]이 [[올림픽]]을 개최한 1956년부터는 해마다 [[크리스마스]] 시즌 기간에 건물 전체를 번쩍번쩍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걸 보고도 [[크리스마스]]인 걸 모른다면 진짜 센스가 꽝이란 소리다. 그런데 요즘은 잘 안 쓰는 말들이 많다. 글로벌화의 영향이랄까... 특히 젊은 사람들한테 써 보면 뭔 소린지 못 알아듣는 경우가 종종 있다. G'day는 세계적으로 [[호주]]를 대표하는 관용구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정작 [[호주]]에서는 일상 인사로 들을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. ==그밖에== [[호주]] 사람들은 mate라는 말을 무척 즐겨 쓴다. 특히 남자들이 많이 쓰는 말로, 원래는 friend보다는 좀 약한 '친구'에 해당되지만 아주 광범위하게 써서, 대화나 인사를 할 때 상대방을 지칭하는 말로 널리 쓰인다. 이건 젊은 사람들도 마찬가지. [[영어]]를 공용어로 쓰는 [[싱가포르]]에 가 보면 [[호주]]와 가까워서 그런지는 몰라도 은근히 [[호주]] 영어의 영향이 보인다. 예를 들어 도로 옆 보도를 싱가포르에서는 footpath라고 쓰는데, 위에서 언급했지만 [[영국]]은 pavement, [[미국]]은 sidewalk라고 쓰므로 명백한 [[호주]] 영어다. {{각주}}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각주
(
원본 보기
)
호주 영어
문서로 돌아갑니다.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특수 문서 목록
문서 정보